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049Y1 - 기능성 신발 깔창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049Y1
KR200367049Y1 KR20-2004-0023645U KR20040023645U KR200367049Y1 KR 200367049 Y1 KR200367049 Y1 KR 200367049Y1 KR 20040023645 U KR20040023645 U KR 20040023645U KR 200367049 Y1 KR200367049 Y1 KR 200367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cushion pad
pad
heel
functional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권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이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이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에스에이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04-0023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0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신발 깔창에 보조패드와 쿠션패드를 구비하도록 하여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벗어나는 경우에 대한 교정효과를 얻도록 하고, 동시에 발뒤꿈치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경량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깔창에 있어서, 반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깔창의 하부면 중앙부에서 깔창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접착되는 보조패드와, 상기 깔창 후단부의 발뒤꿈치와 접촉되는 부분에 소정크기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과, 서로 다른 밀도값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쿠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 깔창{Functional shoes insole}
본 고안은 기능성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신발 깔창에 보조패드와 쿠션패드를 구비하도록 하여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벗어나는 경우에 대한 교정효과를 얻도록 하고, 동시에 발뒤꿈치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개략적으로 발부분을 둘러싸는 갑피(upper)와, 보행시 발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한 밑창(outsole)과, 상기 갑피와 밑창 상간에 개재되어 충격흡수에 의한 착용감을 증대하기 위한 중창(midsole) 및 갑피 내측 바닥면에 개재되어 보다 향상된 착용감을 부여하기 위한 깔창(insole)으로 크게 구성되게 된다.
통상 이와 같은 신발을 신고 걷거나 뛰게 될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충격은 상기 밑창이나 중창에서 주로 흡수하게 되며, 따라서 보다 나은 충격흡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밑창 혹은 중창이 개발되어 왔다.
한편, 알려진 바와 같이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발이 땅에 닿을 경우 발의 뒤축의 바깥쪽부터 땅에 닿은 후 그 다음에 발목이 안쪽으로 돌면서(rolling) 뒤축의 안쪽이 닿게 되고, 그 후 무게중심을 발 앞쪽으로 옮겨가게 되면서 다시 바깥쪽으로 회전(swing)하는, 즉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소위 내전운동(pronation)이 수행되게 된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는 뒤축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할 때 발목이 과도하게 안쪽으로 도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발목에 무리가 갈 뿐 아니라 발의 안쪽 중앙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하, '장심')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므로 부상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반대로 안쪽으로 도는 움직임이 거의 없거나 부족한 경우의 사람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충격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장시간 걷지 못하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신발의 경우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벗어나는 경우 대하여 특별히 교정수단이 부여된 것을 살펴보면, 주로 밑창이나 중창의 부위별로밀도를 다르게 하는 다중밀도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으로 내전운동의 정도나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다양화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특히 다중밀도로 이루어진 밑창이나 중창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느끼는 부위인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교정효과가 미비하며, 밑창의 경우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부분이 쉽게 훼손되어 내구성도 떨어지게 된다.
그 또한 교정수단이 부여된 상기 신발의 경우 가격이 매우 고가일 뿐 아니라, 구조상 밑창이나 중창이 훼손될 경우 신발전체를 다시 구입해야 하는 등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한 문제점 등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발과 직접 접촉하는 깔창의 발뒤꿈치 부위에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지도록 다양한 밀도값으로 이루어진 쿠션패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깔창의 하부면 중앙부에는 보조패드를 구비하도록 하여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최적으로 흡수하면서 동시에 발뒤꿈치 부위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쿠션패드를 저밀도부와 고밀도부의 이중밀도 구조로 하여 비정상적인 내전운동에 대한 교정효과를 얻도록 하면서 쉽게 교체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뛰어난 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의 외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쿠션패드를 나타낸 외부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를 기준으로 실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깔창 110....보조패드
120...관통홀 130....쿠션패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량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깔창에 있어서, 반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깔창의 하부면 중앙부에서 깔창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접착되는 보조패드와, 상기 깔창 후단부의 발뒤꿈치와 접촉되는 부분에 소정크기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과, 서로 다른 밀도값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쿠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쿠션패드는, 상기 깔창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저밀도부와 고밀도부의 이중밀도(dual density)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패드는 PVC, 폴리우레탄, 고무계열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고, 또한 상기 쿠션패드는 폴리우레탄, EVA 수지, 젤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의 외부사시도와 분해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깔창(100)은 크게 보조패드(110), 관통홀(120) 및 상기 관통홀(1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쿠션패드(1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보조패드(110)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깔창(100)의 하부면 중앙부에서 깔창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선(CL)과 수직되도록 하여 접착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조패드(110)는 PVC, 폴리우레탄(PU), 고무계열 소재와 같이 약간의 탄성이 부여된 소재중 하나로 이루어지며, 발바닥의 장심 부근에서 깔창의 폭에 해당되는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하여 상기 깔창에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통상 발바닥 구조상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조금씩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신발 착용자의 착용감을 한층 더 안정화시켜 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형성되는 상기 보조패드(110)의 높이는 사용자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높이면 적당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통상 발뒤꿈치에 70 내지 90% 정도가 집중되는 하중을 상기 보조패드(110)에 의해 역학적으로 분산 가능하게 되는데, 그 결과 장시간 서서 일하는 사람이 느끼는 다리 통증을 보다 완화시켜 주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깔창(100)의 후단부의 발뒤꿈치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소정크기로 관통되는 관통홀(12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20)에는 완충기능이 부여된 쿠션패드(130)가 체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쿠션패드(130)는, 관통홀(120)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면서, 서로 다른 밀도값을 구비하도록 다양하게 성형되어 상기 깔창(100)과 쉽게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진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상기 쿠션패드(130)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최적의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밀도값을 가진 적절한 쿠션패드(130)를 선택하여 상기 관통홀(12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성인과 같이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밀도값을 다소 크게 하도록 하며, 반대로 체중이 적게 나가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밀도값을 다소 작게 되도록 쿠션패드(130)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체중에 맞는 최적의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사용자의 몸무게가 증감될 때마다 신발 전체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다양한 쿠션패드(130)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상기 쿠션패드(130)는 교체가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어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쿠션패드(130)는, 폴리우레탄(PU), EVA 수지, 젤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패드(130)의 구조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100)의 구조를 저밀도부(131)와 고밀도부(132)의 이중밀도(dual density)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즉, 깔창(100)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선(도 1의 CL)을 기준으로 하여 안쪽과 바깥쪽의 밀도를 각각 상응하게 되도록 하여 상기 쿠션패드(13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 4는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외에 앞서 상술한바와 같이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벗어나는 경우 이를 교정하기 위한 기능도 부여되게 되는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과도한 내전운동이 경우 발목이 안쪽으로 과도하게 돌게 되면서 왼발의 발뒤꿈치의 안쪽 부분, 즉 깔창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안쪽 부분이 바깥쪽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심하게 눌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경우 발목에 무리가 갈 뿐 아니라 심할 경우 부상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을 하게된다.
본 고안의 경우 상기와 같은 경우에 대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패드(130)를 왼발의 발뒤꿈치 안쪽 부분을 고밀도부(132)로, 그리고 바깥쪽 부분을 저밀도부(131)의 이중밀도 구조(오른발의 경우는 반대)로 하여 심하게 눌려지는 부분이 고밀도부(132)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안쪽 부분으로 눌림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지면과 접지된 후 무게중심이 발 앞쪽으로 옮겨가면서 다시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일련의 내전운동이 상대적으로 억제가 됨으로써 과도한 내전운동이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되며, 이는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그 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쿠션패드(130)의 방향을 돌려서 저밀도부(131)와 고밀도부(132)의 위치를 반대로 하여 관통홀(120)에 체결하도록 하면, 왼발의 발뒤꿈치 안쪽 부분이 저밀도부(132)로, 그리고 바깥쪽 부분이 고밀도부(132)로 되어 안쪽으로 도는움직임이 거의 없거나 부족한 경우, 나아가서 외전이 뚜렷한 사람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깔창으로 충분한 교정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밀도값으로 이루어진 쿠션패드를 구비하도록 하여 체중별로 최적의 완충효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쿠션패드를 이중밀도 구조로도 형성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벗어나는 경우에 대한 교정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쿠션패드를 교체형으로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도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서는 발뒤꿈치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하면서 과도한 내전현상에 대한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이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깔창 하부면 중앙부에 보조패드가 부착되어 특정부위의 하중을 분산가능하게 되며, 또한 다양한 밀도값을 가지는 쿠션패드를 구비하여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체중에 따라 최적으로 흡수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쿠션패드를 이중밀도 구조가 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벗어나는 경우에 대한 교정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패드를 사용자의 체중이나, 내전 및 외전과 같이 발의 운동상태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하면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신발의 완전교체가 아닌 깔창이나 쿠션패드만의 교체로도 얼마든지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4)

  1. 경량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깔창에 있어서,
    반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깔창(100)의 하부면 중앙부에서 깔창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접착되는 보조패드(110)와;
    상기 깔창(100) 후단부의 발뒤꿈치와 접촉되는 부분에 소정크기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120)과;
    서로 다른 밀도값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1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쿠션패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드(130)는, 상기 깔창(100)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저밀도부(131)와 고밀도부(132)의 이중밀도(dual density)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드(130)는, 폴리우레탄(PU), EVA 수지, 젤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드(110)는, PVC, 폴리우레탄(PU), 고무계열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20-2004-0023645U 2004-08-19 2004-08-19 기능성 신발 깔창 KR200367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45U KR200367049Y1 (ko) 2004-08-19 2004-08-19 기능성 신발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45U KR200367049Y1 (ko) 2004-08-19 2004-08-19 기능성 신발 깔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992A Division KR20060017447A (ko) 2004-10-05 2004-10-05 기능성 신발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049Y1 true KR200367049Y1 (ko) 2004-11-09

Family

ID=4935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645U KR200367049Y1 (ko) 2004-08-19 2004-08-19 기능성 신발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0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CA2339446C (en) Custom orthotic foot support assembly
US4490928A (en) Mid-sole of a shoe
US11882898B2 (en) Sole, particularly for shoes
KR100884659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JPH01151401A (ja) 靴底
JPH08173207A (ja) 靴用外底
JPH08280410A (ja) 靴の中敷および靴
JP5263880B2 (ja) 靴用中敷
US5632103A (en) Insole of shoe
WO2011067948A1 (ja) ハイヒール用中敷
KR100761897B1 (ko)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100758678B1 (ko) 기능성 신발 안창
US20120079740A1 (en) Basketball Shoe Sole
KR200367049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AU2020376694B2 (en) Shoe insole
TWM469772U (zh) 鞋墊裝置
KR20060017447A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20060055724A (ko) 기능성 신발 깔창
US6189241B1 (en) Cushioned in-line skate shoe
KR102669068B1 (ko)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CN212280131U (zh) 一种高弹力休闲鞋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CN213307803U (zh) 一种缓震跑步鞋底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