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57Y1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657Y1
KR200369657Y1 KR20-2004-0025482U KR20040025482U KR200369657Y1 KR 200369657 Y1 KR200369657 Y1 KR 200369657Y1 KR 20040025482 U KR20040025482 U KR 20040025482U KR 200369657 Y1 KR200369657 Y1 KR 200369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opening
box
surface portion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동진
Original Assignee
채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동진 filed Critical 채동진
Priority to KR20-2004-0025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부를 양측으로 펼치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박스 본체의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쁜 매장 등에서의 물품 포장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뚜껑부의 일단 및 이에 대응되는 본체의 일면에 각각 자성체를 내장하여 박스의 개폐가 자성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개폐부분이 찢어지거나 훼손되지 않음에 따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포장용 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면부(11)와; 상기 바닥면부(11)의 일측 양단으로부터 일단이 연장되어 상측으로 절곡되는 전/후측면부(12)(13)와; 상기 바닥면부(11)의 타측 양단으로부터 일단이 연장되어 상측으로 절곡되고 그 양측단에는 상기 전/후측면부(12)(13)의 내측면과 끝단부가 접합되며 중앙에 내측 절첩부(14)를 갖는 좌/우측면부(15)(16)와; 상기 후측면부(13)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바닥면부(11)와 동일면적을 갖는 상면부(17)와; 상기 상면부(17)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중앙부 내부에 자성체(21)가 내삽된 개폐면(18)과; 상기 개폐면(18)에 내삽된 자성체(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전측면부(12)의 상단에 내삽된 부착편(22)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의 양측 끝단이 전측면부 및 후측면부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있고 중앙측에 내측으로 절첩되는 내측절첩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양측으로 벌리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포장용 박스의 구성이 이루어지고, 더욱이 박스의 개방면을 마감하는 수단이 자성체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박스의 개폐과정을 여러번에 걸쳐 수행하더라도 개폐부분이 훼손되거나 또는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일회성 소모품이 아니라 별도의 수납공간 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PACKING BOX}
본 고안은 선물이나 기타의 제품을 포장하는데에 사용되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박스를 조립하여 완성하는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별도의 자성체를 구비하여 박스의 개폐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박스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물이나 기타의 제품을 구입할 경우, 박스에 물품을 넣어 포장한다.
또한, 고가의 물품일 경우엔, 판매단계에서 이미 고급스러운 박스에 물품을 넣어 두었다가 진열 및 판매를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용 박스들은, 박스를 조립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이 박스의 조립에 따른 시간이 적지 않게 소요됨으로써, 매장의 바쁜 시간이나 또는 추석이나 설 등과 같이 특히 선물용 제품을 소비자가 많이 구입하게 되는 기간에는 소비자가 구입한 선물용 물품을 일일이 포장용 박스에 넣어 판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는 시간의 지연에 의해 자연스럽게 물품을 포장하는 시간이 지연되어 소비자들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포장용 박스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장용 박스들이 다양한 구성으로 안출되고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352938호인 포장박스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지 않고도 물품을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하면, 종이재질로 형성되고 소정크기의 바닥 고정공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바닥 고정공과 소정거리를 두고 측부 고정공이 형성되어 음료컵의 받침대에 구비되어진 고정편이 각각 끼움고정되고, 그 양측으로 삼각형상으로 절곡되는 절곡편이 구비되어진 제1측부면과, 상기 제1측부면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지되, 그 한쪽의 폭이 바닥면의 1/2 정도가 되며 각 단부에 손잡이공이 구비된 손잡이부가 절첩선을 따라 직각으로 접혀 상호 면접되는 제1상부면과, 상기 바닥면의 다른 양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그 양측으로 제1측부면의 절곡편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공이 형성되어진 제2측부면과, 상기 제2측부면의 각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그 중앙부분에 제1상부면의 손잡이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고정편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다른 일측에는 고정편이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제2상부면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59494호인 포장용 박스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뚜껑을 열고 닫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뚜껑이 구겨지지 않게 되어 다른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하면, 하부면과, 그 하부면이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각각 마주 보는 한 쌍의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가지는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가로방향으로 끼움홈과, 상방으로 수평압선에 의하여 연결되는 메인속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면이 형성된 뚜껑면이 수평압선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측면부 양측에는 수평압선에 의하여 연결되는 서브속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안출된 포장박스 및 포장용 박스들은, 종래 박스들이 지닌 견고성 저하 내지는 재활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박스의 견고성을 강화하고, 박스를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들의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고 박스 본체를 조립하여 포장용 박스를 형성하는 작업이 복잡함에 따라, 빠쁜 매장시간이나 또는 추석 등과 같은 명절의 선물기간 내에는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는데에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어 물품을 포장하는 시간이 적지 않게 소요됨으로써 소비자들의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포장용 박스의 경우 절첩선들이 형성된 박스 본체를 절첩선에 따라 절첩하여 박스를 구성하여 마지막에 뚜껑부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편을 박스의 일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우거나 또는 끼워진 뚜껑부의 끼움편을 상기 박스의 일면에 형성된 끼움홈으로부터 분리하여 포장용 박스의 개폐가 가능토록 하고는 있으나, 반복되는 개폐과정에 의해 뚜껑부의 끼움편과 박스의 일면에 형성된 끼움홈이 찢어지거나 함에 따라 포장용 박스의 재활용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포장용 박스들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측부를 양측으로 펼치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박스 본체의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쁜 매장 등에서의 물품 포장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뚜껑부의 일단 및 이에 대응되는 본체의 일면에 각각 자성체를 내장하여 박스의 개폐가 자성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개폐부분이 찢어지거나 훼손되지 않음에 따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포장용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좌/우측면부를 양측으로 벌리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좌/우측면부를 완전히 벌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바닥면부 12 : 전측면부
13 : 후측면부 14 : 내측절첩부
15 : 좌측면부 16 : 우측면부
17 : 상면부 18 : 개폐면
21 : 자성체 22 : 부착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일측 양단으로부터 일단이 연장되어 상측으로 절곡되는 전/후측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타측 양단으로부터 일단이 연장되어 상측으로 절곡되고 그 양측단에는 상기 전/후측면부의 내측면과 끝단부가 접합되며 중앙에 내측 절첩부를 갖는 좌/우측면부와; 상기 후측면부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바닥부와 동일면적을 갖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중앙부 내부에 자성체가 내삽된 개폐면과; 상기 개폐면에 내삽된 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전측면부의 상단에 내삽된 부착편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편은, 자성체의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편은 상기 개폐면에 내삽된 자성체와 동일한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는,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의 양측 끝단이 전측면부 및 후측면부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있고 중앙측에 내측으로 절첩되는 내측절첩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양측으로 벌리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포장용 박스의 구성이 이루어지고, 더욱이 박스의 개방면을 마감하는 수단이 자성체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박스의 개폐과정을 여러번에 걸쳐 수행하더라도 개폐부분이 훼손되거나 또는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일회성 소모품이 아닌 여러번에 걸쳐 재활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좌/우측면부를 양측으로 벌리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좌/우측면부를 완전히 벌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면부(11)와, 상기 바닥면부(11)의 일측 양단으로부터 일단이 연장되어 상측으로 절곡되는 전/후측면부(12)(13)와, 상기 바닥면부(11)의 타측 양단으로부터 일단이 연장되어 상측으로 절곡되고 그 양측단에는 상기 전/후측면부(12)(13)의 내측면과 끝단부가 접합되며 중앙에 내측 절첩부(14)를 갖는 좌/우측면부(15)(16)와, 상기 후측면부(13)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바닥면부(11)와 동일면적을 갖는 상면부(17)와, 상기 상면부(17)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중앙부 내부에 자성체(21)가 내삽된 개폐면(18)과, 상기 개폐면(18)에 내삽된 자성체(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전측면부(12)의 상단에 내삽된 부착편(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편은, 자성체의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여 물품을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부(11)의 좌/우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양측단이 상기 바닥면부(11)의 전/후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전측면부(12) 및 후측면부(13)에 접합된 좌측면부(15)와 우측면부(16)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벌리게 되면, 상기 좌측면부(15)와 우측면부(16)의 양측단이 내측에 접합된 전측면부(12)와 후측면부(13)가 입설되게 되고, 이와 같이 전/후측면부(12)(13) 및 좌/우측면부(15)(16)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설된 상태에서, 내부에 포장하고자 하는 물품을 넣고 상기 상면부(17)를 젖혀 개방된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상면부(17)의 일단측으로 연장된 개폐면(18)을 상기 전측면부(12) 측으로 절곡하여 이 개폐면(18)의 중앙측에 내삽된 자성체(21)를 상기 전측면부(12)의 상단측에 내삽된 부착편(22)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좌/우측면부(15)(16)을 양측으로 벌려 입설시킴에 따라, 상기 전측면부(12) 및 후측면부(13)가 입설되는 이유는, 상기 좌측면부(15)와 우측면부(16)의 양측단에 상기 전측면부(12) 및 후측면부(13)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있고, 또한 이 접합되는 부분의 중앙측에 내측으로 절첩되는 내측절첩부(14)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좌측면부(15)와 우측면부(16)가 양측으로 벌어져 입설되는 것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상기 전측면부(12) 및 후측면부(13)가 입설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는, 물품을 포장함에 있어서, 포장용 박스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물품의 포장시간이 단축될 수 있음에 따라, 바쁜 매장 등에서 특히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장용 박스의 상부 즉, 개방되는 부분을 개폐하는 수단이 자성체와 이에 적용되는 금속재질의 부착편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포장용 박스의 재활용을 위해 반복적으로 개폐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개폐부분이 훼손되거나 또는 찢어지지 않기 때문에, 포장용 박스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의 구성 중, 상기 상부면의 일단측으로 연장된 개폐면(18)에 내삽된 자성체(21)에 부착되는 상기 전측면부(12)의 부착편(22)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철편이 아닌 상기 개폐면(18)에 내삽된 자성체(21)와 동일한 자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로 구비된 자성체의 극성을 달리하여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는 다양하게 변형실시, 예를 들어 형상의 변형 색상의 변형 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포장용 박스에 의하면,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의 양측 끝단이 전측면부 및 후측면부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있고 중앙측에 내측으로 절첩되는 내측절첩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양측으로 벌리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포장용 박스의 구성이 이루어지고, 더욱이 박스의 개방면을 마감하는 수단이 자성체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박스의 개폐과정을 여러번에 걸쳐 수행하더라도 개폐부분이 훼손되거나 또는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일회성 소모품이 아니라 별도의 수납공간 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면부(11)와;
    상기 바닥면부(11)의 일측 양단으로부터 일단이 연장되어 상측으로 절곡되는 전/후측면부(12)(13)와;
    상기 바닥면부(11)의 타측 양단으로부터 일단이 연장되어 상측으로 절곡되고 그 양측단에는 상기 전/후측면부(12)(13)의 내측면과 끝단부가 접합되며 중앙에 내측 절첩부(14)를 갖는 좌/우측면부(15)(16)와;
    상기 후측면부(13)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바닥면부(11)와 동일면적을 갖는 상면부(17)와;
    상기 상면부(17)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중앙부 내부에 자성체(21)가 내삽된 개폐면(18)과;
    상기 개폐면(18)에 내삽된 자성체(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전측면부(12)의 상단에 내삽된 부착편(22)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편은, 자성체의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편은 상기 개폐면에 내삽된 자성체와 동일한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20-2004-0025482U 2004-09-06 2004-09-06 포장용 박스 KR200369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82U KR200369657Y1 (ko) 2004-09-06 2004-09-06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82U KR200369657Y1 (ko) 2004-09-06 2004-09-06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657Y1 true KR200369657Y1 (ko) 2004-12-09

Family

ID=4944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482U KR200369657Y1 (ko) 2004-09-06 2004-09-06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6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265B2 (en) Box convertible to a display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10204129A1 (en) Collapsible pack with inner flap
US20180346234A1 (en) Pack for consumer goods
CN107000923B (zh) 具有封闭折片的包含获取开口的包装
SK6033Y1 (sk) Package goods
KR200369657Y1 (ko) 포장용 박스
US9150327B2 (en) Folding box with removable handle
KR20100000498U (ko) 포장용 박스
KR200469412Y1 (ko) 진열형 포장박스
JP7221159B2 (ja) 包装箱
JP3181926U (ja) 組合せ箱
JP3243315U (ja) 持続可能な包装箱システム及び持続可能な包装方法
CN210556133U (zh) 一种多边形开窗包装盒
TWI766689B (zh) 包裝套件及含有包裝套件之層架
JP5477581B2 (ja) ディスプレイカートン
JP3215358U (ja) 缶詰包装用容器
JP3126996U (ja) 紙箱
TWM587161U (zh) 防拆盒子結構
KR200479488Y1 (ko) 진열장 기능을 갖는 화장품 포장 케이스
JP2018002300A (ja) 包装用箱
KR200430485Y1 (ko) 전시공간을 줄일 수 있는 포장박스
JP2004284595A (ja) 果実等陳列兼用収容パ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桜桃果実の梱包方法
JP2016047734A (ja) 連結包装箱
KR200356656Y1 (ko) 다용도 포장 용기
JP5422893B2 (ja) カー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