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845Y1 - 팽이 - Google Patents

팽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845Y1
KR200439845Y1 KR2020070002193U KR20070002193U KR200439845Y1 KR 200439845 Y1 KR200439845 Y1 KR 200439845Y1 KR 2020070002193 U KR2020070002193 U KR 2020070002193U KR 20070002193 U KR20070002193 U KR 20070002193U KR 200439845 Y1 KR200439845 Y1 KR 200439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cover
holder
rotating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규
Original Assignee
최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규 filed Critical 최신규
Priority to KR2020070002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8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63H1/04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with string or band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4Tops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8Musical 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6Belt or string ge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팽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흥미롭고 다채로운 팽이치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팽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팽이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고, 일측 외주면에 작동기어가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작동기어를 은폐하도록 설치되고, 관통공을 가진 커버; 상기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작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을 가진 작동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축지부재;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이격되어 구비된 하나 이상의 홀더; 및 상기 홀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팁;을 포함한다.
팽이, 회전체, 회전축, 커버, 작동체, 홀더

Description

팽이{TOP ASSEMBLY}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회전팁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회전팁 부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 팽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 : 회전체 12 : 회전축
13 : 홀더 14 : 회전팁
15 : 커버
본 고안은 팽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흥미롭고 다채로운 팽이치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팽이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팽이는 목재를 콘형상으로 깍아서 그 하단부에 금속재질의 볼을 박아넣거나 반구형 머리를 갖는 스크류를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상기 목재 팽이의 경우에는 본체의 가공 및 볼의 삽입등에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쉽게 금이 가거나 파손되는 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어 최근에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성형함으로써 그 제작이 용이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킨 합성수지 팽이가 널리 출시되고 있다.
한편, 팽이를 이용한 팽이치기에는 5∼10m의 목표 지점을 설정해 놓고 팽이가 빨리 돌아오기를 겨루는 놀이, 돌고 있는 팽이를 맞부딪쳐 상대편 팽이를 쓰러뜨리는 팽이싸움놀이 등의 놀이 방법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팽이는 그 회전도중에 사용자가 그 위치를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없고, 팽이의 회전을 중지시킨 다음에 그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졌었다.
이에 따라, 팽이를 이용한 각종 팽이치기 놀이가 매우 단조롭게 진행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자극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팽이가 회전되는 도중에도 사용자가가 자유롭게 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흥미롭고 다채로운 팽이치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팽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각적 및 청각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팽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고, 일측 외주면에 작동기어가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작동기어를 은폐하도록 설치되고, 관통공을 가진 커버;
상기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작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을 가진 작동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축지부재;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 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 및
상기 홀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팁;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이 분할된 제1 및 제2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립체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작동기어를 은폐하는 상부 원통부 및 상기 상부 원통부의 하부측에 하향으로 연장된 하부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원통부는 상기 상부 원통부 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원통부에 상기 홀더가 끼움결합된다.
상기 커버의 하부 원통부는 그 하단에 상기 하부 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돌기에 상기 홀더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이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측 외주면에 작동기어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의 치형 외측을 커버하며, 관통공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회전축의 치형과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이 직선방향으로 배치된 작동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하나 이상의 홀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축지부재; 및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팁;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 및 커버 사이의 길이방향 공간에는 지지부재가 더 개재된다.
상기 회전팁은 그 일부가 홀더에 의해 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는 상기 커버의 상부 및 하부에 분할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는 상하로 분할된 제1 및 제2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그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공간에는 웨이트 및 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스피커 및 다수의 발광체가 접속된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의 상단 및 하단 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회전체(11), 상기 회전체(11)에 고정된 회전축(12), 상기 회전축(12)의 외측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홀더(13), 및 홀더(13)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팁(14)을 포함한다.
회전체(11)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 등이고, 디스크 형상 또는 그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체(11)는 상하로 분할된 제1 및 제2 조립체(11a, 11b)가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전체(11)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1c), 웨이 트(11d) 등이 장착되는 공간(11e)이 형성된다.
회로기판(11c)에는 스피커 및/또는 발광체(미도시) 등이 접속될 수 있고, 이러한 스피커 및 발광체(미도시)는 회전체(11)의 소정위치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발광체는 특정 숫자 또는 문자 등이 다양한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그 발광하는 색상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의 팽이는 스피커 및/또는 발광체 등에 의해 청각적 및 시각적인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다채롭고 흥미로운 팽이치기를 할 수도 있다.
웨이트(11d)는 회전체(11)에 회전관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등과 같이 적절한 중량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조립체(11b)의 중심부에는 관체부(11f)가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관체부(11f)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관체 형상이며, 이 관체부(11f)의 상부 내경면에 후술하는 회전축(12)이 결합고정된다.
회전축(12)은 회전체(11)의 하부 중심부에 조립식 또는 일체형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1)의 제2조립체(11b) 측에 조립식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즉, 제2조립체(11b)의 관체부(11f)는 그 내경면에 다수의 세레이션 홈이 형성된 결합부(11g)를 구비하고, 회전축(12)의 상부 일측에는 결합부(12b)가 형성되며, 이 회전축(12)의 결합부(12b)에는 다수의 세레이션 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12)의 결합부(12b)가 관체부(11f)의 결합부(11g)에 결합됨으로써 회전축(12)은 회전체(11)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축(12)은 제1결합부(12b)의 하부 측에 다수의 세레이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제2결합부(12c)를 구비하고, 이 제2결합부(12c)에 작동기어(12a)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 작동기어(12a)는 회전축(12)에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회전축(12)의 외주면에는 부싱 또는 베어링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축지부재(21)가 설치되고, 이 축지부재(21)는 회전축(12)을 안정적으로 회전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제1실시예의 축지부재(21)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과 커버(15) 사이, 또는 회전축(12)과 홀더(13)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축(12)을 커버(15) 또는 홀더(13)에 대해 회전지지시킨다.
커버(15)는 회전축(12)의 작동기어(12a)를 은폐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에 작동기어(12a)와 소통하는 관통공(15g)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15g)을 통해 작동체(16)가 인입 및 인출되고, 이 작동체(16)는 직선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치형(16a)을 가지며, 작동체(16)의 치형(16a)들은 회전축(12)의 작동기어(12a)와 치합되어, 작동체(16)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작동기어(12a) 및 회전축(12)이 동시에 회전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버(15)는 좌우 한 쌍이 분할된 제1 및 제2 조립체(15a, 15b)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조립체(15a, 15b)는 상기 회전축(12)의 작동기어(12a)를 은폐하는 상부 원통부(15c, 15e) 및 이 상부 원통부(15c, 15e)의 하부측에 하향으 로 연장된 하부 원통부(15d, 15f)를 포함하고, 하부 원통부(15d, 15f)는 상부 원통부(15c, 15e) 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13)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부는 커버(15)의 하부 원통부(15d, 15f)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이에 따라 홀더(13)는 커버(15)와 일체로 회전 또는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회전팁(14)은 홀더(13)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팁(14)은 그 상부에 결합돌기(14b)가 돌출되며, 이 결합돌기(14b)가 홀더(13)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회전팁(14)은 그 하부면(14a)이 원추형 곡면 또는 구형 곡면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회전팁(14, 14', 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면의 구조가 계단식 원추형 형태(14'a) 또는 구형(14"a)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렇게 서로 다른 구조의 회전팁(14, 14', 14")이 홀더(13)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제1실시예에 따른 팽이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15)의 관통공(15g) 내로 작동체(16)를 인입시키고, 작동체(16)를 소정횟수로 직선왕복운동시켜 작동기어(12a)를 회전시킨 후에 인출시키면, 이 작동기어(12a)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12) 및 회전체(11)가 일체로 회전구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체(11)의 회전관성에 의해 커버(15), 홀더(13) 및 회전팁(14)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팽이는 회전작동한다. 특히, 본 제1실시예의 축지부재(21)는 회전축(12)과 커버(15), 및/또는 회전축(12)과 홀더(13)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축(12)을 커버(15) 및/또는 홀더(13)에 대해 회전지지함으로써 회전축(12) 및 회전체(11)의 회전작동은 커버(15) 및/또는 홀더(13)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작동하는 팽이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홀더(13) 또는 커버(15)를 파지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이 때 회전축(12)은 축지부재(21)에 의해 회전지지됨에 따라 그 회전작동을 방해받지 않으므로, 홀더(13)또는 커버(15)를 파지하더라도 회전축(12) 및 회전체(11)의 회전작동은 일정한 시간(즉, 회전체(11)의 회전관성력이 남아 있는 시간) 동안 유지된다.
그런 다음, 팽이의 홀더(13) 또는 커버(15)를 파지한 후에 원하는 위치에 회전팁(14)을 정확하게 놓게 되면, 회전축(12) 및 회전체(11)의 회전력이 다시 회전팁(14)으로 전달되어 팽이의 회전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 것으로, 본 제2실시예의 커버(15)는 제1 및 제2 조립체(15a, 15b)의 각 하부 원통부(15d, 15f)의 하단면에 상기 하부 원통부(15d, 15f)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결합돌기(15h, 15i)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결합돌기(15h, 15i)의 외주면에 홀더(13)의 상단부가 끼움결합됨으로써, 본 제2실시예의 홀더(13)는 그 직경을 대폭 감소시켜 팽이의 작동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그 외관미를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 관계는 선행하는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 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이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팽이는, 회전체(31), 회전체(31)에 고정된 회전축(32), 상기 회전축(32)의 외측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홀더(33), 및 회전축(3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팁(34)을 포함한다.
회전체(31)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 등이고, 디스크 형상 또는 그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체(31)는 상하로 분할된 제1 및 제2 조립체(31a, 31b)가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전체(31)의 내부에는 회로기판(31c), 웨이트(31d) 등이 장착되는 공간(31e)이 형성된다.
회로기판(31c)에는 스피커 및/또는 발광체(미도시) 등이 접속될 수 있고, 이러한 스피커 및 발광체(미도시)는 회전체(31)의 소정위치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발광체는 특정 숫자 또는 문자 등이 다양한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그 발광하는 색상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의 팽이는 스피커 및/또는 발광체 등에 의해 청각적 및 시각적인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다채롭고 흥미로운 팽이치기를 할 수도 있다.
웨이트(31d)는 회전체(31)에 회전관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등과 같이 적절한 중량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조립체(31b)의 중심부에는 관체부(31f)가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관체부(31f)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관체 형상이며, 이 관체부(31f)의 상부 내경면에 후술하는 회전축(32)이 결합고정된다.
회전축(32)은 회전체(31)의 하부 중심부에 조립식 또는 일체형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1)의 제2조립체(31b) 측에 조립식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즉, 제2조립체(31b)의 관체부(31f)는 그 내경면에 다수의 세레이션 홈이 형성된 결합부(31g)를 구비하고, 회전축(32)의 상부 일측에는 결합부(32b)가 형성되며, 이 회전축(32)의 결합부(32b)에는 다수의 세레이션 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32)의 결합부(32b)가 관체부(31f)의 결합부(31g)에 결합됨으로써 회전축(32)은 회전체(31)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축(32)은 결합부(32b)의 하부 측에 작동기어(32a)가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이 작동기어(32a)는 회전축(32)에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회전축(32)의 외주면에는 부싱 또는 베어링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축지부재(41)가 설치되고, 이 축지부재(41)는 회전축(32)을 안정적으로 회전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제3실시예의 축지부재(41)는 회전축(32)과 홀더(33), 및/또는 회전축(32)과 커버(35)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축(32)을 홀더(33) 및/또는 커버(35)에 대해 회전지지시킨다.
회전팁(34)은 회전축(32)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예컨대 회전 팁(34)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34b)에 의해 회전축(32)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팁(34)은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부면이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곡면(34a)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34a)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팁(34)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3)의 하단부(33b)에 의해 그 상부 일부가 은폐되도록 함으로써 그 외적 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커버(35)는 회전축(32)과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축(32)의 작동기어(32a) 부분을 은폐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에 관통공(35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35)의 관통공(35a)측에는 작동체(36)가 인입 및 인출되고, 이 작동체(36)는 직선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치형(36a)을 가지며, 작동체(36)의 치형(36a)들은 회전축(32)의 작동기어(32a)의 치형들과 치합된다.
홀더(33)는 커버(35)에 인접하여 하나 이상의 축지부재(41)를 통해 회전축(32)을 회전지지하고, 이에 따라 홀더(33)는 회전축(32)의 회전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5)와 홀더(33) 사이의 길이방향 공간 측에 부싱 또는 베어링 등과 같은 지지부재(42)가 개재될 수 있고, 이러한 지지부재(42)들은 홀더(33) 및 커버(35) 사이를 길이방향(또는 축선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축(32)과 홀더(33)의 독립적인 회전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팽이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팽이를 수직으로 직립시킨 상태에서, 작동체(36)를 커버(35)의 관통공(35a) 내로 인입시킨 후에 작동체(36)의 치형(36a)과 작동기어(32a)을 치합시킨 상태에서 작동체(36)를 직선이동시키면 회전축(32)에 회전력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팽이는 회전체(11)의 회전관성에 의해 회전구동한다.
그런 다음, 회전작동하는 팽이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홀더(33)를 잡고 자유롭게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이때 회전축(32)은 축지부재(41, 42)에 의해 홀더(33) 또는 커버(35)에 대해 회전지지됨에 따라 그 회전작동을 방해받지 않으므로, 홀더(33)를 파지하여 그 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 회전축(32) 및 회전체(31)는 그 회전작동이 유지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제4실시예는 커버(35)의 상부 및 하부에 제1 및 제2 홀더(43, 44)가 분할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는 작동기어(32a)가 회전축(32)의 중심부 측에 형성됨으로써 커버(35)의 상하부에 개별적으로 홀더(43, 44)를 배치함으로서 사용자의 파지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 32)의 상 단에 회전체(11, 31)를 배치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그 회전중심을 고중심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더(13, 33)는 회전체(11, 31)의 하부측에 배치된다.
하지만,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12, 32)의 하단측에 회전체(11, 31)를 배치함으로써 그 회전중심을 종래와 유사하게 저중심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홀더(13, 33)는 회전체(11, 31)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팽이가 회전되는 도중에도 사용자가가 자유롭게 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흥미롭고 다채로운 팽이치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각적 및 청각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고, 일측 외주면에 작동기어가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작동기어를 은폐하도록 설치되고, 관통공을 가진 커버;
    상기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작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을 가진 작동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축지부재;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 및
    상기 홀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이 분할된 제1 및 제2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립체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작동기어를 은폐하는 상부 원통부 및 상기 상부 원통부의 하부측에 하향으로 연장된 하부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원통부는 상기 상부 원통부 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원통부에 상기 홀더가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 원통부는 그 하단에 상기 하부 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돌기에 상기 홀더가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4.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측 외주면에 작동기어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의 치형 외측을 커버하며, 관통공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회전축의 치형과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이 직선방향으로 배치된 작동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하나 이상의 홀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축지부재; 및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및 커버 사이의 길이방향 공간에는 지지부재가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팁은 그 일부가 홀더에 의해 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커버의 상부 및 하부에 분할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하로 분할된 제1 및 제2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그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공간에는 웨이트 및 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스피커 및 다수의 발광체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의 상단 및 하단 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KR2020070002193U 2007-02-06 2007-02-06 팽이 KR200439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193U KR200439845Y1 (ko) 2007-02-06 2007-02-06 팽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193U KR200439845Y1 (ko) 2007-02-06 2007-02-06 팽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845Y1 true KR200439845Y1 (ko) 2008-05-07

Family

ID=4164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193U KR200439845Y1 (ko) 2007-02-06 2007-02-06 팽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84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52B1 (ko) 2009-06-22 2011-07-25 최신규 완구용 팽이를 이용한 포터블 어태커
KR101463679B1 (ko) * 2013-01-18 2014-11-19 최신규 팽이 홀더
WO2015005608A1 (ko) 2013-07-11 2015-01-15 Choi Jong-Ill 팽이 및 이를 이용한 팽이 놀이 장치
EP2818216A4 (en) * 2012-02-20 2015-11-18 Shin-Kyu Choi TOY KREISE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52B1 (ko) 2009-06-22 2011-07-25 최신규 완구용 팽이를 이용한 포터블 어태커
EP2818216A4 (en) * 2012-02-20 2015-11-18 Shin-Kyu Choi TOY KREISEL
KR101463679B1 (ko) * 2013-01-18 2014-11-19 최신규 팽이 홀더
WO2015005608A1 (ko) 2013-07-11 2015-01-15 Choi Jong-Ill 팽이 및 이를 이용한 팽이 놀이 장치
KR101563399B1 (ko) 2013-07-11 2015-11-06 최종일 팽이 및 이를 이용한 팽이 놀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6065C (en) Spinning top and spinning top play device using same
KR200439845Y1 (ko) 팽이
US7281965B2 (en) Combination yo-yo and top
JP5779645B2 (ja) 空間論理および能力改善ゲーム、具体的には迷路ゲーム
JP3994172B2 (ja) 遊技機用風車
US20090061727A1 (en) Bubble-blowing wand
JP2009247882A (ja) 多連独楽
JP3138102U (ja) 剣玉玩具
CN211798775U (zh) 一种拼装玩具
JPH0527977Y2 (ko)
HU180186B (en) Three-dimensional form-constructing toy
US6419542B1 (en) Three-dimensional toy built up with freely connectable parts
KR101964160B1 (ko) 손가락으로 돌릴 수 있는 미니형 팽이
CN216703327U (zh) 一种陀螺操纵棒
JP6537213B1 (ja) カム遊び知育玩具
JP2011000414A (ja) 多連相互逆回転ジャイロ・モータ独楽
KR101314728B1 (ko) 윷놀이용 놀이기구
CN215232000U (zh) 无弹片羽毛毽球
CN107569845B (zh) 桌上足球进阶操作杆
CN210794210U (zh) 一种按压型玩具糖果机
CN107335225A (zh) 一种多动作的手动玩具
JP4418350B2 (ja) 移動体旋回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遊戯装置
CN204563587U (zh) 一种便于做出顶指招式的悠悠球
JP3214174U (ja) からくり知育汽車
CN204170409U (zh) 一种多功能的悠悠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