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04Y1 -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04Y1
KR200368304Y1 KR20-2004-0018316U KR20040018316U KR200368304Y1 KR 200368304 Y1 KR200368304 Y1 KR 200368304Y1 KR 20040018316 U KR20040018316 U KR 20040018316U KR 200368304 Y1 KR200368304 Y1 KR 200368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onnection member
pulley
idle pulleys
mai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무섭
Original Assignee
신무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무섭 filed Critical 신무섭
Priority to KR20-2004-0018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기용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내장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커플링에 의해 연결된 메인 풀리와, 상기 메인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동된 복수 개의 아이들 풀리와, 상기 복수 개의 아이들 풀리들을 상호 연동시키는 연결 부재를 갖으며, 상기 메인 풀리 및 상기 아이들 풀리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각기 이격되도록 설치된 구동 수단과; 상기 연결 부재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캐리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분을 가열시키도록 제공된 가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을 지그 재그 형상으로 구현하여 설치 공간 대비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베이스 프레임의 가열 부분과 비가열 부분을 분리시킬 수 있어 에너지 낭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shboard of automobile to bond}
본 고안은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대쉬 보드 조립시 작업 동선을 최소화하여 작업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실내는 일반적으로 대쉬 패널에 의해 엔진룸과 격리, 형성되며, 대쉬 패널의 타이 바아에 대쉬 보드가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대쉬 보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2)이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되며, 조수석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으로는 소용물을 수납하기 위한 글로브 박스(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하부 위치로 스티어링 컬럼(6)이 연장 형성되어 있어 스티어링 휠(도시 안됨)에 의해 회동하는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안됨)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글로브 박스(4)의 상부 위치로는 조수석 에어백(10)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중앙 하부로는 콘솔박스 어셈블리의 프론트 콘솔(12)이 연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윈드 쉴드 글래스와 근접되는 선단 부위로는 프론트 디프로스터의 에어벤트(16)가, 좌,우측 선단 및 중앙의 부위로는 에어 컨디셔너의 에어 벤트 (18)(20)(22)가 형성되어 있어 프론트 디프로스터 및 에어 컨디셔너에 의한 윈드쉴드 글래스의 해빙 작용 및 결로 제거 작용, 그리고 차실내의 공기 조화 작용이 구현된다.
통상적으로, 대쉬 보드는 코어를 가열한 다음 외부면에 합성 수지 계열의 외장재를 접착하여 전체적인 형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쉬 보드는 자동차 부품중에서 체적이 큰 부품에 속하기 때문에 복수 개가 동시에 제조되기 위해서는 조립 라인이 길어져야 되고, 이로 인한 작업 동선이 길어져 작업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공장 공간을 최적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대쉬 보드의 접착 공정이 작업 동선을 최적화하여 작업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내장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커플링에 의해 연결된 메인 풀리와, 상기 메인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동된 복수 개의 아이들 풀리와, 상기 복수 개의 아이들 풀리들을 상호 연동시키는 연결 부재를 갖으며, 상기 메인 풀리 및 상기 아이들 풀리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각기 이격되도록 설치된 구동 수단과; 상기 연결 부재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캐리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분을 가열시키도록 제공된 가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복수 회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된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 부재가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캐리어가 반송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단부에 취부된 이송 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송 전환부는 상기 연결 부재와 연동된 풀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풀리의 하단부에 제공된 장력 조절단을 포함한다.
도 1은 자동차 대쉬 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구동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이송 전환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프레임
20 : 구동 수단
21 : 구동 모터 22 : 메인 풀리
23 : 커플링 24, 26, 27 : 아이들 풀리
25 : 벨트
30 : 가열 부분
42, 44 : 연결 부재
60 : 이송 전환부
62 : 아이들 풀리 64 : 장력 조절단
100 : 캐리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이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어 작업 동선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은 대쉬 보드(도시 안됨)가 공급 및 배출되는 입구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작업 동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직선 타입이 아닌 지그재그 형태로 수회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의 일부분은 가열 수단, 예컨대 히터 등에 의해 외측부가 전체적으로 가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수단(20)은 베이스 프레임(10)에 내장된 모터(21)와, 모터(21)와 커플링 (23)에 의해 연결된 메인 풀리(24)와, 메인 풀리(24)와 벨트(25)에 의해 각기 연동된 제 1 아이들 풀리(24)와, 제 1 아이들 풀리(24)와 연결 부재(42)(44)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아이들 풀리(26)(2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연결 부재(25)는 체인 또는 "V" 벨트가 바람직하다.
구동 수단(20)의 아이들 풀리(24)(26)(27)는 지그재그 타입인 베이스 프레임 (10)의 내부를 따라 연결 부재(42)(44)에 의해 연동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어(10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공급측으로부터 출발해서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42)(44)는 각기 대응된 아이들 풀리(24)(26)(27)에 연결된 체인으로서, 캐리어(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거치대가 취부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캐리어(100)는 자동차 대쉬 보드(도시 안됨)가 안착될 수 있도록 삼각 형상의 앵글 타입이며, 상단부가 연결 부재(42)(44)의 거치대에 거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 대쉬 보드는 코어(core)로서 외장을 위해 합성 수지 계열의 피막들이 접착되어야 하는 데, 이를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0)의 임의 부분, 예컨대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30)에는 열풍기 또는 전기 가열식 히터와 같은 가열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수단에 의해 대쉬 보드가 가열된 상태에서 대쉬 보드의 코어에 접착 공정이 완료되면 대쉬 보드를 안착한 캐리어(100)는 다시 원 상태로 복귀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0)이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캐리어(100)의 이송이 전환되는 부분에 이송 전환부(60)가 제공되어 있다.
이송 전환부(6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아이들 풀리(62)가 연결 부재(42)(44)에 의해 연동되어 있어 캐리어(100)가 하강한 후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42)(44)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이송 전환부(60)의 풀리(62) 하단부에는 장력 조절단(64)이 취부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50"은 캐리어(100)의 방향이 90°전환되는 아이들 풀리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의 작동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 모터(21)가 작동하게 되며, 캐리어(100)는 연결 부재(42)(44)의 거치대의 이송에 따라 움직여진다.
이 때, 베이스 프레임(10)의 입구에서 대쉬 보드(도시 안됨)를 순차적으로 거치시키면 가열 구간을 통과한 후 작업자에 의해 외장이 접착되고 이송 전환부(60)을 경유하여 베이스 프레임(10)의 입구측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외장이 접착된 대쉬 보드를 탈거하면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 공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대쉬 보드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利點)과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작업 동선을 최소화하여 작업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은 베이스 프레임을 지그 재그 형상으로 구현하여 설치 공간 대비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은 베이스 프레임의 가열 부분과 비가열 부분을 분리시킬 수 있어 에너지 낭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내장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커플링에 의해 연결된 메인 풀리와, 상기 메인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동된 복수 개의 아이들 풀리와, 상기 복수 개의 아이들 풀리들을 상호 연동시키는 연결 부재를 갖으며,
    상기 메인 풀리 및 상기 아이들 풀리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각기 이격되도록 설치된 구동 수단과;
    상기 연결 부재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캐리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분을 가열시키도록 제공된 가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지그재그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반송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단부에 취부된 이송 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송 전환부는,
    상기 연결 부재와 연동된 풀리와,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상기 풀리의 하단부에 제공된 텐션 조절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KR20-2004-0018316U 2004-06-29 2004-06-29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KR200368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316U KR200368304Y1 (ko) 2004-06-29 2004-06-29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316U KR200368304Y1 (ko) 2004-06-29 2004-06-29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04Y1 true KR200368304Y1 (ko) 2004-11-18

Family

ID=4944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316U KR200368304Y1 (ko) 2004-06-29 2004-06-29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15346B (zh) 车辆仪表板的自承式载体结构、仪表板和车辆
US11772725B2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electric vehicle platform
US6641195B2 (en) Vehicular cockpit module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US4888072A (en) Accessory support device for vehicle windshield and method of installing
US7118154B2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n instrument panel by a defroster nozzle
US8356683B2 (en) Motor vehicle front end subassembly
KR200368304Y1 (ko) 자동차 대쉬 보드 접착용 이송 장치
GB2065866A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EP1544007B1 (en) Air-distribution device based on the coanda effect
CN110816224A (zh) 车厢前部结构
KR100747795B1 (ko) 차량 히터 고정 구조
KR20050007532A (ko) 전면벽 모듈
US11840297B2 (en) Parallel cell based mobility production system
EP2428376B1 (en) Preassembled rear module of a cabin of a heavy vehicle.
CA2297697C (en) Door trim panel with integrated defrost duct and substructure
JP2004001709A (ja) エアバック装置のカバー構造
US11858572B2 (en) Parallel cell based mobility production system
JP4040342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H08216805A (ja) 車両の電源分配構造
KR200427148Y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마운팅 구조
CN211139258U (zh) 一种具有送风除霜除雾功能的客车内顶装饰装置
FR2821796B3 (fr) Entrainement d&#39;actionnement pour volets de chauffage, d&#39;aeration ou de climatisation dans un vehicule automobile
KR100521668B1 (ko) 상용차의 대시 패널 구조
JPH11334415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4023291B2 (ja) 空調制御部材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