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842Y1 - 프로펠러 비행 완구 - Google Patents

프로펠러 비행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842Y1
KR200368842Y1 KR20-2004-0023571U KR20040023571U KR200368842Y1 KR 200368842 Y1 KR200368842 Y1 KR 200368842Y1 KR 20040023571 U KR20040023571 U KR 20040023571U KR 200368842 Y1 KR200368842 Y1 KR 200368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spiral
rod
flying toy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엽
Original Assignee
한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엽 filed Critical 한정엽
Priority to KR20-2004-0023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8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2Helicopters ; Flying 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4Starting or launching devices for toy aircraft; Arrangements on toy aircraft for starting or laun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02Clockwork mechanisms
    • A63H29/04Helical-spring 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펠러를 이용한 비행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 비행 완구(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이 수회 형성되어 있는 나선대(11)와 손잡이(12)를 구비하는 작동로드(10); 상기 작동로드(10)의 나선대(11)에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셔틀(20); 및 상기 나선대(11)의 나선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작용구멍(32)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대(11)의 나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스(31)와 상기 보스(31)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할 때 양력을 받는 날개들(33)을 구비하는 프로펠러(30);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셔틀(20)은, 손으로 잡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대(10)가 상하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멍(2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로펠러 비행 완구{Flying Toy Having Propeller}
(기술분야)
본 고안은 완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펠러를 나선을 따라 이동시켜 회전시킴으로써 프로펠러를 하늘에 날릴 수 있는 프로펠러 비행 완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주로 아동들의 놀이용으로 만들어지는 완구는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하늘을 나는 완구들도 부메랑, 헬리콥터, 비행기, 원반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63023호의 "자기발전 비행 프로펠러 완구"는 자가 발전으로 얻은 전기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방식의 프로펠러 완구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나선으로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프로펠러를 비행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동력 없이 직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나선을 이용하여 프로펠러를 비행시킬 수 있는 프로펠러 비행 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펠러 비행 완구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펠러 비행 완구의 조립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펠러 비행 완구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프로펠러 비행 완구 10: 작동로드
11: 나선대 12: 손잡이
20: 작동셔틀 21: 본체
22: 삽입구멍 23: 플랜지
30: 프로펠러 31: 보스
32: 작용구멍 33: 날개
34: 림
본 고안에 따라, 작동로드, 작동셔틀, 및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프로펠러 비행 완구가 제공된다.
상기 작동로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이 수회 형성되어 있는 나선대와 손잡이를 구비하다.
상기 작동셔틀은 상기 작동로드의 나선대에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나선대의 나선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작용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대의 나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스와 상기 보스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할 때 양력을 받는 날개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셔틀은, 손으로 잡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대가 상하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 비행 완구에 의하면, 상기 작동로드에 상기 작동셔틀과 상기 프로펠러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셔틀을 상기 나선대를 따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프로펠러가 상기 나선대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이런 회전력을 얻어 상기 작동로드를 벗어난 상기 프로펠러는 회전에 따른 양력에 의해 먼 거리를 비행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 비행 완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 비행 완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펠러 비행 완구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펠러 비행 완구의 조립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펠러 비행 완구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 비행 완구(1)는, 기본적으로 작동로드(10), 작동셔틀(20) 및 프로펠러(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작동로드(10)는 상기 프로펠러(30)에 회전력을 가하기 위한 긴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크기의 나선이 수회(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5회) 형성된 나선대(11)와 프로펠러(30)에 회전력을 가하고자 할 때 작동로드(10)를 손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작동셔틀(20)은 작동로드(10)를 당겨 프로펠러(30)에 회전력을 가함에 있어서, 프로펠러(30)에 삽입된 작동로드(10)를 보다 편리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고 작동로드(10)를 당겨 빼는 힘이 프로펠러(30)에 잘 전달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작동셔틀(20)은 손으로 잡기 편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구멍(22)이 구비되며, 도시된 구체예와 같이 본체(21)의 상단 둘레에 프로펠러(30)를 받쳐주는 플랜지(2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구멍(22)은 상기 나선대(11)가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가진다.
상기 프로펠러(30)는 작용구멍(32)이 형성된 보스(31)와 다수(예, 120도 간격의 3개)의 날개들(33)을 포함한다.
상기 작용구멍(32)은 나선대(11)의 나선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구멍으로, 작용구멍(32)에 나선대(11)를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작용구멍(32)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나선대(11)를 돌려 넣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나선대(11)를 작용구멍(32)에 삽입한 상태로 나선대(11)와 보스(31)를 상대적으로 돌리면 보스(31)에 나선대(11)가 끼워 넣어 지거나 빠져 나오게 된다.
상기 날개들(33)은, 상기 보스(31)를 중심으로 균형이 잡히도록 보스(31)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할 때 양력을 받을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비틀려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날개들(33)의 둘레에 원형의 림(34)이 형성되어 전체 날개들(33)을 하나로 연결하고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림(34)은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 비행 완구(1)는, 작동로드(10)의 나선대(11)에 플랜지(23)가 위쪽을 향하도록 작동셔틀(20)을 나선대(11)의 맨 아래까지 끼워 넣고, 다시 나선대(11)에 프로펠러(30)의 작동구멍(32)을 꿰어 넣어 돌려서 프로펠러(30)를 작동셔틀(20)의 위에 접하도록 끼워 넣은 상태로 프로펠러(30)를 비행시킬 준비를 한다.
그리고, 프로펠러(30)를 비행시키고자 할 때에는, 한 손으로 작동로드(10)의 손잡이(12)를 잡고 다른 손으로 작동셔틀(20)의 본체(21)를 잡은 상태에서, 작동로드(10)를 아래로 당김과 동시에 작동셔틀(20)을 위로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은 작동시키면, 프로펠러(30)는 작동셔틀(20)에 의해 위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때 작동구멍(32)이 나선대(11)를 타고 올라가면서 나선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프로펠러(30)가 회전하게 되며, 결국 프로펠러(30)가 작동로드(10)를 이탈하는 순간 프로펠러(30)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후 날개들(33)이 받는 양력에 의해 프로펠러(30)는 바로 추락하지 아니하고 상당한 비행거리를 날면서 비행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 비행 완구의 크기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작동로드(10)의 전체 길이가 약 170mm, 림(34)의 직경이 약 135mm 정도로 할 수 있고, 플라스틱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 비행 완구(1)에 의하면, 나선에 의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그 양력에 의해 비행시킬 수 있는 아동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완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이 수회 형성되어 있는 나선대(11)와 손잡이(12)를 구비하는 작동로드(10);
    상기 작동로드(10)의 나선대(11)에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셔틀(20); 및
    상기 나선대(11)의 나선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작용구멍(32)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대(11)의 나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스(31)와 상기 보스(31)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할 때 양력을 받는 날개들(33)을 구비하는 프로펠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비행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셔틀(20)은, 손으로 잡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대(10)가 상하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멍(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비행 완구.
KR20-2004-0023571U 2004-08-18 2004-08-18 프로펠러 비행 완구 KR200368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71U KR200368842Y1 (ko) 2004-08-18 2004-08-18 프로펠러 비행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71U KR200368842Y1 (ko) 2004-08-18 2004-08-18 프로펠러 비행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842Y1 true KR200368842Y1 (ko) 2004-12-03

Family

ID=4944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571U KR200368842Y1 (ko) 2004-08-18 2004-08-18 프로펠러 비행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8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478A (ko) * 2016-07-29 2018-02-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전 블레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478A (ko) * 2016-07-29 2018-02-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전 블레이드
KR101855800B1 (ko) * 2016-07-29 2018-06-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전 블레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29416A (en) Rack-actuated propeller toy
US7281965B2 (en) Combination yo-yo and top
CN203971397U (zh) 多功能变形四轴飞行器
EP2219752A1 (en) Boomerang
KR200435775Y1 (ko) 완구용 회전팽이
KR200368842Y1 (ko) 프로펠러 비행 완구
US4090715A (en) Solar powered spinning apparatus
KR200439845Y1 (ko) 팽이
US3686790A (en) Twist lever toy
US10265635B2 (en) Propulsion systems for a hovering toy creature
US20080153381A1 (en) Flying toy
JP2009247882A (ja) 多連独楽
US6146231A (en) Flying toy
DE2951804A1 (de) Spielflugzeug
CN112274943A (zh) 爬杆机器人玩具
CN207085344U (zh) 一种手拉式惯性转动式照明玩具
CN106512433B (zh) 一种改进型竹蜻蜓
CN101564598A (zh) 手持手动惯性转轮
CN2912748Y (zh) 竹蜻蜓改良结构
KR200277512Y1 (ko) 놀이완구용 스카이 블레이드
KR200398274Y1 (ko) 헬리콥터형 비행 완구
CN202342846U (zh) 会飞的陀螺
CN2095700U (zh) 惯性飞碟
KR200263095Y1 (ko) 바람개비 완구
CN206896816U (zh) 玩具关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