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808Y1 - 종이 등을 절단하는 회전날을 가진 절단기 - Google Patents

종이 등을 절단하는 회전날을 가진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808Y1
KR200366808Y1 KR20-2004-0013800U KR20040013800U KR200366808Y1 KR 200366808 Y1 KR200366808 Y1 KR 200366808Y1 KR 20040013800 U KR20040013800 U KR 20040013800U KR 200366808 Y1 KR200366808 Y1 KR 200366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node
cutter
cylin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경
Original Assignee
전용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경 filed Critical 전용경
Priority to KR20-2004-0013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8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4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칼날을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절단기(50)의 홀더(52)에 구비된 실린더(62)의 내측에 공기압이 수용할 수 있는 공간(a)를 두고, 칼날부(54)의 내부에 공기압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b,c)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압이 상기 공간(a,b,c)으로 밸브(100,104,106)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절단기의 칼날부를 정밀하게 수평,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종이 등을 절단하는 회전날을 가진 절단기{a cutter having a rotary knife for cutting paper sheets or the like}
본 고안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기의 칼날을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절단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절단기(2)는 홀더(4)와 칼날부(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4)는 최상부에 수직조절나사(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조절나사(8)의 하부에 상기 수직조절나사(8)의 이동과 지지를 할 수 있게 가이드부(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부(10)와 하부의 실린더(12)를 연결하는 연결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2)의 내부에는 피스톤형상으로 상기 실린더(12)의 내부를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노드(1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노드(16)의 하부에는 원형의칼날이 구비된 칼날부(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2)는 내부에 상기 노드(16)가 설치되는데 상기 노드(16)의 일측이 상기 실린더(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직조절나사(8)와 연결되는 연결축(18)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드(16)의 하부는 상기 칼날부(6)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드(16)의 측면에는 상기 실린더(12)의 내측면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드(16)와 상기 실린더(12) 내측 사이에는 상기 노드(16)의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한 스프링(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노드(16)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조절나사(8)에 의한 하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 움직임의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상부걸림판(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드(16)의 하측에는 상기 노드(16)가 상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 움직임의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하부걸림판(26)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부걸림판(24)은 상기 스프링(22)의 탄성력이 상기 노드(16)로 전달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부걸림판(26)은 상기 실린더(12)의 하단에 구비된 돌기(28)에 걸리게 되어 상기 노드(16)가 더이상 상방으로 상승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노드(16)의 하단부에는 상기 칼날부(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칼날부(6)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부본체(30) 내부에 상기 상부칼날(32)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피스톤(3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4)의 측면과 상기 칼날부본체(30) 내부의 측면 사이에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베어링(3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4)의 일측에는 상부칼날(3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칼날(32)은 상기 피스톤(34)의 축 주위에 체결부(38)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38)에 상기 상부칼날(32)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38)와 상기 피스톤(34) 간에는 부드러운 롤링을 위한 베어링(4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칼날(32)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상부칼날(32)의 하측에 하부칼날(42)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칼날(42)은 상기 상부칼날(32)과 상호 작동하여 종이 등의 재료를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상부칼날(32)을 수직, 수평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어 상기 상부칼날(32)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칼날(32)과 하부칼날(42)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가까운 경우 유입되는 종이 등의 재료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칼날을 정밀하게 수직,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절단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인 절단기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린 절단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압의 흐름과정을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절단기 52: 홀더
54: 칼날부 56: 수직조절나사
58: 가이드부 60: 공기유입부
62: 실린더 64: 연결부
66: 노드 68: 연결축
70: 베어링 72: 스프링
74: 상부걸림판 76: 하부걸림판
78: 돌기 80: 칼날부본체
82: 상부칼날 84: 피스톤
86: 베어링 88: 결합부
90: 베어링 92: 홀더
94: 하부칼날 96: 공기압원
98: 제 1관 100: 제 1밸브
102: 제 2관 104: 제 2밸브
106: 제 3밸브 108: 조절나사
110: 나사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몸체를 구성하고 내측에 실린더가 구비된 홀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노드와, 상기 노드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수평으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이 구비된 칼날부가 구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칼날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직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칼날부는 칼날부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상부칼날과, 칼날부와 분리된 하부칼날과, 상기 상부칼날이 상기 홀더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칼날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의 실린더 내부에 상기 노드와 접하는 공간에 공기압이 유입되어 상기 노드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칼날부 내부에 구비된 공간들에 공기압이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절단기에 의하면, 상부칼날을 수직, 수평으로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절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인 절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인 절단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에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압의 흐름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절단기(50)는 홀더(52)와 칼날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52)는 최상부에 수직조절나사(5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조절나사(56)의 하부에 상기 수직조절나사(56)의 이동과 지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5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58)의 하부에는 공기공급부(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58)와 하부의 실린더(62)를 연결하는 연결부(6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62)의 내부에는 피스톤형상으로 상기 실린더(62)의 내부를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노드(6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노드(66)의 하부에는 원형의 칼날이 구비된 칼날부(5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62)는 내부에 상기 노드(66)가 설치되는데 상기 노드(66)의 일측이 상기 실린더(62)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직조절나사(56)와 연결되는 연결축(68)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드(66)의 하부는 상기 칼날부(54)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드(66)의 측면에는 상기 실린더(62)의 내측면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드(66)와 상기 실린더(62) 내측 사이에는 상기 노드(66)의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한 스프링(7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노드(66)의 상단에는 상기 수직조절나사(56)에 의해 하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 움직임의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상부걸림판(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드(66)의 하단에는 상기 노드(66)가 상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 움직임의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하부걸림판(76)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부걸림판(74)은 상기 스프링(72)의 탄성력이 상기 노드(66)로 전달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부걸림판(76)은 상기 실린더(62)의 하단에 구비된 돌기(78)에 걸리게 되어 상기 노드(66)가 더이상 상방으로 상승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노드(66)의 하단부에는 상기 칼날부(5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칼날부(54)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부본체(80) 내부에 상기 상부칼날(82)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피스톤(8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84)의 측면과 상기 칼날부본체(80) 내부의 측면 사이에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베어링(8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84)의 일측에는 상부칼날(8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칼날(82)은 상기 피스톤(84)의 축 주위에 체결부(88)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88)에 상기 상부칼날(82)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88)와 상기 피스톤 (84)간에는 부드러운 롤링을 위한 베어링(9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칼날(82)이 상기 실린더(62)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칼날홀더(9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칼날홀더(92)는 상기 상부칼날(82)이 상기 실린더(62)와의 간섭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칼날(82)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상부칼날(82)의 하측에 하부칼날(94)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칼날(94)은 상기 상부칼날(82)과 상호 작동하여 종이 등의 재료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62)의 연결부(64)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유입부(60)의 일측에는상기 실린더(62)에 형성된 공간(a)과 연통되도록 제 1관(98)과 제 1밸브(1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부(60)의 일측에는 상기 칼날부(54)에 형성된 공간(b, c)과 연통되도록 제 2관(102)과 제 2밸브(104)와 제 3밸브(106)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압이 각각의 소정의 공간(a,b,c)에 유입되어 상기 상부칼날(82)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64)에 구비된 공기유입부(60)의 상대측에는 조절나사(10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절나사(108)는 상기 노드(66)가 상기 실린더(62) 내부에서 360 도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실린더(62)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도시되지 않음)에 체결하여 상기 실린더(62) 즉 상기 상부칼날(82)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62)의 측면에 나사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110)는 나사부(110)를 체결과 분리에 의해 상기 절단기(50)가 결합되어 있는 부재(도시되지 않음)의 좌우측을 따라 상기 절단기(50)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절단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결부(64)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나사(108)를 풀고 칼날부(54)를 회전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절단각을 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나사(108)를 조여 칼날부(54)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칼날부(54)의 수평조절과 수직조절을 한다. 수평조절을 하기 위해홀더(52)에 구비되어 있는 나사부(110)를 풀고 상기 절단기(50)를 수평으로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수직조절나사(56)를 조절하여 상기 칼날부(54)를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수직방향의 조정은 상기 수직조절나사(56)에 의해 조절되는데 상기 수직조절나사(56)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칼날부(54)가 상측으로 올라가고, 상기 수직조절나사(56)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칼날부(54)이 하측으로 즉 절단할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위치의 정밀함을 더하기 위해 상기 수직조절나사(56)에는 눈금이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단기(50)에 공기압을 유입하기 전에 상기 수직조절나사(56)를 고정하여 상기 칼날부(54)가 수직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한다. 상기 상부칼날(82)과 하부칼날(94)사이의 정밀한 조정을 위해서 상기 공기유입부(60)를 압축공기와 연결하고 상기 압축공기의 밸브를 열다. 상기 실린더(52)와 상기 칼날부(54)의 공간(a,b,c)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칼날부(54)를 소정의 위치로 수직 및 수평으로 정밀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각각의 피스톤의 소정의 공간에 유입되어 작동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기압원(96)은 제 1관(98)과 제 2관(102)에 연통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 1밸브(100)를 열면 제 1관(98)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실린더(62)의 상측에 위치한 공간(a)에 유입된다. 상기 공간(a)에 공기압이 유입되면 상기 노드(66)가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제 3밸브(106)를 통하여 상기 칼날부(54)에 구비되어 있는 공간(c)에 유입되어 상부칼날(82)을 바깥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칼날부(54)가 소정의 위치에 안착된 후 상기 제 1밸브(100)는 차단하고 상기 제 2밸브(104)를 열면 제 2관(102) 및 제 3밸브(106)를 통하여 상기 칼날부(54)에 구비되어 있는 공간(b)으로 상기 압축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공간(b)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상부칼날(82)은 칼날부본체(8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절단기는 상부칼날을 수평, 수직으로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절단기를 정확한 위치에서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절단기로 유입되는 종이 등의 재료등이 찢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몸체를 구성하고 내측에 실린더가 구비된 홀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노드와,
    상기 노드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수평으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이 설치된 칼날부가 구성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칼날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직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칼날부에는 칼날부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상부칼날과, 칼날부와 분리된 하부칼날과, 상기 상부칼날이 홀더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칼날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실린더 내부에 상기 노드와 접하는 공간에 공기압이 유입되어 상기 노드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 내부에 구비된 공간들에 공기압이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KR20-2004-0013800U 2004-05-18 2004-05-18 종이 등을 절단하는 회전날을 가진 절단기 KR200366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00U KR200366808Y1 (ko) 2004-05-18 2004-05-18 종이 등을 절단하는 회전날을 가진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00U KR200366808Y1 (ko) 2004-05-18 2004-05-18 종이 등을 절단하는 회전날을 가진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808Y1 true KR200366808Y1 (ko) 2004-11-09

Family

ID=4944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800U KR200366808Y1 (ko) 2004-05-18 2004-05-18 종이 등을 절단하는 회전날을 가진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8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2805B1 (en) Actuator apparatus having internal passageways
JP6873391B2 (ja) 流量調整バル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291127A1 (en) Fluid mixer
BR0102490A (pt) Válvula de drenagem de água auto centralizadora
KR101096525B1 (ko)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JP2017201198A (ja) 流量調整バルブ
JP2017201199A (ja) 流量調整バルブ
KR20140070422A (ko) 유량 조정 장치
KR200366808Y1 (ko) 종이 등을 절단하는 회전날을 가진 절단기
JP2014021594A (ja) 減圧弁
KR102020601B1 (ko)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EP1643333A1 (de) Gasdruckregler mit Dämpfungsanschlag
JP2017091191A (ja) 減圧弁
KR840007946A (ko) 고력이득 밸브
US7318357B1 (en) Machine and method for allowing different fluid or gas flow rates in different directions in a conduit
RU2528239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клапан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герметичности
JP6768193B2 (ja) 流量調整バルブ
JP2008304046A (ja) ダイヤフラム弁のリミットスイッチ作動機構
JP7378281B2 (ja) 整圧器
KR101307321B1 (ko) 더블쿠션을 구비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JP4805711B2 (ja) 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整圧器
JP2003120829A (ja) 定流量充水機能を備えたバタフライ弁
CA2449089A1 (en) Fluid pressure regulator with stabilizer
JP6332088B2 (ja) 一体型複合蒸気弁
JP4450178B2 (ja) 差圧ダン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