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601B1 -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 Google Patents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601B1
KR102020601B1 KR1020190028419A KR20190028419A KR102020601B1 KR 102020601 B1 KR102020601 B1 KR 102020601B1 KR 1020190028419 A KR1020190028419 A KR 1020190028419A KR 20190028419 A KR20190028419 A KR 20190028419A KR 102020601 B1 KR102020601 B1 KR 10202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low rate
opening
supply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택번
Original Assignee
송택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택번 filed Critical 송택번
Priority to KR102019002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4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way in which the rate of flow varies during the actuation of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플런저가 출몰하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가 안착되고 가스가 지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공급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여 가스의 공급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바디부, 상기 밸브바디부의 공급유로로 가스를 공급하거나, 상기 공급유로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댐핑공간이 형성된 유량조절부, 상기 댐핑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공간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을 회전에 따라 조절하는 유량조절댐퍼, 및 상기 유량조절댐퍼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형태로 상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개도제한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A Solenoid valve with flow control}
본 발명은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배관에는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며, 밸브의 수동조작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가스의 유출에 따라 자동으로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개시되었다.
종래의 솔레노이드밸브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7940호에 "고압가스용 솔레노이드 밸브"로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고압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는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입구포트와, 이 입구포트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고압가스가 배출되는 출구포트를 갖는 바디와; 상기 입구포트와 출구포트를 연결하는 바디의 유로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입구포트와 출구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갖는 메인밸브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코일이 감김되어 있고 감김된 코일에는 코어가 삽입되어 설치된 코일하우징과; 상기 코일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단부는 바디의 메인밸브에 삽입되어 코어의 자화에 따라 메인밸브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고압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 또는 공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고압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는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할 뿐, 공급하는 가스량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볼밸브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했다.
이와 같이 볼밸브가 추가 설치됨으로 인해 볼밸브의 비용 높아 설치비용이 증가되며, 볼밸브를 연결하기 위해 솔레노이드밸브에 추가적인 연결관을 연결함으로써, 연결 구성부품수가 증대되고, 연결개소가 증가됨에 따라 가스의 누출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밸브의 고장시 볼밸브의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스의 유량을 볼밸브에 의해 조절하지 않고 댐퍼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개소를 최소화하여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플런저가 출몰하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가 안착되고 가스가 지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공급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여 가스의 공급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바디부, 상기 밸브바디부의 공급유로로 가스를 공급하거나, 상기 공급유로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댐핑공간이 형성된 유량조절부, 상기 댐핑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공간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을 회전에 따라 조절하는 유량조절댐퍼, 및 상기 유량조절댐퍼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형태로 상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개도제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절댐퍼는 상기 공급유로와 상기 댐핑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공급유로와 상기 댐핑공간을 가스가 이동하도록 연통공이 형성된 구획격판, 상기 구획격판에서 회전하여 상기 연통공의 개도를 조절하는 형태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댐핑판, 및 상기 구획격판에서 상기 댐핑판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판의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댐핑판에서 상기 개도제한부재가 위치된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한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에서 상기 유량조절댐퍼를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설치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절댐퍼를 탈착가능하게 끼워 고정하는 댐퍼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도제한부재는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개도제한부재의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내주에 형성된 개도조절공을 포함하여, 상기 개도제한부재는 상기 개도조절공에 나사체결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댐퍼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댐퍼를 용이하게 수리 또는 교체하도록 상기 댐핑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부는 상기 밸브바디부로 공급되는 가스와 다른 가스를 혼합하거나, 상기 밸브바디부로 공급되는 가스를 분기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하는 바디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바디부에 유량조절댐퍼를 설치하여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핑판의 회전에 따라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바디부에 유량조절부가 함께 구성되어 연결개소를 최소화함으로써, 가스의 누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유량조절부의 유량조절댐퍼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장 또는 수리 시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솔레노이드부 및 유량조절댐퍼가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개방한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밸브바디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솔레노이드부 및 유량조절댐퍼가 가스를 차단한 상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배관에 설치되어 가스를 공급하거나, 공급하는 가스를 차단할 수 있으며, 공급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솔레노이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솔레노이드부(110)는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플런저(111)가 출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석은 전기의 공급에 따라 자력이 발생하여 발생한 자력에 의해 플런저(111)가 솔레노이드부(1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출몰할 수 있다.
그리고, 출몰하는 플런저(111)의 단부에는 밸브시트(115)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밸브시트(115)는 하기에 설명될 밸브바디부(120)의 공급유로(123)를 출몰하는 플런저(111)에 의해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부(110)의 플런저(111)는 솔레노이드부(110)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전자석에 자력이 발생하면, 솔레노이드부(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전자석의 자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솔레노이드부(110)에서 돌출되도록 플런저스프링(113)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밸브바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밸브바디부(120)는 내부에 가스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바디부의 일측에는 공급유로(123)를 거친 가스를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1)에는 사용처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배출배관이 연결될 수 있으며, 밸브바디부(120)의 타측에는 하기에 설명될 유량조절부(130)가 위치되어 유량조절부(130)에서 유량이 조절된 가스가 공급유로(123)로 공급되고, 공급유로(123)로 공급된 가스는 배출구(121)를 통해 사용처로 공급하도록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123)의 중앙부분에는 플런저(111)의 밸브시트(115)가 안착하여 공급유로(123)를 지나는 가스의 공급을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해 밸브시트(115)가 안착되는 시트안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시트안착부(125)에는 유로와 연통되는 시트공이 관통형성되며, 솔레노이드부(110)는 밸브바디부(120)에서 시트공이 형성된 부분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부(110)의 플런저(111)가 시트안착부(125)를 향해 돌출되고, 플런저(111)의 밸브시트(115)가 시트안착부(125)에 안착되어 시트공을 폐쇄하는 형태로 공급유로(123)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솔레노이드부(110)에 의해 플런저(111)가 시트안착부(125)에서 이격되면 시트안착부(125)에서 밸브시트(115)가 이격되면서 시트공을 개방하는 형태로 공급유로(123)를 개방하여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바디부(120)에는 공급유로(123)을 통해 배출구(121)로 배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다른 사용처로 공급하거나, 유량이 조절된 가스에 다른 가스를 혼합하기 위해 혼합가스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바디공(127)이 공급유로(123)와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공(127)에는 혼합가스배관 또는 다른 배출배관을 연결할 때에만 바디공(127)을 개방하도록 바디공(127)을 밀폐하는 밀폐부재(129)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유량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유량조절부(130)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밸브바디부(120)의 공급유로(123)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유량조절부(130)에는 외부에서 가스가 공급되는 댐핑공간(1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부(130)에는 댐핑공간(131)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공급공(135)이 댐핑공간(13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량조절부(130)의 댐핑공간(131)에는 하기에 설명될 유량조절댐퍼(140)가 설치되어 유량조절댐퍼(140)에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밸브바디부(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유량조절부(130)에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한 후, 밸브바디부(120)를 통해 가스가 사용처로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밸브바디부(120)로 먼저 가스가 공급되고, 유량조절부(130)에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사용처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면에서 가스의 흐름과는 반대방향의 가스의 흐름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밸브바디부(120)에 형성되는 배출공(120)이 가스가 유입되는 공급공(135)이되고, 유량조절부(130)에 형성된 공급공(135)가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될 수 있다.
한편, 유량조절부(130)와 밸브바디부(120)는 주물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성형한 뒤 용접하는 형태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부(130)는 가스가 유입되는 댐핑공간(131)을 개방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부분에는 개폐커버(160)가 설치되어 댐핑공간(131)을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다.
한편, 개폐커버(160)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량조절부(130)와 개폐커버(160)의 둘레에는 커버오링이 설치되어 개폐커버(160)와 유량조절부(130)의 사이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커버(160)는 유량조절부(13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유량조절부(130)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댐핑공간(131)에는 하기에 설명될 유량조절댐퍼(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댐핑공간(131)의 내측에는 유량조절댐퍼(140)를 교체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댐퍼끼움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유량조절댐퍼(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유량조절댐퍼(140)는 공급배관에서 유량조절부(130)의 공급공(135)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밸브바디부(120)의 공급유로(123)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유량조절댐퍼(140)는 댐핑공간(131)에서 회전하여 댐피공간(131)과 연결된 공급유로(123)의 개도를 조절하는 형태로 공급유로(123)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량조절댐퍼(140)는 구획격판(141), 힌지부(143), 및 댐핑판(145)을 포함할 수 있다.
구획격판(141)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유로(123)와 밸브바디부(120)의 댐핑공간(131)이 연결되는 부분을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구획격판(141)에는 댐핑공간(131)의 가스가 공급유로(123)로 공급되는 연통공(142)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획격판(141)은 공급유로(123)와 댐핑공간(131)의 사이에 형성된 댐핑끼움홈(133)에 구획격판(141)의 둘레가 끼워져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로 유량조절댐퍼(140)이 유량조절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댐핑판(145)은 구획격판(141)에서 회전하여 구획격판(141)에 형성된 연통공(142)의 개도를 조절하는 형태로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댐핑판(145)은 상단 부분이 힌지부(143)에 의해 구획격판(141)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부(143)는 구획격판(141)과 댐핑판(145)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형태로 구획격판(141)에서 댐핑판(145)의 하단 부분이 힌지부(143)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연통공(142)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댐핑판(145)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댐핑판(145)에는 하기에 설명될 개도제한부재(150)가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도제한부재(150)에 의해 댐핑판(145)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제한연장부(147)가 형성될 수 있다.
제한연장부(147)는 댐핑판(145)의 하부에서 대각선의 상부에 위치되는 개도제한부재(150)가 위치된 부분까지 연장하도록 댐핑판(145)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곡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연장부(147)에는 개도제한부재(15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147a)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47a)에는 개도제한부재(150)의 끝단이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홈(147b)이 형성되어 개도제한부재(150)의 끝단이 제한연장부(147)에허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댐핑판(145)은 제한연장부(147), 지지부(147a), 및 안착홈(147b)을 하나의 내식성 금속판을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한 부분을 절곡시키는 형태로 제작하여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한연장부(147)는 댐핑판(145)에서 힌지부(143)가 연결되는 부분과 반대방향인 하단부분에서 대각선의 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개도제한부재(150)의 지지력이 댐핑판(145)의 하부로 전달되어 댐핑판(145)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댐핑판(145)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개도제한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개도제한부재(150)는 유량조절댐퍼(14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형태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개도제한부재(150)는 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도제한부재(15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개도제한부재(150)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로 돌출되는 핀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도제한부재(150)는 유량조절부(130)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에 의해 댐핑판(145)의 제한연장부(147)를 지지하는 위치를 변경하여 구획격판(141)에서 댐핑판(145)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형태로 연통공(142)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유량조절부(130)에는 개도제한부재(150)가 나사체결되는 개도조절공(161)이 댐핑공간(131)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개도조절공(161)의 내주에는 개도제한부재(15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개도조절공(161)은 유량조절부(130)의 상부를 밀폐하는 개폐커버(16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도제한부재(150)의 핀부(151)는 제한연장부(147)의 지지부(147a)에 형성된 안착홈(147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핀부(151)에서 제한연장부(147)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개도제한부재(150)의 상단에는 개도제한부재(15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연통공(142)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개도제한부재(150)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갖는 헤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개도제한부재(150)는 댐핑판(145)에 형성된 제한연장부(147)의 지지부(147a)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에 따라 이동하는 개도제한부재(150)의 깊이에 따라 마치 개도제한부재(150)가 제한연장부(147)을 통해 댐핑판(145)을 밀거나 당기는 형태로 연통공(142)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플런저(111)를 자력에 의해 출몰시키는 솔레노이드부(110)가 밸브바디부(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밸브바디부(120)의 일측에는 공급된 가스를 사용처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21)에 배출배관이 결합된다.
그리고, 배출공(121)은 밸브바디부(120)에 형성된 공급유로(123)와 연결되어 공급유로(123)로 공급되는 가스를 배출하며, 공급유로(123)의 중앙에는 플런저(111)에 설치된 밸브시트(115)가 안착되는 시트안착부(125)가 형성된다.
한편, 밸브바디부(120)의 타측에는 시트안착부(125)와 연결된 공급유로(123)를 통해 가스를 공급하는 댐핑공간(131)이 형성된 유량조절부(130)가 위치되며, 댐핑공간(131)에는 유량조절댐퍼(140)가 설치되어 공급공(135)에 연결된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유로(123)로 제공한다.
여기서, 유량조절댐퍼(140)는 공급유로(123)와 댐핑공간(131)을 연통하는 연통공(142)이 형성된 구획격판(141)의 둘레가 유량조절부(130)에 형성된 댐퍼끼움홈(133)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구획격판(141)에는 연통공(142)의 개도를 조절하는 댐핑판(145)이 힌지부(14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유량조절부(130)의 상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개방된 부분은 개폐커버(160)가 밀폐하며, 개폐커버(160)에는 개도조절공(161)이 관통형성되어 개도제한부재(150)가 나사체결된다.
댐핑판(145)에는 댐핑판(145)의 하부에서 상부에 위치된 개도제한부재(150)가 위치한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한연장부(147)가 형성되며, 제한연장부(147)의 끝단에는 개도제한부재(150)가 지지되는 지지부(147a)가 절곡형성됨과 함께 개도제한부재(150)의 핀부(151)가 끼워지는 안착홈(147b)이 지지부(147a)에 형성되어 핀부(151)가 안착홈(147b)에 회전 가능하게 제한연장부(147)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공급배관을 통해 유량조절부(130)의 댐퍼공간(131)으로 가스가 공급되고, 댐퍼공간(131)으로 공급된 가스는 개도제한부재(150)에 의해 댐핑판(145)의 회전하여 연통공(142)을 개방한 정도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어 공급유로(123)으로 진입한다.
한편, 공급유로(123)으로 진입하는 가스는 솔레노이드부(110)에 의해 공급유로(123)를 개방하면, 솔레노이드부(110)의 코일에서 자력이 발생하고, 자력에 의해 플런저(111)가 시트안착부(125)에서 이격되면서, 시트공을 개방하여 배출공(121)에 연결된 배출배관을 통해 사용처로 공급된다.
이때, 개도제한부재(150)를 회전시켜 개도제한부재(150)이 위치되는 깊이를 조절하게 되면, 제안연장부(147)에 의해 댐핑판(145)이 회전하는 각도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 연통공(142)에서 댐핑판(145)의 이격거리가 넓어질수록 가스의 유량이 증대되고, 이격거리가 작아질수록 가스의 유량이 작아지는 형태로 사용처로 공급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도제한부재(150)의 헤드부를 회전시켜 개도제한부재(150)가 댐핑공간(131)의 바닥에 근접할수록 제한연장부(147)에 의해 구획격판(141)에서 댐핑판(145)이 벌어지는 회전각도가 점점 작아져 연통공(142)의 개도를 축소시킴으로써, 공급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면, 개도제한부재(150)의 헤드부를 회전시켜 개도제한부재(150)가 댐핑공간(131)의 바닥에서 멀어질수록 제한연장부(147)에 의해 구획격판(141)에서 댐핑판(145)의 회전각도가 점점 넓어져 연통공(142)의 개도를 확대함으로써, 공급되는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솔레노이드부(110)가 공급유로(123)를 개방한 상태더라도, 개도제한부재(150)를 회전시켜 하향이동시키면, 댐핑판(145)이 연통공(142)을 완전히 밀폐하여 유량조절부(130)에서 공급유로(123)로 제공되는 가스를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가스의 공급을 차단할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부(110)에서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코일의 자력을 소멸시키면, 솔레노이드부(110)의 플런저(111)가 플런저스프링(113)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면서, 밸브스티(115)가 시트안착부(125)에 안착되어 시트공을 밀폐하는 형태로 배출배관을 통해 사용처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댐퍼(14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공급배관을 통해 유량조절부(130)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유량조절부(130)의 상부에 밀폐된 개폐커버(160)를 개방하고, 구획격판(141)이 끼워진 댐퍼끼움홈(133)에서 유량조절댐퍼(140)를 제거한 후 새로운 유량조절댐퍼(140)를 교체하여 끼우고 다시 개폐커버(160)에 의해 밀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배관으로 공급하는 가스와 다른 가스 또는 공기를 혼합할 경우에는 밸브바디부(120)에 형성된 바디공(127)에서 밀폐부재(129)를 제거한 후, 바디공(127)을 통해 다른 가스를 함께 혼합하여 공급하거나, 바디공을 통해 다른 배출배관을 연결하여 유량이 조절된 가스를 여러 사용처로 분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100)는 유량조절댐퍼(140)에 의해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일반적인 밸브에 의해 구조가 단순하며 제작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설치하기 위해 연결배관을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스의 누출을 최소하고, 연결을 위한 부품수를 감소시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량조절댐퍼(14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개폐커버(160)를 제거하여 유량조절댐퍼(140)를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량조절댐퍼(140)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110: 솔레노이드부
111: 플런저 113: 플런저스프링
115: 밸브시트 120: 밸브바디부
121: 유입공 123: 공급유로
125: 시트안착부 127: 바디공
129: 밀폐부재 130: 유량조절부
131: 댐핑공간 133: 댐퍼끼움홈
135: 배출공 140: 유량조절댐퍼
141: 구획격판 142: 연통공
143: 힌지부 145: 댐핑판
147: 제한연장부 147a: 지지부
147b: 안착홈 150: 개도제한부재
151: 핀부 160: 개폐커버
161: 개도조절공

Claims (7)

  1.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플런저가 출몰하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가 안착되고 가스가 지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공급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여 가스의 공급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바디부,
    상기 밸브바디부의 공급유로로 가스를 공급하거나, 상기 공급유로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댐핑공간이 형성된 유량조절부,
    상기 댐핑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공간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을 회전에 따라 조절하는 유량조절댐퍼, 및
    상기 유량조절댐퍼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형태로 상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개도제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부에서 상기 유량조절댐퍼를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설치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절댐퍼를 탈착가능하게 끼워 고정하는 댐퍼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댐퍼는
    상기 공급유로와 상기 댐핑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공급유로와 상기 댐핑공간을 가스가 이동하도록 연통공이 형성된 구획격판,
    상기 구획격판에서 회전하여 상기 연통공의 개도를 조절하는 형태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댐핑판, 및
    상기 구획격판에서 상기 댐핑판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판의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댐핑판에서 상기 개도제한부재가 위치된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한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도제한부재는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개도제한부재의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내주에 형성된 개도조절공을 포함하여,
    상기 개도제한부재가 상기 개도조절공에 나사체결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댐퍼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댐퍼를 용이하게 수리 또는 교체하도록 상기 댐핑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부는
    상기 밸브바디부로 공급되는 가스와 다른 가스를 혼합하거나, 상기 밸브바디부로 공급되는 가스를 분기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하는 바디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190028419A 2019-03-12 2019-03-12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2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419A KR102020601B1 (ko) 2019-03-12 2019-03-12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419A KR102020601B1 (ko) 2019-03-12 2019-03-12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601B1 true KR102020601B1 (ko) 2019-09-10

Family

ID=6795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419A KR102020601B1 (ko) 2019-03-12 2019-03-12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6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363B1 (ko) 2022-01-17 2022-09-21 이태준 가스 액티브 밸브
KR20230011687A (ko) 2021-07-14 2023-01-25 이태준 능동형 가스 조절 밸브
KR20230063589A (ko)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 에네스지 유량조절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된 액츄에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599A (ko) * 2010-11-11 2012-05-21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전자석 급수밸브
KR101476364B1 (ko) * 2013-12-10 2014-12-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조절용 가변스토퍼를 구비한 스윙식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599A (ko) * 2010-11-11 2012-05-21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전자석 급수밸브
KR101476364B1 (ko) * 2013-12-10 2014-12-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조절용 가변스토퍼를 구비한 스윙식 체크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687A (ko) 2021-07-14 2023-01-25 이태준 능동형 가스 조절 밸브
KR20230063589A (ko)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 에네스지 유량조절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된 액츄에이터
KR102446363B1 (ko) 2022-01-17 2022-09-21 이태준 가스 액티브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601B1 (ko)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EP0248079B1 (en) Faucet valve with anti-siphon back flow preventer
BRPI0910567B1 (pt) Dispositivo de regulação de fluidos
BRPI0810051B1 (pt) Dispositivo de regulagem de fluido
EP3377792B1 (en) Adjustable flow regulator
KR20100040135A (ko) 차압조절밸브
PL176598B1 (pl) Termostatyczne urządzenie mieszające
PL180983B1 (pl) Zawór termostatyczny mieszający
JP5275938B2 (ja) 流量調整止水栓
EP0681716B1 (en)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KR20130046053A (ko)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KR101994110B1 (ko) 역압방지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밸브
JPH08270806A (ja) 自動圧力調整弁
KR100876120B1 (ko) 온수 분배기
KR100835860B1 (ko)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KR101453353B1 (ko) 정유량 밸브
CN114630978B (zh) 用于卫生设备配件的具有膜片阀和可调节的控制杆的阀
KR101624229B1 (ko) 수밀 조절 가능 방식의 플랩 밸브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KR100854756B1 (ko) 밸브
KR200337366Y1 (ko) 보일러용 감압 수류 스위치
KR102531504B1 (ko) 통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상수도 급수용 정유량 조절밸브
KR102529601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 온수 분배기
KR102341313B1 (ko) 급수배관용 복합 감압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