KR200370026Y1 - 조립식 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026Y1
KR200370026Y1 KR20-2004-0027103U KR20040027103U KR200370026Y1 KR 200370026 Y1 KR200370026 Y1 KR 200370026Y1 KR 20040027103 U KR20040027103 U KR 20040027103U KR 200370026 Y1 KR200370026 Y1 KR 200370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predetermined
fitted
height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박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현 filed Critical 박성현
Priority to KR20-2004-0027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0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과 서브프레임, 매트리스 및 헤드보드(Head board) 등 각 구성부품이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과 보관 및 조립과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매트리스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뜨거운 공기 또는 시원한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있도록 하기 위한 폐쇄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시원하고 겨울철에는 따뜻한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전통적인 온돌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하단부에서 바깥쪽으로는 소정 길이의 받침편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받침편의 바깥쪽 끝부분에서 윗쪽으로는 소정 높이의 끼움턱이 절곡·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메인 프레임과; 상단부의 안쪽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부에 끼워져 걸리는 소정 깊이의 상부 걸림홈이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상의 끼움턱에 끼워지는 하부 걸림홈이 형성된 다수의 서브 프레임과; 상단부의 안쪽면에는 이웃하는 메인 프레임의 상단부 끝부분이 동시에 끼워져 걸리는 소정 깊이의 상부 교차홈이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이웃하는 메인 프레임상의 끼움턱에 끼워지는 하부 교차홈이 형성된 다수의 모서리 프레임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외측단은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내면 소정 높이에 결합되는 바닥판과; 소정의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서 메인 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편과; 소정의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편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된 헤드보드와; 상기 바닥판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소정 두께의 매트리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침대{FABRICATED BED}
본 고안은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프레임과 서브프레임, 매트리스 및 헤드보드(Head board) 등 각 구성부품이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과 보관 및 조립과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매트리스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뜨거운 공기 또는 시원한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있도록 하기 위한 폐쇄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여름철에는 시원하고 겨울철에는 따뜻한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전통적인 온돌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위세대당 거주인원이 줄어들면서 주거용 건물로서 전통적인 한옥 대신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이 늘어남과 동시에 주거공간에 대한 난방방식 또한 오랫동안 이어져온 온돌방식으로부터 스팀방식으로 점점 바뀌어감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의 생활패턴 또한 기존의 좌식(坐式)에서 입식(立式)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그 결과 집안의 가구 또한 입식 생활패턴에 알맞은 것들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입식 생활패턴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대표적인 가구로서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는데 사용되는 침대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침대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받침다리를 포함하는 프레임(Frame)과, 상기 프레임 상부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바닥판(Bed board)과, 상기 바닥판의 윗부분에 놓여지는 매트리스(Mattress)와, 상기 프레임 상부의 길이방향 한쪽 끝에 결합되는 헤드보드(Head board)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침대는 받침다리와 프레임 및 바닥판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무거워 취급이 곤란한 것은 물론이고,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운반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매트리스의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쿠션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이나 스펀지가 내장되기 때문에 온돌문화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이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척추디스크 같은 만성적인 질병이 초래되는 등 건강에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침대는 프레임이 받침다리에 의해 설치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윗쪽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놓여지고, 그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의 온기나 냉기가 매트리스까지 전달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매트리스가 푹신푹신한 재질로 이루어져 통풍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온돌문화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석재 또는 점토재로 이루어진 딱딱한 매트리스 내부에 전열선을 내장하여 전류의 인가에 따라서 발열되도록 한 전기히터 방식의 매트리스를 구비한 침대가 제안되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작동시 전자파가 발생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매트리스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기 때문에 값이 매우 비쌈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건강에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메인 프레임과 서브프레임, 매트리스 및 헤드보드(Head board) 등 각 구성부품이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과 보관 및 조립과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매트리스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뜨거운 공기 또는 시원한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있도록 하기 위한 폐쇄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여름철에는 시원하고 겨울철에는 따뜻한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전통적인 온돌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조립식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에서 헤드보드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에서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메인 프레임 12a : 받침편
12b : 끼움턱 14 : 서브 프레임
14a : 상부 걸림홈 14b : 하부 걸림홈
16 : 모서리 프레임 16a : 상부 교차홈
16b : 하부 교차홈 18 : 바닥판
20 : 고정편 22 : 헤드보드
24 : 매트리스 26 : 폐쇄된 공간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하단부에서 바깥쪽으로는 소정 길이의 받침편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받침편의 바깥쪽 끝부분에서 윗쪽으로는 소정 높이의 끼움턱이 절곡·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메인 프레임과; 상단부의 안쪽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부에 끼워져 걸리는 소정 깊이의 상부 걸림홈이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상의 끼움턱에 끼워지는 하부 걸림홈이 형성된 다수의 서브 프레임과; 상단부의 안쪽면에는 이웃하는 메인 프레임의 상단부 끝부분이 동시에 끼워져 걸리는 소정 깊이의 상부 교차홈이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이웃하는 메인 프레임상의 끼움턱에 끼워지는 하부 교차홈이 형성된 다수의 모서리 프레임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외측단은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내면소정 높이에 결합되는 바닥판과; 소정의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서 메인 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편과; 소정의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편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된 헤드보드와; 상기 바닥판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소정 두께의 매트리스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매트리스는 소나무를 가공한 판재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과 매트리스의 저면 사이에는 폐쇄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폐쇄된 공간부 내로는 필요에 따라 따뜻한 공기나 차가운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에서 헤드보드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에서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10)는 각 부품이 별도로 제작된후 각각 끼워 맞추는 방식에 의하여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매트리스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뜨거운 공기 또는 시원한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10)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다수의 메인 프레임(12)과, 상기 각 메인 프레임(12)의 바깥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서브 프레임(14)과,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모서리 프레임(16)을 포함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내면 소정 높이에 결합되는 바닥판(18)과, 상기 바닥판(18)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고정편(20)과, 상기 고정편(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세워져 설치되는 헤드보드(22) 및 매트리스(24)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각 메인 프레임(12)은 소정의 두께와 길이 및 높이를 가지며, 그 하단부에서 바깥쪽으로는 소정 길이의 받침편(12a)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받침편(12a)의 바깥쪽 끝부분에서 윗쪽으로는 소정 높이의 끼움턱(12b)이 절곡·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 프레임(14)은 그 상단부 안쪽면에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상단부에 끼워져 걸리는 소정 깊이의 상부 걸림홈(14a)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된다.
또, 그 하단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상의 끼움턱(12b)에 끼워지는 하부 걸림홈(14b)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모서리 프레임(16)은 그 상단부의 안쪽면에 서로 이웃하는메인 프레임(12)의 상단부 끝부분이 동시에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깊이의 상부 교차홈(16a)이 형성된다.
또, 그 하단면에는 서로 이웃하는 메인 프레임(12)상의 끼움턱(12b)에 끼워지는 하부 교차홈(16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18)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외측단은 상기 각 메인 프레임(12)의 내면 소정 높이에서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편(20)은 소정의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며, 바닥판(18)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서 메인 프레임(12)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상태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헤드보드(22)는 소정의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며, 그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편(20)이 끼워지는 요홈(22a)이 형성된다.
상기 매트리스(24)는 소나무를 가공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18)의 상부면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서 상기 각 메인 프레임(12)의 내측면과 매트리스(24)의 저면 사이에는 폐쇄된 공간부(26)가 형성되며, 상기 폐쇄된 공간부(26)내로는 필요에 따라 따뜻한 공기나 차가운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폐쇄된 공간부(26)내에 따뜻한 공기나 차가운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폐쇄된 공간부(26) 내부에 보일러 같은 소형 난방장치 또는 유니트쿨러 같은 소형 냉방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로 제작된 각 구성부품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각 메인 프레임(12)을 침대의 형태에 맞추어 배치한 후 그 내측면 소정 높이에 준비된 바닥판(18)의 외측단을 스크류 같은 통상적인 체결부재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각 메인 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서브 프레임(14)상의 상부 걸림홈(14a)을 맞추어 끼우고, 서브 프레임(14)의 하단면에 형성된 하부 걸림홈(14b)은 메인 프레임(12)상의 받침편(12a) 외측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된 끼움턱(12b)에 끼워 조립한다.
그런 다음, 길이방향의 메인 프레임(12)과 서브 프레임(14)의 조립체와 폭방향의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조립체의 끝부분이 맞닿는 부분에는 모서리 프레임(16)을 맞추어 조립한다.
이 때, 모서리 프레임(16)의 상부 내면에 형성된 상부 교차홈(16a)은 각 메인 프레임(12)의 상단부 끝부분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고, 모서리 프레임(16)의 하단면에 형성된 하부 교차홈(16b)은 메인 프레임(12)상의 받침편(12a) 외측단에서 윗쪽으로 절곡된 끼움턱(12b)에 끼워 결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18)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 상면에는 고정편(20)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하고, 상기 고정편(20)에는 헤드보드(22) 저면에 형성된 요홈(22a)이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바닥판(18)의 나머지 상부면에는 소나무를 가공한 판재로 이루어진 매트리스(24)를 올려 놓으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1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매트리스(24)의 아랫쪽과 각 메인 프레임(12)의 내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쇄된 공간부(26)에는 따뜻한 공기나 차가운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보일러 같은 소형 난방장치 또는 유니트 쿨러 같은 소형 냉방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형 난방장치 또는 냉방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뜨거운 공기 또는 차가운 공기가 폐쇄된 공간부(26)에 채워지게 되면 소나무를 가공한 판재로 이루어지는 매트리스(24)가 따뜻하게 덥혀지거나 시원하게 냉각되고, 한번 덥혀지거나 냉각된 경우 그 시간이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온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침대를 구성하는 각 부품이 별도로 제작된 후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운반과 보관,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다는 잇점이 있다.
또, 매트리스와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의하여 내부에 폐쇄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폐쇄된 공간부내에 따뜻한 공기 또는 차가운 공기가 채워지는 경우에 전통적인 온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하단부에서 바깥쪽으로는 소정 길이의 받침편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받침편의 바깥쪽 끝부분에서 윗쪽으로는 소정 높이의 끼움턱이 절곡·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메인 프레임(12)과;
    상단부의 안쪽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부에 끼워져 걸리는 소정 깊이의 상부 걸림홈이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상의 끼움턱에 끼워지는 하부 걸림홈이 형성된 다수의 서브 프레임(14)과;
    상단부의 안쪽면에는 이웃하는 메인 프레임의 상단부 끝부분이 동시에 끼워져 걸리는 소정 깊이의 상부 교차홈이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이웃하는 메인 프레임상의 끼움턱에 끼워지는 하부 교차홈이 형성된 다수의 모서리 프레임(16)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외측단은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내면 소정 높이에 결합되는 바닥판(18)과;
    소정의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재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서 메인 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편(20)과;
    소정의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편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된 헤드보드(22)와;
    상기 바닥재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소정 두께의 매트리스(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24)는 소나무를 가공한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과 매트리스의 저면 사이에는 폐쇄된 공간부(26)가 형성되며, 상기 폐쇄된 공간부내로는 필요에 따라 따뜻한 공기나 차가운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KR20-2004-0027103U 2004-09-21 2004-09-21 조립식 침대 KR200370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103U KR200370026Y1 (ko) 2004-09-21 2004-09-21 조립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103U KR200370026Y1 (ko) 2004-09-21 2004-09-21 조립식 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551A Division KR20060026709A (ko) 2004-09-21 2004-09-21 조립식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026Y1 true KR200370026Y1 (ko) 2004-12-13

Family

ID=4935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103U KR200370026Y1 (ko) 2004-09-21 2004-09-21 조립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0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8791A (en) Device for use as a bed or bedstead
KR200489500Y1 (ko) 애완동물용 냉난방 침대
CN2912379Y (zh) 暖气床
KR200370026Y1 (ko) 조립식 침대
KR20060026709A (ko) 조립식 침대
KR100827797B1 (ko) 캡슐형 황토 침대 및 그 제조방법
JP2005201601A (ja) 建物の暖房システム。
KR101644803B1 (ko) 펠티어 카트리지를 이용한 냉온수 순환침대
KR101343142B1 (ko) 냉난방 기구가 구비된 침대
KR20170000536U (ko) 반려동물용 매트
JP6769699B2 (ja) 建築物の断熱構造
KR101217141B1 (ko) 냉난방 매트
CN210493414U (zh) 一种养生床
CN211345478U (zh) 一种家用三件套组合家具供暖系统
KR200184328Y1 (ko)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JP6498825B1 (ja) 石張り構造体
WO2006118336A1 (ja) 健康補助装置
KR20110051704A (ko) 목재 온열패널
JP3131266U (ja) 岩盤浴用ボックス
KR200415074Y1 (ko) 충진식 황토 패널
JP6770301B2 (ja) 建築物の暖房構造
KR200190742Y1 (ko) 이원화 온돌 난방 배관구조
KR200219425Y1 (ko) 난방장치가 갖추어진 매트리스
Shved Pros and cons of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modern interior design
KR200252785Y1 (ko) 조립식 황토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