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263Y1 -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 - Google Patents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263Y1
KR200367263Y1 KR20-2004-0021579U KR20040021579U KR200367263Y1 KR 200367263 Y1 KR200367263 Y1 KR 200367263Y1 KR 20040021579 U KR20040021579 U KR 20040021579U KR 200367263 Y1 KR200367263 Y1 KR 200367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blade portion
receiving groove
kitchen knif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규
Original Assignee
임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규 filed Critical 임진규
Priority to KR20-2004-0021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2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26B11/006Several functions combined in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에서 비교적 사용빈도가 높은 칼의 일측면에 무나 생강과 같은 각종 양념류를 갈 수 있는 강판부를 탈착가능하게 장착시켜 필요에 따라 강판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A kitchen knife of having a grater function}
본 고안은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음식물을 자를 때 사용되는 칼의 일측면에 무나 생강과 같은 각종 양념류를 갈 수 있도록 한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는 생강이나 무, 마늘 등을 비롯한 각종 양념류를 갈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조리용 강판이 보급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강판의 구성은 직사각형태의 강판본체가 있고, 상기 강판본체의 일면에는 조리물 등이 슬라이딩되는 미끄럼판이 부착되며, 상기 미끄럼판에는 방사형의 채썰기용 돌기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 하단에는 통공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강판의 사용방법은 조리물을 미끄럼판에 밀착시키고 돌기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돌기를 통해 갈린 조리물들이 하단의 통공을 통해 인출되게 된다.
또한, 가정에서 음식을 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조리물을 절단하는 칼이다. 이러한 칼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갖고 있으며,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적어도 다른 종류의 칼을 3 ~ 5개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칼에 비해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강판은 보관시 비교적 자주 사용하지 않은 후미진 곳이나 별도의 보관함에 구비해두었다가 필요시에만 찾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조리과정 중 강판을 사용해야 할 경우 강판을 일일이 찾아야만 하며, 특히 소정량의 재료를 갈기 위해 강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매우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추후 세척하고 다시 보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주방에서 비교적 사용빈도가 높은 칼의 일측면에 무나 생강과 같은 각종 양념류를 갈 수 있는 강판부를 장착시킨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방용 칼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칼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주방용 칼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칼날부
11 : 수납홈 12 : 인출공
13 : 장착홈 14 : 고정홈
20 : 손잡이부
30 : 강판부
31 : 강판돌기 32 : 장착돌기
33 : 고정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조리물을 자를 수 있도록 형성된 칼날부와; 상기 칼날부의 후방에 장착되어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주방용 칼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의 일측면에는 내부로 절곡된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에는 칼날부를 관통하는 인출공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고, 수납홈 하단에는 장착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부의 인출공에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 강판돌기가 일측에 장착된 강판부가 그 하단에 칼날부의 장착홈과 대응되는 장착돌기를 갖고 칼날부의 수납홈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도 1의 주방용 칼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방용 칼은 크게 일측면에 수납홈(11)이 형성된 칼날부(10)와; 상기 칼날부(10)의 후방에 장착되어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20); 상기 칼날부(10)의 수납홈(11)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강판부(3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칼날부(10)는 소정의 조리물을 자를 수 있도록 한 통상적인 기능과 함께 강판부(30)가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충족하기 위하여, 상기 칼날부(10)의 일측면에는 내부로 절곡된 수납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11)에는 칼날부(10)를 관통하는 인출공(12)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고, 수납홈(11) 하단에는 장착홈(13)이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2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이나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종래의 칼과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강판부(30)는 칼날부(10)의 수납홈(11)과 대응되는 모양을 갖고 빈공간없이 장착되며, 그 일측면에는 칼날부(10)의 인출공(11)에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 강판돌기(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칼날부(10)의 장착홈(13)과 대응되는 장착돌기(32)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강판부(30)의 강판돌기(31)는 도면에 부호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강판부(30)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강판돌기(31)부터 칼날부(10)의인출공(12)까지 연속적인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리용 칼은 상기 강판부(30)를 칼날부(10)의 수납홈(11)에 강판돌기(31)가 외측에 보이도록 위치시키고, 강판부(30)의 장착돌기(32)를 수납홈(11)의 장착홈(13)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강판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강판부(30)가 장착된 칼날부(10)의 일면에 갈고자 하는 조리물을 밀착한 상태에서 강판돌기(31)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시키면 갈린 조리물은 강판돌기(31)의 하단을 거쳐 칼날부(10)의 인출공(11)을 통해 배출됨으로서 강판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강판부(30)를 칼날부(10)의 수납홈(11)에 좀 더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강판부(30)의 측면에 소정의 고정돌기(33)를 형성하고, 수납홈에는 상기 장착돌기(32)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를 갖는 고정홈(14)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주방용 칼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서는 본 고안이 칼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강판부(30)를 칼날부(10)로 부터 탈착시키고 그 위치를 돌려 강판돌기(31)가 칼날부(10)의 인출공(12)에 삽입되게 수납홈(11)에 장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강판부(30)의 강판돌기(31)가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칼날부(10)의 양측면에 돌출된 부위가 없도록 하여 통상의 칼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칼날부(10)를 관통하는 인출공(12)이 형성되어 있어 조리물을 자를 때잘린 조리물들이 칼날부에 잘 붙지 않도록 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은 주방에서 비교적 사용빈도가 높은 칼의 일측면에 무나 생강과 같은 각종 양념류를 갈 수 있는 강판부를 탈착가능하게 장착시켜 필요에 따라 강판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조리물을 자를 수 있도록 형성된 칼날부와; 상기 칼날부의 후방에 장착되어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주방용 칼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의 일측면에는 내부로 절곡된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에는 칼날부를 관통하는 인출공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고, 수납홈 하단에는 장착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부의 인출공에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 강판돌기가 일측에 장착된 강판부가 그 하단에 칼날부의 장착홈과 대응되는 장착돌기를 갖고 칼날부의 수납홈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판부(30)의 측면에 소정의 고정돌기(33)가 형성되고, 수납홈에는 상기 장착돌기(32)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를 갖는 고정홈(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
KR20-2004-0021579U 2004-07-28 2004-07-28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 KR200367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579U KR200367263Y1 (ko) 2004-07-28 2004-07-28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579U KR200367263Y1 (ko) 2004-07-28 2004-07-28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263Y1 true KR200367263Y1 (ko) 2004-11-10

Family

ID=4944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579U KR200367263Y1 (ko) 2004-07-28 2004-07-28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2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9744C (en) Multi grater
US6318652B1 (en) Grater
USD463639S1 (en) Ergonomic blade scraper
KR200360448Y1 (ko) 다짐 기능을 가진 푸드 쵸퍼
US2482180A (en) Food grating and shredding device
KR200367263Y1 (ko) 강판기능을 갖는 주방용 칼
KR200466985Y1 (ko)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CN214352561U (zh) 一种便于拆装的刀具
KR102115549B1 (ko) 다용도 채칼
US11059192B1 (en) Cutting device with additional elements
KR200361204Y1 (ko) 칼갈이를 갖는 도마
CN109106248A (zh) 一种厨房家用器具
KR200352044Y1 (ko) 작두를 겸비한 칼과 도마
CN211883512U (zh) 多功能抽屉式多层砧板
CN218170532U (zh) 一种多功能切菜机
CN205021634U (zh) 一种多功能切菜器
KR200251997Y1 (ko) 다용도 마늘 절단 분쇄기
JP3022202U (ja) 野菜等の調理器
JP2006130278A (ja) 包丁用備品器具
KR200416723Y1 (ko) 쟁기 칼
CN212241129U (zh) 一种多功能刀具
KR200277268Y1 (ko) 과채 세절용 강판
US11850762B1 (en) Cutting device with additional elements
USD496834S1 (en) Kitchen slicer set
TWM548059U (zh) 多功能廚用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