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692Y1 -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 - Google Patents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692Y1
KR200368692Y1 KR20-2004-0023382U KR20040023382U KR200368692Y1 KR 200368692 Y1 KR200368692 Y1 KR 200368692Y1 KR 20040023382 U KR20040023382 U KR 20040023382U KR 200368692 Y1 KR200368692 Y1 KR 200368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module
air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신
허용록
정진호
임정대
홍승모
조상국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20-2004-0023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6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6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에 있어서, 상단 접속 부재; 하단 접속 부재; 상기 상단 접속 부재와 상기 하단 접속 부재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중공사막; 및 상기 중공사막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내로 주입되는 공기가 상기 중공사막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은, 종래와 달리 중공사막 단위 모듈 자체에 공기 확산 방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이므로, 중공사막 외부로의 공기의 확산을 단위 모듈 차원에서 방지하여, 공기 주입시 막간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충분한 전단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막간폐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운전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은, 공기 주입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공기와 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막간 거리를 적절히 유지함에 의하여 막간폐색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중공사막 모듈은, 특히 단순한 구성과 장착이 용이한 구조를 구비하여, 시설 비용 및 유지, 보수 등의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Description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unit module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sing the unit module}
본 고안은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여과 등에 사용되는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은 표면에 무수히 많은 작은 기공이 뚫려 있고 가운데 공간이 비어 있는 가는 섬유인 중공사(hollow fiber)를 분리막으로 이용하는 여과 처리 장치로서, 여러가지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다성분 액체로부터 기공 크기보다 큰 물질을 배제하고, 기공 크기보다 작은 특정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효과적으로 회수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중공사막 모듈은 무균수, 음용수 제조 등의 한외여과나 정밀여과분야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하수 처리장에서의 2차, 3차 처리나, 정화조에 있어서의 고액 분리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된다.
상기 하수 처리에 사용되는 중공사막 모듈은 폭기조에 중공사막이 적용되는 방식에 따라서 외부 순환 방식 및 모듈 침지 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도 1은 기존의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중공사막 모듈은 일본 미쓰비시 레이온(Mitsubishi Rayon)사의 상용화된 모듈로서, 활성슬러지 케이크층의 침적을 줄이고자 중공사막(1)이 흡입파이프(3) 사이에서 포기되는 공기와 교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며, 공기 기포에 의하여 중공사막(1)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파이프(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콜렉터(2)가 설치되고 상기 콜렉터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며, 간헐적인 운전을 통하여 막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침지형 모듈은 수평으로 설치된 중공사막에 가하여지는 지속적인 충격에 의한 절단의 문제점 및 간헐적으로 운전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종래에 중공사막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기술이 다수 제안되었다.
도 2a는 종래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사막의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중공사막의 단위 모듈(10)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공사막(13), 상기 중공사막(13)의 상단에서 연결되는 상단 접속 부재(15) 및 상기 중공사막(13)의 하단에서 산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공하는 하단 접속 부재(11)를 구비한다. 그리고, 종래의 중공사막 모듈은 이와 같은 단위 모듈(10)의 복수개, 예를 들어 5개가 한조로 구성되며, 그 한조 전체를 감싸는 격막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10)의 복수개를 한조로 하고 그 모듈 전체에 격막을 설치하는 방식에 의하는 경우, 단위 모듈(10)로부터의 공기 확산은 방지할 수 없다.
도 2b는 도 2a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의 공기 흐름 및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10)에는 물이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고(40), 동시에, 공기가 중공사막 단위 모듈(10)의 하단 접속 부재(11)를 지나 상부로 흐른다(30).
그러나, 유입된 공기의 흐름(30)이 중공사막(13)을 통과시 중공사막(12)의 외부로 확산(31)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를 유입하여도 막간 협잡물을 떼어내기 위한 충분한 전단력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단위 모듈 복수개에 전체적으로 격막을 씌우는 기존의 구성은, 공기를 유입시키더라도, 중공사막의 막과 막사이에 협잡물이 끼이는 막간 폐색(interfiber clogging) 양을 저감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며, 이에 따라 중공사막 모듈의 운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와는 달리, 중공사막 모듈내로 주입되는 공기가 중공사막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중공사막 단위 모듈 차원에서 방지함으로써, 폐색 양중 특히 막간폐색 양을 현저히 저감하여 중공사막 모듈의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균일한 공기 주입이 가능하고, 막간폐색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막간 간격을 구현하며, 공기와 물의 흐름의 제어가 용이한,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종래의 중공사막 모듈의 복잡한 프레임의지지 구조와 달리, 설치가 용이하며, 단순한 구조를 가지므로 유지 및 보수에도 용이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는 종래의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b는 도 2a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내의 물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단위 모듈의 공기 확산 방지용 케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는 도 3의 공기 확산 방지용 케이스가 장착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b는 도 4a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내의 물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하단 접속 부재내의 공기 주입부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하단 접속 부재내에 중공사막이설치되는 형상 및 하단 접속 부재에서의 공기 및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상단 접속 부재내에 중공사막이 설치되는 형상 및 상단 접속 부재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도 4a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에 의하여 중공사막 단위 모듈이 복수개 장착된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평단면 개략도,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에 의하여 중공사막 단위 모듈이 복수개 장착된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중공사막 단위 모듈 110:중공사막 하단 접속 부재
111:하단 공기 주입부 112:공기 주입 구멍
115:중공사막 상단 접속 부재 130:중공사막
200:공기 확산 방지용 케이스 250:개구부
300:공기 흐름 310:중공사막 내부의 공기 흐름
400:물의 흐름 500:지지 프레임
600:산기관 610:처리수 흐름부
650:체결부 700: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중공사막 단위 모듈에 있어서, 상단 접속 부재; 하단 접속 부재; 상기 상단 접속 부재와 상기 하단 접속 부재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중공사막; 및 상기 중공사막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내로 주입되는 공기가 상기 중공사막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는, 상부 평면 및 하부 평면이 개방된 원통형 케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는, 상단 측면 또는 상단 측면 및 하단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단 접속 부재는, 중공사막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부에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공기 주입부의 외곽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공사막은, 섬유와 섬유 사이의 평균 거리가 4.3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또한,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는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 복수개의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장착부위를 가지는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 및 상기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과 상호 지지되며, 복수개의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의 각각에 공기를 제공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상술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단위 모듈의 공기 확산 방지용 케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a는 도 3의 공기 확산 방지용 케이스가 중공사막을 감싸도록 장착된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내의 물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단위 모듈(100)은, 중공사막(100)에 산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주입하는 하단 접속 부재(110)와 중공사막(100)에 연결되는 상단 접속 부재(115) 사이에서, 중공사막(130)이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중공사막의 하단 접속 부재(110)와 상단 접속 부재(115) 사이에는 상기 중공사막(130)을 감싸는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200)가 장착된다.
상기 공기 확산 방지 부재(200)는, 공기 확산을 방지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부재로서, 가장 간단하게는 예를 들어 상부 평면 및 하부 평면이 개방된 원통형 케이스이고, 상기 케이스는, 예를 들어 PVC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는 그 상단 측면 또는 상단 측면 및 하단 측면에 공기 또는 물의 유출입을 가능하도록 할 개구부(250)가 형성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200)를 장착한 중공사막 단위 모듈(100)은 종래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과 달리, 산기관으로부터 유입되어 중공사막 하단 접속 부재(110)를 통하여 상기 부재(200)내로 주입되는 공기의 흐름(300)은 상기 부재(200)내로만 진행하여 부재번호 31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공기의 흐름(310)을 가지게 되므로, 중공사막 외부로의 공기의 확산이 방지되고, 따라서 막간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충분한 전단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100)에서는 물의 흐름(400) 역시 상기 부재(200)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100) 내부를 지난 물의 흐름(400)의 일부 및 공기의 흐름(300)은 최종적으로 상기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200) 상단 측면에 형성된 두개의 개구부(250)를 통하여 중공사막 단위 모듈(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250)를 형성하는 경우, 하부에서 주입된 공기가 상단에서 외부로 빠져나가기가 쉽고, 나아가 하단 측면의 개구부로는 물의 주입이 용이하므로, 결국 물과 공기의 흐름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중공사막(130)은 섬유간의 평균 거리가 4.33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막간폐색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적합하다.
즉, 중공사막 모듈의 제작시 중공사막이 가능한 조밀(compact)하게 배열되도록해야 하지만,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막간 간격을 지나치게 좁히게 되면(예를 들어, 3.5mm), 막간 폐색이 유발되기 쉽다.
따라서, 막간 폐색을 방지하면서도 모듈의 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적합한 막간 간격 즉, 섬유 간격으로 4.33mm를 적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와 달리, 중공사막을 수직배열하고, 하부에서 공기를 주입하되, 각 단위 모듈별로 그 크기에 맞게 축소된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를 장착하여 단위 모듈내에 주입된 공기가 중공사막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 미생물 및 협잡물이 막내에 접착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전단력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막간폐색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이때, 막간 간격을 조절함에 의하여 막간폐색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공사막 모듈에서 가장 큰 운전 비용을 차지하는 하부 공기 주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하부 공기 주입량도 저감된다), 결국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하단 접속 부재내의 공기 주입부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하단 접속 부재내에 중공사막이 설치되는 형상 및 하단 접속 부재에서의 공기 및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 접속 부재(110)내에는 예를 들어 판재 형상의 공기 주입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주입부(111)에는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균일하게 하도록 공기 주입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112)이 형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사막(130)은 하단이 막혀 있는 구조이고, 상기 공기 주입부(111)의 관통 구멍(112)을 통과하여 균일하게 주입되는 공기는 상기 중공사막(130)을 흔들어주게 된다.
본 고안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은 공기의 주입시 균일한 공기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를 위하여 공기의 주입을 양쪽 파이프에서 동시에 수행하며, 특히 중공사막 단위 모듈의 하단 접속 부재내의 공기 주입부에 다수개의 공기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중공사막 단위 모듈 전체에 공기가 골고루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 구멍(112)은 상기 공기 주입부(111)의 중앙에 형성되지 않고, 공기 주입부(111)의 외곽 라인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균일한 공기의 주입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의 주입 방향과 같은 방향에 구멍이 위치할 경우(즉, 연결부위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 특히 그 가운데 구멍에만 공기가 몰리게 되어 균일한 공기의 주입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도 5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상단 접속 부재내에 중공사막이 설치되는 형상 및 상단 접속 부재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접속 부재를 살펴보면, 중공사막(130)은 상단에서 뚫려있는 구조이고, 이를 통하여 물이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상술한다.
도 6은 도 4a의 단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공기 확산 방지 부재(200)가 장착된 단위 모듈(100)을 복수개 구비하는데, 상기 단위 모듈(100)의 하단 접속 부재(110)에는 산기관(600)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산기관(600)의 재질로는 PVC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단 접속 부재(115)에는 상기 산기관(600)과는 다른 처리수 흐름관이, 상기 처리수 흐름관과 별도의 부재인 처리수 흐름부(610)를 통하여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 흐름관은 펌프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 모듈(100)을 연결하는 산기관(600) 및 처리수 흐름관은 별도의 지지 프레임(5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듈은, 단위 모듈(100)을 지지하는 산기관(600)과 처리수 흐름관을 별도의 지지 프레임(500)에 의하여 다시 지지하여야만 하는 구조인데, 이와 같은 구조로부터 벗어나, 프레임 자체에 각각의 단위 모듈을 직접 장착하도록 하면 상기와 같은 이중의 복잡한 지지 형태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7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에 의하여 중공사막 단위 모듈이 복수개 장착된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평단면 개략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에 의하여 중공사막 단위 모듈이 복수개 장착된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은, 특히 단위 모듈(100) 복수개를 일괄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한 장착위치가 미리 형성되고, 또한 내부에 처리수 흐름부가 마련된, 예를 들어 사각통 형상의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70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700)의 장착위치에는 단위 모듈(100)의 복수개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700)은 상기 단위 모듈(100)의 각각에 연결되는 산기관(600)과 상호 지지된다.
이때, 상기 산기관(600)과 상기 프레임(700)이 상호 지지되도록 상기 산기관(600)은 상기 프레임(700)과 체결부(650)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가 장착된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며, 나아가, 별도의 지지 프레임에 의한 산기관 및 처리수 흐름관의 지지 구조를 개선하여, 내부에 처리수 흐름부를 구비한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을 통하여 미리 형성된 장착위치에서 단위 모듈의 복수개를 일괄적으로 조립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과 산기관이 상호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중공사막 모듈의 설치가 쉬워지고, 구성이 간단하므로 유지 및 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은, 종래와 달리 중공사막 단위 모듈 자체에 공기 확산 방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이므로, 중공사막 외부로의 공기의 확산을 단위 모듈 차원에서 방지하여, 공기 주입시 막간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충분한 전단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막간폐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운전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중공사막 단위 모듈은, 공기 주입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공기와 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막간 거리를 적절히 유지함에 의하여 막간폐색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중공사막 모듈은, 특히 단순한 구성과 장착이 용이한 구조를 구비하여, 시설 비용 및 유지, 보수 등의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8)

  1. 중공사막 단위 모듈에 있어서,
    상단 접속 부재;
    하단 접속 부재;
    상기 상단 접속 부재와 상기 하단 접속 부재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중공사막; 및
    상기 중공사막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내로 주입되는 공기가 상기 중공사막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확산 방지용 부재는,
    상부 평면 및 하부 평면이 개방된 원통형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케이스는,
    상단 측면 또는 상단 측면 및 하단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접속 부재는,
    중공사막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부에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공기 주입부의 외곽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은,
    섬유와 섬유 사이의 평균 거리가 4.3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단위 모듈.
  7.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는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중공사막 단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
    복수개의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장착부위를 가지는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 및
    상기 모듈 직접 장착형 프레임과 상호 지지되며, 복수개의 상기 중공사막 단위 모듈의 각각에 공기를 제공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KR20-2004-0023382U 2004-08-16 2004-08-16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 KR200368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82U KR200368692Y1 (ko) 2004-08-16 2004-08-16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82U KR200368692Y1 (ko) 2004-08-16 2004-08-16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692Y1 true KR200368692Y1 (ko) 2004-12-03

Family

ID=4944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382U KR200368692Y1 (ko) 2004-08-16 2004-08-16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6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94B1 (ko) 2005-12-19 2006-12-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과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US20090308797A1 (en) * 2005-05-18 2009-12-17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KR101479904B1 (ko) 2014-06-19 2015-01-08 (주)엠비티 통수능력이 향상된 분리막 모듈
KR20220139478A (ko) * 2021-04-07 2022-10-17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분리막 모듈유닛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8797A1 (en) * 2005-05-18 2009-12-17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US8187410B2 (en) * 2005-05-18 2012-05-29 Woongjin Coway, Co. Lt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KR100656294B1 (ko) 2005-12-19 2006-12-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과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WO2007073080A1 (en) * 2005-12-19 2007-06-28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KR101479904B1 (ko) 2014-06-19 2015-01-08 (주)엠비티 통수능력이 향상된 분리막 모듈
KR20220139478A (ko) * 2021-04-07 2022-10-17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분리막 모듈유닛
KR102521996B1 (ko) 2021-04-07 2023-04-18 송성환 분리막 모듈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3461B2 (en) Cartridge-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mprising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unit module with free end and submerge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comprising air diffuser apparatus capable of intermittent/continuous aeration and its aeration method
JP4230569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5308028B2 (ja) 散気装置の洗浄方法
JP2004008981A (ja) 膜分離装置
JP2001009246A (ja) 浸漬平膜濾過装置
KR101958154B1 (ko) 공기세정 일체형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 장치
JP4361432B2 (ja) 水処理装置
KR200368692Y1 (ko) 침지형 중공사막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
JP5480973B2 (ja) 汚水の生物学的浄化方法及び生物学的浄化装置
JP3258553B2 (ja) 膜分離装置
JP5094022B2 (ja) 固液混合処理液のろ過液回収時に適用される散気装置及び膜ろ過ユニット
JP4374885B2 (ja) 膜分離装置
JP4819841B2 (ja) 膜分離装置
CN201169555Y (zh) 多功能滤管
JP4046445B2 (ja) 汚水の処理方法
JP6194161B2 (ja) 濾過及びエアリフト兼用装置ならびに水処理システム
JPH07275668A (ja) 膜分離ユニット
US20190077684A1 (en) System for Treating Sewage
CN107381792B (zh) 一种双自循环一体化mbr反应器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US20170305772A1 (en) System for Treating Sewage
JP3659672B2 (ja) 循環水路型曝気槽におけるスカムの除去装置
WO2019028559A1 (en) DIFFUSER HOUSING WITH UNDERWATER MEMBRANE UNIT
CN217284488U (zh) 一种循环水养殖系统
KR100718791B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