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191Y1 - 차량 단속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단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191Y1
KR200367191Y1 KR20-2004-0023444U KR20040023444U KR200367191Y1 KR 200367191 Y1 KR200367191 Y1 KR 200367191Y1 KR 20040023444 U KR20040023444 U KR 20040023444U KR 200367191 Y1 KR200367191 Y1 KR 200367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illegal
delinquent
vehicl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보
Original Assignee
한국이미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이미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국이미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20-2004-0023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문자 인식장치를 통해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체납 및 불법(범죄)차량에 대한 신속한 조회 및 정확한 위치 등의 정보를 담당자에게 즉시 알려주어 번호판 영치 및 불법(범죄)차량을 견인하거나 범인을 검거하도록 함으로써 체납 및 불법차량 등 단속차량을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알려주어 단속할 수 있고, 체납차량 영치 활동 및 불법(범죄)차량 검거를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어 능률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차량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단속시스템{system for regulating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문자 인식장치를 통해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체납 및 불법(범죄)차량에 대한 신속한 조회 및 정확한 위치 등의 정보를 담당자에게 즉시 알려주어 번호판 영치 및 불법(범죄)차량을 견인하거나 범인을 검거하도록 하는 차량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세는 부동산과 달리 소유권의 변동이 빈번하고 재산적 가치도 미약하여 납세자들의 낮은 납세의식으로 매년 체납액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징수 수단인 자동차 등록권 압류는 자동차 운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조기 징수 등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지방세 체납액의 주원인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성이 높은 자동차의 특수성으로 출ㆍ퇴근 및 영업활동 등으로 체납차량이 주간에는 징수관할지역을 벗어나 있는 경우가 많아 번호판을 영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체납차량의 번호판 영치 활동은 제한적이고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어 이에 대한 혁신적인 수단확보가 필요하다.
현재 체납차량은 야간 및 새벽시간을 이용한 공무원들의 체납차량 번호판 영치 활동에도 불구하고 체납자 본 거주지와 주소지가 일치하지 않거나 부도ㆍ폐업 등으로 사실상 체납자 본거지를 이탈해 있는 차량은 영치가 불가능함으로써 성실한 납세자와의 공평성을 저해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체납차량 번호판 영치는 활동조별로 서버에 있는 체납차량 자료를 개인휴대단말기(이하 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등에 다운로드받아서 현장에 출장하여 차량번호를 입력, 체납유무를 확인한 후 번호판을 영치하고 그 결과를 사무실 복귀 후 서버에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일부는 PDA를 이용하여 무선망을 통해 체납자료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정도의 기능을 활용하고 있지만 이는 자료를 휴대용 컴퓨터에 다운로드를 받지 않고 직접 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가지고 온다는 점 이외에는 별반 달라지는 게 없다.
또한 단속업무에서 민원이 야기될 시 사무실로 찾아오는 민원에 대처하기 위하여 무전으로 단속원을 사무실로 불러 대응케 하거나 촬영된 디지털 자료를 보여주어 민원인에 대응함으로써 비능률적이고 비생산적인 민원처리가 되고 있다.
이처럼 체납명부나 노트북 개인휴대단말기 등을 이용한 방법은 조회 및 휴대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번호판 영치 활동을 위해 투입되는 인력과 노력 등에 비해 그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며 번호판 영치 활동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민들의 다양한 요구에 즉각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으며, 수납사항 정리, 영치 대장의 기록관리 등 업무의 수작업 관리체계로 비생산적인 업무처리가 되고 있는 현실이다.
나아가 무적(대포)차량 및 장기 체납차량은 무보험, 무단방치와 같은 여러가지 사회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기도 하므로 보다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불법 및 범죄차량 검거는 경찰의 검문초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 일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로 차량의 번호를 촬영하고 불법차량관리 서버에 송수신하여 불법유무의 정보를 초소 근무자에게 알려주어 차량을 검거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범위가 지극히 지엽적일 뿐만 아니라 그 초소에 담당경찰이 상시 근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현재 여건상 일정 시간을 정해서 근무하고 철수하기 때문에 효율의 극대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방법도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외부망에서 내부망으로 접속해야 하기 때문에 방화벽을 설치해도 현재의 기술력으로는 시스템의 해킹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체납 및 불법차량 등 단속차량을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알려주어 단속할 수 있고, 체납차량 영치 활동 및 불법(범죄)차량 검거를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어 능률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차량 단속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이 멈출 수 있는 전역에 고정감시카메라 및 현장활동 단속요원의 PDA가 설치되어 세금을 내지 않으면 언제 어디서나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불편한 인식을 사회저변에 확산시켜 고의적으로 세금을 내지 않는 납세자를 줄여 지방세징수율을 높이고 차량도난 등 차량을 이용한 범죄도 단속 그물망에 기필코 걸려든다는 불안감을 확산시켜 차량범죄예방에 혁신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차량 단속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 단속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고정감시카메라 촬영 시 업무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카메라가 내장된 PDA 촬영 시 업무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차적 조회서버 10 : 체납자 관리서버
11 : 체납 데이터베이스 12 :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
13 : 불법(범죄)차량관리 데이터베이스
14 : 체납조회 15 : 불법(범죄)차량조회
16 : 위치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20 : 개인휴대단말기(PDA)
21 : 고정감시카메라 22, 23, 24, 25 : 문자 인식장치
30 : 담당경찰 컴퓨터 단말기 31 :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
32 : 관할지역 담당경찰 컴퓨터 단말기
33 : 관할지역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
34, 36 : 순찰 기동대 35, 37 : 단속 기동대
40 : 번호판 영치 41 : 차량견인 및 범인검거
50 : 내용 저장 데이터베이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 단속시스템은 체납차량 번호판을 영치하거나 불법차량을 검거하기 위한 차량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 차량이 멈출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고정감시카메라; 상기 고정감시카메라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전송받아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시키는 문자 인식장치; 상기 문자 인식장치로부터 변환된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번호를 단속대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번호가 단속대상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번호가 단속대상에 해당되는 차량인 경우 상기 고정감시카메라의 위치가 저장된 위치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정감시카메라의 위치를 확인하는 차적 조회서버; 상기 차적 조회서버로부터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에 대한 차적 정보를 제공받아 담당자에게 알려주는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사상으로, 체납차량 번호판을 영치하거나 불법차량을 검거하기 위한 차량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가 내장되어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개인휴대단말기(PDA);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전송받아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시키는 문자인식장치; 상기 문자 인식장치로부터 변환된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번호를 단속대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번호가 단속대상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차적 조회서버; 상기 차적 조회서버로부터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에 대한 차적 정보를 제공받아 알려주는 알림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PDA)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는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고정감시카메라의 위치가 원거리일 경우 상기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차적 정보를 제공받아 단속대상 차량임을 알려주는 관할지역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체납 및 불법차량 등 단속차량을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알려주어 단속할 수 있고, 체납차량 영치 활동 및 불법(범죄)차량 검거를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어 능률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차량이 멈출 수 있는 전역에 그물망처럼 고정감시카메라 및 현장활동 단속요원의 PDA가 설치되어 세금을 내지 않으면 언제 어디서나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불편한 인식을 사회저변에 확산시켜 고의적으로 세금을 내지 않는 납세자를 줄여 지방세 징수율을 높이고 차량도난 등 차량을 이용한 범죄도 기필코 단속 그물망에 걸려든다는 불안감을 확산시켜 차량범죄예방에 혁신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 단속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차량 단속시스템은 체납차량 번호판을 영치하거나 불법차량을 검거하기 위한 차량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멈출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고정감시카메라(21)와, 고정감시카메라(21)로부터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전송받아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시키는 문자 인식장치(22, 23)와, 문자 인식장치(22, 23)로부터 변환된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단속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하여 단속대상에 해당되는 차량인 경우 고정감시카메라(21)의 위치를 확인하는 차적 조회서버(9)와, 차적 조회서버(9)로부터 차적 정보를 제공받아 단속대상 차량임을 알려주는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30, 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감시카메라(21)는 차량이 멈출 수 있는 전역(주차장, 고속도로 톨게이트, 주유소, 검문소, 음식점 등)에 그물망처럼 설치하여 차량 진입시 고정감시카메라(21)를 통해 차량번호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는 유/무선망을 이용하여 문자 인식장치(22, 23)로전송된다.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전송받은 문자 인식장치(22, 23)는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시킨다.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된 차량번호는 차적 조회서버(9)로 입력된다.
차적 조회서버(9)는 수시로 체납정보를 체납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는 체납자 관리서버(10)와, 불법차량신고가 접수되는 대로 실시간 자료를 불법(범죄)차량관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는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납자 관리서버(10)와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는 인트라넷(Intranet) 또는 엑스트라넷(Extranet)을 구축하여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체납자 관리서버(10) 및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는 고정감시카메라(21)가 설치된 위치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와 연동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체납자 관리서버(10)는 문자 인식장치(22, 23)로부터 입력받은 차량번호를 체납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체납차량인 경우 위치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를 검색하여 고정감시카메라(21)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한 후 체납 담당자의 컴퓨터 단말기(31)에 체납차량의 위치, 차량번호, 위반사실 등 차적 정보를 신호 혹은 메시지로 즉시 알려주어 체납 담당자가 차량번호판을 영치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체납차량이 원거리일 경우에는 관할지역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33)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은 관할지역 체납 담당자는 직접 또는 단속 기동대(35, 37)에게 위반사실 및 차량위치를 통보하여 차량번호판을 영치할 수 있도록 한다.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는 문자 인식장치(22, 23)로부터 입력받은 차량번호를 불법(범죄)차량관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불법(범죄)차량인 경우 위치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를 검색하여 고정감시카메라(21)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한 후 담당경찰 컴퓨터 단말기(30)에 불법(범죄)차량의 위치, 차량번호, 불법사실 등의 차적 정보를 즉시 알려준다.
여기서 불법(범죄)차량이 원거리일 경우에는 관할지역 담당경찰 컴퓨터 단말기(32)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은 관할지역 담당경찰은 직접 또는 순찰 기동대(34, 36) 요원에게 불법사실 및 차량위치를 통보하여 차량견인 또는 범인을 검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로서 차량 단속시스템은 체납차량 번호판을 영치하거나 불법차량을 검거하기 위한 차량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가 내장되어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개인휴대단말기(20)(이하 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PDA(20)로부터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전송받아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시키는 문자 인식장치(24, 25)와, 문자 인식장치(24, 25)로부터 변환된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단속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하여 단속대상에 해당되는 차량인 경우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차적 조회서버(9)와, 차적 조회서버(9)로부터 차적 정보를 제공받아 단속대상 차량임을 알려주는 알림장치(20, 30, 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노상주차장이나 노상주차시 현장활동요원들의 카메라가 부착된 PDA(20)를 통해 차량번호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차량번호 이미지는 무선망을 이용하여 문자 인식장치(24, 25)로 전송된다.
문자 인식장치(24, 25)로 전송된 차량번호 이미지는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된다.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된 차량번호는 차적 조회서버(9)로 입력된다.
차적 조회서버(9)는 체납자 관리서버(10) 및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납자 관리서버(10) 및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기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구성되어 체납자 관리서버(10)는 입력받은 차량번호와 체납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체납차량인 경우 현장활동요원의 PDA(20)나 체납 담당자의 컴퓨터 단말기(31)에 체납차량의 위치, 차량번호, 위반사실 등의 차적 정보를 신호 혹은 메시지로 즉시 알려준다.
차적 정보를 제공받은 체납 담당자는 본인이 직접 번호판을 영치할 수 있고, 체납차량이 원거리일 경우에는 관할지역 체납 담당자의 컴퓨터 단말기(33)에 필요한 차적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은 관할지역 체납 담당자는 직접 또는 단속 기동대(35, 37)에게 통보하여 번호판을 영치할 수 있도록 한다.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는 입력된 차량번호와 불법(범죄)차량관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불법(범죄)차량인 경우 현장활동요원의 PDA(20)나 담당경찰 컴퓨터 단말기(30)에 체납차량의 위치, 차량번호, 불법사실 등의 차적 정보를 신호 혹은 메시지로 즉시 알려준다.
차적 정보를 제공받은 담당경찰은 본인이 직접 차량을 견인하거나 범인을 검거할 수 있다. 불범(범죄)차량이 원거리일 경우에는 관할지역 담당경찰의 컴퓨터 단말기(32)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은 관할지역 담당경찰은 직접 또는 순찰 기동대(34, 36) 요원에게 통보하여 차량견인 또는 범인을 검거할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감시카메라(21)와 PDA(20)를 이용한 차량 단속시스템은 동시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이 멈출 수 있는 전역에 그물망처럼 차량 단속을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고정감시카메라 촬영 시 업무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차장, 고속도로톨게이트, 주유소, 음식점, 검문소 등 전역에 설치된 고정감시카메라(21)를 통해 차량번호가 촬영된다.
촬영된 차량번호는 유/무선망을 이용하여 문자 인식장치(22, 23, 24, 25)로 전송되고 전송된 차량번호는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되어 체납자 관리서버(10) 및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로 동시에 입력된다.
체납자 관리서버(10)에서는 체납자 관리서버(10)와 연동된 체납 데이터베이스(11)에서 체납조회(14)를 하여 입력된 차량번호가 체납차량인 경우에는 위치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를 검색하여 고정감시카메라(21)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한다.
위치가 확인되면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31)에 체납차량의 차량번호 및 위치, 위반사실 등의 차적 정보를 알려준다.
차적 정보를 제공받은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31)는 현장활동요원 단말기(PDA)(20)에 체납차량의 차적 정보를 알려주어 차량번호판 영치활동(40)을 하고 영치내역을 번호판 영치, 불법차량견인 및 범인검거 내용을 저장하는 내용 저장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한 후 종료한다.
만약 체납차량이 원거리일 경우에는 관할지역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33)에 차적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를 제공받은 관할지역 체납 담당자는 직접 영치활동(40)을 하거나 단속 기동대(37)에게 통보하여 번호판 영치(40)활동을 하도록 한다.
체납차량이 아닐 경우에는 바로 종료한다.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는 불법(범죄)차량관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된 정보에서 입력된 차량번호의 불법(범죄)사실을 조회(15)하여 불법(범죄)차량인 경우 고정감시카메라(21)가 설치된 위치를 위치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를 검색하여 위치를 확인한다.
담당경찰 컴퓨터 단말기(30)에 불법(범죄)차량의 위치, 차량번호, 위반사항 등의 차적 정보를 신호 혹은 메시지로 즉시 알려주어 담당경찰이 순찰 기동대(36)에게 통보하여 차량을 견인하거나 범인을 검거(41)하도록 조치하고 조치한 내역을 저장한 후 종료한다.
불법(범죄)차량이 원거리일 경우에는 담당경찰 컴퓨터 단말기(30)는 관할지역 담당경찰 컴퓨터 단말기(32)에 차적 정보를 제공하여 관할지역 담당경찰이 순찰 기동대(36)에게 통보하여 차량을 견인하거나 범인을 검거하도록 한다.
불법차량이 아닌 경우에는 바로 종료한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따른 카메라가 내장된 PDA 촬영 시 업무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현장요원들의 PDA(20)로 촬영된 차량번호를 무선망을 이용하여 문자 인식장치(22, 23, 24, 25)로 전송되고 전송된 차량번호는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되어 체납자 관리서버(10) 및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로 동시에 입력된다.
체납자 관리서버(10)로 입력된 차량번호는 체납자 관리서버(10)와 연동된 체납 데이터베이스(11)에서 체납조회(14)를 한 후 체납차량인 경우에는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31)에 체납차량의 차적 정보를 알려준다.
차적 정보를 제공받은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31)는 현장활동요원 단말기(PDA)(20)에 정보를 제공하여 번호판 영치(40)활동을 하고 영치내역을 내용 저장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한 후 종료한다.
체납차량이 원거리일 경우 관할지역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33)에 차적 정보를 제공하고 관할지역 체납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33)는 단속 기동대(37)에 통보하여 영치활동(40)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체납차량이 아닌 경우에는 바로 종료한다.
불법(범죄)차량 관리서버(12)로 입력된 차량번호는 불법(범죄)차량 관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된 정보에서 불법(범죄)사실을 조회(15)하여 불법(범죄)차량인 경우 담당경찰 컴퓨터 단말기(30)에 불법(범죄)차량의 위치, 차량번호 등의 정보(신호 혹은 메시지)를 즉시 알려주어 순찰 기동대(36) 또는 관할지역 담당경찰(32)을 통해 차량 견인 또는 범인을 검거(41)하도록 조치하고 조치한 내역을 내용 저장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한 후 종료한다. 불법(범죄)차량이 아닌 경우에는 바로 종료한다.
이렇게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문자 인식장치(22, 23, 24, 25)를 통해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체납 및 불법(범죄)차량에 대한 신속한 조회 및 정확한 위치 등의 정보를 담당자에게 즉시 알려주어 번호판 영치 및 불법(범죄)차량을 견인하거나 범인을 검거하도록 함으로써 체납 및 불법차량 등 단속차량을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알려주어 단속할 수 있고, 체납차량 영치 활동 및 불법(범죄)차량 검거를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어 능률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차량이 멈출 수 있는 전역(주차장, 고속도로톨게이트, 주유소, 음식점, 검문소, 기타)에 그물망처럼 설치된 고정감시카메라(21) 및 현장활동을 하는 단속요원의 PDA(20)에 차량번호가 포착되어 불법(범죄) 및 체납차량 관리서버의 차적 조회를 통해 체납 및 불법차량을 색출하여 차량의 위치 등 정확한 정보를 범죄차량 담당 경찰이나 체납 담당 공무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어 신속하고 기동성 있게 현장에 출동하여 번호판 영치나 범인을 검거함으로써 세금을 내지 않으면 언제 어디서나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불편한 인식을 사회저변에 확산시켜 고의적으로 세금을 내지 않는 납세자를 줄여 지방세 징수율을 높이고 차량도난 등 차량을 이용한 범죄도 그물망처럼 퍼져있는 고정감시카메라(21) 및 PDA(20)에 기필코 걸려든다는 불안감을 확산시켜 차량범죄예방에 혁신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차량 단속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문자 인식장치를 통해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체납 및 불법(범죄)차량에 대한 신속한 조회 및 정확한 위치 등의 정보를 담당자에게 즉시 알려주어 번호판 영치 및 불법(범죄)차량을 견인하거나 범인을 검거하도록 함으로써 체납 및 불법차량 등 단속차량을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알려주어 단속할 수 있고, 체납차량 영치 활동 및 불법(범죄)차량 검거를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어 능률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차량이 멈출 수 있는 전역(주차장, 고속도로톨게이트, 주유소, 음식점, 검문소, 기타)에 그물망처럼 설치된 고정감시카메라 및 현장활동을 하는 단속요원의 PDA에 차량번호가 포착되어 불법(범죄) 및 체납차량 관리서버의 차적 조회를 통해 체납 및 불법차량을 색출하여 차량의 위치 등 정확한 정보를 범죄차량 담당 경찰이나 체납 담당 공무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어 신속하고 기동성 있게 현장에 출동하여 번호판 영치나 범인을 검거함으로써 세금을 내지 않으면 언제 어디서나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불편한 인식을 사회저변에 확산시켜 고의적으로 세금을 내지 않는 납세자를 줄여 지방세 징수율을 높이고 차량도난 등 차량을 이용한 범죄도 그물망처럼 퍼져있는 고정감시카메라 및 PDA에 기필코 걸려든다는 불안감을 확산시켜 차량범죄예방에 혁신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Claims (4)

  1. 체납차량 번호판을 영치하거나 불법차량을 검거하기 위한 차량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멈출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고정감시카메라;
    상기 고정감시카메라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전송받아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시키는 문자 인식장치;
    상기 문자 인식장치로부터 변환된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번호를 단속대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번호가 단속대상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번호가 단속대상에 해당되는 차량인 경우 상기 고정감시카메라의 위치가 저장된 위치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정감시카메라의 위치를 확인하는 차적 조회서버;
    상기 차적 조회서버로부터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에 대한 차적 정보를 제공받아 담당자에게 알려주는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단속시스템.
  2. 체납차량 번호판을 영치하거나 불법차량을 검거하기 위한 차량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가 내장되어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개인휴대단말기(PDA);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차량번호의 이미지를 전송받아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시키는 문자 인식장치;
    상기 문자 인식장치로부터 변환된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번호를 단속대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번호가 단속대상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차적 조회서버;
    상기 차적 조회서버로부터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에 대한 차적 정보를 제공받아 알려주는 알림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단속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PD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속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는 담당자 컴퓨터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속시스템.
KR20-2004-0023444U 2004-08-17 2004-08-17 차량 단속시스템 KR200367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44U KR200367191Y1 (ko) 2004-08-17 2004-08-17 차량 단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44U KR200367191Y1 (ko) 2004-08-17 2004-08-17 차량 단속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191Y1 true KR200367191Y1 (ko) 2004-11-09

Family

ID=4944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444U KR200367191Y1 (ko) 2004-08-17 2004-08-17 차량 단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19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892B1 (ko) 2011-07-21 2012-08-27 에프원아이엔씨(주) 앱의 배터리 소모를 제어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3386B1 (ko) 2013-11-28 2014-10-22 백청열 차량 지능형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18298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가산 법규위반차량 통합관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39783B1 (ko) 2018-01-17 2019-04-11 (주)제이컴모빌피아 기관서버를 포함하는 체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892B1 (ko) 2011-07-21 2012-08-27 에프원아이엔씨(주) 앱의 배터리 소모를 제어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3386B1 (ko) 2013-11-28 2014-10-22 백청열 차량 지능형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18298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가산 법규위반차량 통합관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39783B1 (ko) 2018-01-17 2019-04-11 (주)제이컴모빌피아 기관서버를 포함하는 체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804B1 (ko) 인공지능을 통한 주정차 위반 단속 알림 시스템
JP5237380B2 (ja) 交通監視システム
KR20110094393A (ko) 불법차량 자동단속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8820B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200500734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a patrol officer of a wanted vehicle
US20060200307A1 (en) Vehicl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CN103198657A (zh) 流动车载违章违法停车抓拍实现方法及系统
KR101460781B1 (ko) 불법차량 단속시스템
CN111369797A (zh) 车辆监测方法、电子围栏的构建方法、电子围栏及装置
CN108846316A (zh) 一种基于卡口车辆数据的目标人员管控方法及装置
KR101176123B1 (ko)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정차위반 단속알림시스템
KR20110134012A (ko)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추적, 차량 정보의 데이타 통신 및 차량 범죄 및 법규위반 예방이 가능한 차적조회 및 자동통지 방법
KR200367191Y1 (ko) 차량 단속시스템
KR101599614B1 (ko) 영상을 활용한 통합형 차량감시 시스템
WO2018045400A1 (en) Incident management &amp; information capturing system
KR101390179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및 방범 겸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51556A (ko) 실시간 차량번호 자동 검색 시스템
KR101395095B1 (ko) 차량 번호 자동 판독 시스템
KR20060119079A (ko)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방법
KR200415231Y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CN105160887A (zh) 一种车辆图像处理装置及其图像处理方法
KR100805782B1 (ko) 임베디드 비디오 서버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장치 및방법
US20170132735A1 (en) Enforcement services techniques
JP2002260164A (ja) 車両識別方式
CN108909671B (zh) 车辆锁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