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599A - 전자석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전자석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599A
KR20120050599A KR1020100111933A KR20100111933A KR20120050599A KR 20120050599 A KR20120050599 A KR 20120050599A KR 1020100111933 A KR1020100111933 A KR 1020100111933A KR 20100111933 A KR20100111933 A KR 20100111933A KR 20120050599 A KR20120050599 A KR 2012005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inlet
channel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6379B1 (ko
Inventor
노관호
Original Assignee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3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통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사용수의 유입이 원활하고 통수로의 관리가 용이한 전자석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필터와 유량조절구가 구비되는 입수구와 출수구 사이에 밸브시이트가 구비된 쳄버를 가지는 밸브본체와 전자석부로 이루며, 밸브시이트상에 제1통수로와 전자석의 제2밸브로 열리고 닫히는 제2통수로가 구비되고 쳄버의 상측을 압력실로 구획시키는 제1밸브가 접촉 이탈하는 것으로 급수가 단속되게 하고, 이 제1밸브가 제1통수로를 통해 압력실로 유입되어 작용하는 사용수의 수압으로 폐로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전자석 급수밸브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 상기 밸브본체는 입수구와 압력실이 직결되어 하나의 공동공간을 이루고, 상기 입수구 내벽과 유량조절구가 지지되는 지지부 사이에 압력실을 이루는 외벽으로 관통하는 제1통수로를 사용수의 송수방향으로 형성함과 압력실을 이루는 내외벽을 관통하여 제1통수로를 통해 유입된 사용수를 압력실로 유입하는 유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통수로에는 통수로필터가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석 급수밸브{Electromagnet water supply valve}
본 발명은 사용수의 수압으로 폐로상태를 유지하는 절전형 전자석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통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사용수의 유입이 원활하고 통수로의 관리가 용이한 전자석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석을 이용해 급수의 단속을 제어하는 밸브는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전자석 급수밸브는 통상 자동 급수장치를 적용하는 각종 기기, 예를 들어 세탁기, 냉장고, 음료자동판매기, 식기세척기 또는 보일러 등의 자동급수를 요하는 제품들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석 급수밸브는 일반적으로 상수관로 등의 송수계통 말단부나 기기의 입수측에 설치되어 송수되는 사용수를 단속하고 있는데, 그 일례를 설명하면 도 1에서 전자석 급수밸브는 밸브본체(10)와 전자석부(20)로 구성된다.
그리고 밸브본체(10)는 입수구(11)와 출수구(12)을 구비하고 있고, 입수구(11)와 출수구(12) 사이에는 쳄버(14)가 설치되는데, 이때 쳄버(14)와 입수구(11) 사이에는 연결통로(10a)를 이용해 연결되며, 이 쳄버(14) 내의 중앙에는 밸브시이트(13)가 구비되어 있다.
챔버(14) 내의 밸브시이트(13)는 전자석부(20)에 의해 구동되는 제1밸브(15)가 붙거나 떨어지면서 쳄버(14)와 출수구(12) 사이를 개로ㆍ 폐로 함과 동시에, 쳄버(14) 내를 상하부로 구획시키어 상측에 압력실(16)을 구비한다.
또한 제1밸브(15)는 다이아프램(15a)과 다이아프램홀더(15b)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제1밸브(15)의 편심 측과 중앙부, 즉 밸브시이트(13)을 벗어난 일측변에 제1통수로(17)를, 그리고 제1밸브(15)의 중앙에는 제2통수로(18)를 각각 구비하여 제1통수로(17)는 쳄버(14)와 압력실(16)을 연결시키며, 제2통수로(18)는 압력실(16)과 출수구(12)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제1통수로(17)와 제2통수로(18) 중 제2통수로(18)는 전자석부(20)내에 스프링(21)의 하향 탄성력으로 설치되는 플랜저(22) 하단의 제2밸브(23)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제1통수로(17)는 제2통수로(18)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설치되어 제2통수로(18)를 개폐함에 급수를 단속하게 될 것이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자석부(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단수상태로 플랜저(22)는 자중과 스프링(21)의 하향 탄성력에 의해 제1밸브(15)를 밸브시이트(13)상에 밀접되고 이와 동시, 입수구(11)측에서 공급되는 급수는 초기 시에 제1밸브(15)를 순간적으로 급수압에 의해 떠밀어 올린다. 이러한 현상은 플랜저(22)를 누르고 있는 스프링(21)의 탄성력이 급수압 보다 적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밀려올라간 제1밸브(15)는 곧바로 급수압으로 폐로된다. 즉 수압이 일시에 제1밸브(15)의 저면에 작용하다 제1밸브(15)의 일측에 구비된 제1통수공(17)를 통해 일부의 급수가 압력실(16)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급수는 제1밸브(15) 상면에 압력으로 작용하여 제1밸브(15)를 밸브시이트(13) 상에 밀접시켜 폐로상태가 유지하게 되어 별도의 전력소비 없이 급수를 차단하는 폐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 전자석부(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부(20)의 플랜저(22)는 상향으로 올라가 제2밸브(23)로 폐로되어 있던 제1밸브(15)의 제2통수로(18)를 개로한다. 이때 압력실(16)에 차있던 물은 순간적으로 제2통수로(18)를 통해 대기압 상태의 출수구(12) 측으로 흘러나가 압력실(16) 내를 대기압 상태로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제1밸브(15)에 작용하던 압력이 해제되어 입수구(11) 측으로부터 급수되는 급수압에 의해 제1밸브(15)는 밸브시이트(10) 상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이와 동시 밸브본체(10)의 입수구(11)와 쳄버(14), 그리고 출수구(12)를 거치는 급수경로를 개로 상태로 유지하여 목적하는 급수를 이루게 된다.
그런데 전자석 급수밸브에서 입수구(11) 측에는 필터(24)와, 필터(24)와 연결통로(10a) 사이에 사용수의 송수압을 떨어뜨려 사용수를 정량 유출을 조정하는 유량조절구(30)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24)에 이물질이 제거되고 압력이 낮아진 사용수가 제1통수로(17)를 통해 압력실(16)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특히 제1통수로(17)가 사용수의 진행방향과는 직교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서, 낮아진 압력으로 원활한 유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통수로(17)의 청소 등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밸브몸체(10)와 전자석부(20)를 분리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에 따라 관리성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입수구(11)측에 초기 시동시에 걸리는 수압 등으로 이물질이 필터(24)를 통과하는 경우 제1통수로(17)가 제2통수로(18)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통수로(17)가 이물질에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필터(24)를 청소하기 위하여 또는 필터(24)를 교체하기 위하여 입수구(11) 내에서 필터(24)를 분리하는 경우,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1통수로(17)를 막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력실로 사용수를 안내하는 통수로를 송수방향과 병행한 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압력실로 유입되어 수압으로 폐로를 이루게 하는 사용수의 유입이 원할한 전자석 급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력실로 사용수를 안내하는 통수로를 밸브본체의 입구측에 형성하여 구조가 간단해지고 보수가 편리한 전자석 급수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실로 사용수를 안내하는 통수로의 막힘이 방지되는 전자석 급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석 급수밸브는 필터와 유량조절구가 구비되는 입수구와 출수구 사이에 밸브시이트가 구비된 쳄버를 가지는 밸브본체와 전자석부로 이루며, 밸브시이트상에 제1통수로와 전자석의 제2밸브로 열리고 닫히는 제2통수로가 구비되고 쳄버의 상측을 압력실로 구획시키는 제1밸브가 접촉 이탈하는 것으로 급수가 단속되게 하고, 이 제1밸브가 제1통수로를 통해 압력실로 유입되어 작용하는 사용수의 수압으로 폐로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전자석 급수밸브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 상기 밸브본체는 입수구와 압력실이 직결되어 하나의 공동공간을 이루고, 상기 입수구 내벽과 유량조절구가 지지되는 지지부 사이에 압력실을 이루는 외벽으로 관통하는 제1통수로를 사용수의 송수방향으로 형성함과 압력실을 이루는 내외벽을 관통하여 제1통수로를 통해 유입된 사용수를 압력실로 유입하는 유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통수로에는 통수로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통수로필터는 유량조절구의 둘레면을 입수구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연장하여 입수구 전면측으로 융기한 요입부와, 이 요입부 내에 제1통수로와 연통하는 필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급수밸브에 의하면, 압력실로 사용수를 안내하는 통수로가 송수방향과 병행한 방향으로 구성되고 사용수의 이 중 필터링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며 필터의 분리에도 통수로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짐으로써, 압력실로 유입되어 수압으로 폐로를 이루게 하는 사용수의 원활한 유입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실로 사용수를 안내하는 통수로를 밸브본체의 입구측에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전체적인 분리 없이 통수로의 관리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석 급수밸브의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2와 도3은 본 발명 전자석 급수밸브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보여 주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전자석 급수밸브에 적용한 유량조절구의 정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도 4a의 A - 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전자석 급수밸브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고, 도 4a, b는 본 발명의 전자석 급수밸브에 적용한 유량조절구의 정면 구성 및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본 발명은 크게 나누어 밸브본체(10)와, 그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전자석부(20)로 구성된다.
밸브본체(10)는 입수구(11)와 출수구(12)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 입수구(11)와 출수구(12)의 사이에 밸브시트(13)를 중앙에 구비한 쳄버(14)를 갖추고 있는데, 이 쳄버(14)와 입수구(11)의 사이는 연결통로(10a)를 통하여 연결된다.
또 밸브시이트(13)의 상면에는 밸브본체(10)와 그 밸브본체(10)의 상부에 조립 고정되는 전자석부(20)의 사이에 개재되어 별도의 상부캡(10b)으로 고정되는 제1밸브(15)가 급수압 작용에 의해 붙었다 떨어졌다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제1밸브(15)는 또한 챔버(14)의 내를 상.하부측으로 구획하여 상부 측으로는 압력실(16)이 제공될 것이다.
또한 제1밸브(15)는 상.하측에 다이아프램(15a)과 다이아프램홀더(15b)로 구성되고, 이러한 제1밸브(15)의 중앙에는 제2통수로(18)를 구비하여 압력실(16)과 출수구(12)의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한편 전자석부(20)는 그 내부에 스프링(21)에 의해 하향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플랜저(22)를 내장하고 있고, 스프링(21)의 탄성값은 급수압력에 미치지 않는 아주 적게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탄성값을 적게 가지는 것은 전자석의 구동을 적은 자계력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하여 전자석의 부피 소형화와 전력소모를 최소로 줄이기 위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저(22)의 하단부에는 제1밸브(15)의 중앙부에 구비된 제2통수로(18)을 개폐하는 제2밸브(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석 급수밸브는 일반적인 구성의 급수밸브로서,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은 급수밸브의 입수구(11) 측에 설치되어 사용수를 압력실(16)로 유입하는 경로와 상기 경로상에 구비되어 이중 필터링 또는 필터(24)의 제거시에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에 있다.
먼저, 본 발명은 밸브본체(10)에 구비되는 입수구(11)와 압력실(16)이 종래와 같이 연결통로(10a)를 통하지 않고 직결되어 하나의 공동 공간으로 이루고 있다.
입수구(11)의 내측에 자유로이 삽입과 이탈이 자유로운 필터(240)는 캡형상으로 둘레면이 망체로 이루고 있는데, 망체는 입수구(11) 내벽과 이격 배치되고, 그 일단에는 유량조절구(30)가 설치된다.
상기 입수구(11)에는 유량조절구(30)가 지지되는 지지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111)는 입수구(11)의 내벽이 연장되어 상부캡(10b)과 결착되어 챔버(14)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입수구(11) 내벽과 유량조절구(30)가 지지되는 지지부(111) 사이에 압력실(16)을 이루는 외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통수로(17)를 사용수의 송수방향으로 형성함과 압력실(16)을 이루는 벽체에는, 즉 상부캡(10b)을 관통하여 제1통수로(17)를 통해 유입된 사용수를 압력실(16)로 유입하는 유입공(10c)을 형성한다.
아울러 제1통수로(17)에는 통수로필터(32)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통수로필터(32)는 도 4에서와 같이 유량조절구(30)의 둘레면을 입수구(11)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연장하여 입수구(11) 전면측으로 융기한 요입부와(34), 이 요입부 (34)내에 제1통수로(17)와 연통하는 필터공(36)들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유량조절구(30)의 중앙에는 사용수가 진입하는 유로가 형성된 것이나, 이는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은 전자석부(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단수상태에서 도 2와 같이 플랜저(22)가 자중과 스프링(21)의 하향 탄성력에 의해 제1밸브(15)를 밸브시이트(13)상에 밀접되고 이와 동시 압력실(16)에 유입된 사용수의 수압으로 제2밸브가 제2통수로를 막은 상태를 유지한다.
또 전자석부(20)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전자석부(20)의 플랜저(22)는 상향으로 올라가 제2밸브(23)로 폐로되어 있던 제1밸브(15)의 제2통수로(18)를 개로한다. 이때 압력실(16)에 차있던 물은 순간적으로 제2통수로(18)를 통해 대기압 상태의 출수구(12) 측으로 흘러나가 압력실(16) 내를 대기압 상태로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제1밸브(15)에 작용하던 가압력이 해제되어 입수구(11) 측으로부터 급수되는 급수압에 의해 제1밸브(15)는 밸브시이트(10) 상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이와 동시 밸브본체(10)의 입수구(11)와 필터, 유량조절구, 쳄버(14), 그리고 출수구(12)를 거치는 급수경로를 개로 상태로 유지하여 목적하는 급수를 이루게 된다.
이 후 다시 도 2에서와 같이 입수구(11)측으로 유입된 사용수가 필터(24)와 요입부(34)에 형성한 필터공(36), 즉 통수로필터(32_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송수방향으로 형성한 제1통수로(17)를 통해 압력실(16)의 외벽, 즉 상부캡(10b)의 외벽으로 유입된 후 상부캡(10b)에 형성한 유입공(10c)을 통해 유입되어 압력실(16) 수압으로 제1밸브(15)가 밸브시이트(13)에 밀착됨으로써 사용수의 급수가 차단된다.
이때 압력실(16)로 유입되는 사용수는 제1통수로(17)가 사용수의 송수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흐름이 원활하고 필터(24)와 통수로필터(32)를 통해 이중으로 여과되어 이물질에 의해 제1통수로(17)가 막힘이 없게 된다.
또한 필터의 청소 및 교환을 위하여 필터(24)를 입수구(11)측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대기의 이물질 등에 의해 제1통수로(17)가 막히지 않는 것으로서, 이는 필터(24)를 제거하더라도 통수로필터(32)가 제1통수로(17)를 막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제1통수로(17)의 관리는 필터(24)와 유량조절구(30)를 분리하면 가능한 것으로서, 종래에 밸브몸체(10)와 전자석부(20)를 분리하는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 밸브몸체 10b : 상부캡
10c : 유입공 14 : 챔버
15 : 제1밸브 16 : 압력실
17 : 제1통수로 18 : 제2통수로
20 : 전자석부 21 : 스프링
22 : 플런저 23 : 제2밸브
30 : 유량조절구 32 : 통수로필터
34 : 요입부 36 : 필터공
111 : 지지부

Claims (3)

  1. 필터(24)와 유량조절구(30)가 구비되는 입수구(11)와 출수구(12) 사이에 밸브시이트(13)가 구비된 쳄버(14)를 가지는 밸브본체(10)와 전자석부(20)로 이루며, 밸브시이트(13)상에 제1통수로(17)와 전자석부(20)의 제2밸브(23)로 열리고 닫히는 제2통수로(18)가 구비되고 쳄버(14)의 상측을 압력실(16)로 구획시키는 제1밸브(15)가 접촉 이탈하는 것으로 급수가 단속되게 하고, 이 제1밸브(15)가 제1통수로(17)를 통해 압력실(16)로 유입되어 작용하는 사용수의 수압으로 폐로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전자석 급수밸브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
    상기 밸브본체(10)는 입수구(11)와 압력실(16)이 직결되어 하나의 공동공간을 이루고,
    상기 입수구(11) 내벽과 유량조절구(30)가 지지되는 지지부(111) 사이에 압력실(16)을 이루는 외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통수로(17)를 사용수의 송수방향으로 형성함과 압력실(16)을 이루는 벽체를 관통하여 제1통수로(17)를 통해 유입된 사용수를 압력실(16)로 유입하는 유입공(10c)을 형성하며,
    상기 제1통수로(17)에는 통수로필터(32)가 구비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급수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로필터(32)는 유량조절구(30)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급수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로필터(32)는 유량조절구(30)의 둘레면을 입수구(11)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연장하여 입수구(11) 전면측으로 융기한 요입부(34)와, 이 요입부 내에 제1통수로(17)와 연통하는 필터공(36)들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급수밸브.










KR1020100111933A 2010-11-11 2010-11-11 전자석 급수밸브 KR10120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33A KR101206379B1 (ko) 2010-11-11 2010-11-11 전자석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33A KR101206379B1 (ko) 2010-11-11 2010-11-11 전자석 급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599A true KR20120050599A (ko) 2012-05-21
KR101206379B1 KR101206379B1 (ko) 2012-12-04

Family

ID=4626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933A KR101206379B1 (ko) 2010-11-11 2010-11-11 전자석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3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8776A (zh) * 2018-12-28 2019-03-26 严书才 一种新型进水阀
KR20190092158A (ko) * 2018-01-30 2019-08-07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용착 버(burr) 방지용 이너캡을 갖는 전자식 제어밸브
KR102020601B1 (ko) * 2019-03-12 2019-09-10 송택번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438B1 (ko) * 2020-01-06 2021-02-24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워터해머 방지기능을 가지는 전자석식 급수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158A (ko) * 2018-01-30 2019-08-07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용착 버(burr) 방지용 이너캡을 갖는 전자식 제어밸브
CN109518776A (zh) * 2018-12-28 2019-03-26 严书才 一种新型进水阀
CN109518776B (zh) * 2018-12-28 2024-04-19 严书才 一种新型进水阀
KR102020601B1 (ko) * 2019-03-12 2019-09-10 송택번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용 솔레노이드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379B1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379B1 (ko) 전자석 급수밸브
CN201018840Y (zh) 水槽用过滤装置
US20170073942A1 (en) Water storage tank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reverse osmosis water purifying system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KR20110022852A (ko) 전자석식 급수밸브
US9580287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eer stone formation and gas-induced foamy beer-spurting phenomenon
WO2018130090A1 (zh) 一种洗涤剂投放盒及洗衣机
CN106395990B (zh) 过滤装置及净水机
KR101594748B1 (ko) 체크 밸브, 주입 어셈블리, 및 음료 제조 기계
JP2015124851A (ja) 流体制御装置
CN203499946U (zh) 一种空压机储气罐排水装置
JP2008064019A (ja) 定流量エゼクタおよびイオン交換装置
CN213899906U (zh) 压力调节阀
KR20100087802A (ko) 파이로트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숨구멍 막힘 방지장치
CN109681673A (zh) 一种分水阀
CN106149306A (zh) 利用洗衣机进水电磁阀注入液态洗涤助剂的方法及装置
KR102487207B1 (ko) 미네랄 공급유닛
KR101403183B1 (ko)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수도기기 장착용 절수장치
KR100977737B1 (ko) 전자석 급수밸브
KR200424143Y1 (ko) 솔레노이드밸브 바이패스 장치
KR20170054328A (ko) 음료수 공급장치
JP2009057054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
CN106137083A (zh) 利用洗碗机进水电磁阀注入液态洗涤助剂的方法及装置
KR102283706B1 (ko) 수처리장치
KR102319641B1 (ko)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