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860B1 -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 Google Patents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860B1
KR100835860B1 KR1020070092596A KR20070092596A KR100835860B1 KR 100835860 B1 KR100835860 B1 KR 100835860B1 KR 1020070092596 A KR1020070092596 A KR 1020070092596A KR 20070092596 A KR20070092596 A KR 20070092596A KR 100835860 B1 KR100835860 B1 KR 10083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haft
flow
guide socke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수
Original Assignee
황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수 filed Critical 황선수
Priority to KR102007009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양을 조절하고 차단할 수 있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종래 기술의 가장 일반적인 밸브로 수동 또는 타력식 구동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와 글루브 밸브가 난방 및 냉,온수 공급계통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데, 볼 밸브는 난방분배기에 사용했을 때 유량조절이 어렵고 유체내의 이물질에 의해 작동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으며, 글루브 밸브는 핸들을 다수바퀴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정확한 유량제어가 어렵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유체를 유동시키는 밸브실과 축봉스템실이 단일체형으로 구비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축봉스템실의 외부 일단면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조절수단과 그 회전력이 밸브실의 내공간부로 전달되는 축봉스템 및 편심회전축; 상기 편심회전축과 밸브가이드소켓의 U-자형 내면이 접촉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밸브가이드소켓의 일단에 나사체결된 테이퍼형상의 밸브디스크에 전달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유입부에 장착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디스크시트와 상기 밸브디스크를 안정되게 안내하고 상기 밸브가이드소켓의 회전력을 구속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케 하는 정열링을 포함하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를 제공함으로서 유체의 흐름양을 원활하게 조절하고 차단이 가능하며, 특히 액체의 흐름방향과 일직선으로 밸브가 작동됨으로 디스크시트의 마모가 거의 없고 이물질의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핸들을 반 바퀴이내에서만 조작함으로 다수바퀴의 회전이 필요치 않아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밸브몸체, 축봉스템, 편심회전축, 밸브가이드소켓, 밸브디스크, 정열링,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Description

유량조절 테이퍼밸브{flow control taper valve}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양을 조절하고 차단하기 위하여 유체의 흐름방향과 동일하게 일직선으로 밸브가 작동케 하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 장착되어 유체를 차단하거나 흐름양을 조절하는 설비의 구성품이다.
종래기술의 가장 일반적인 밸브는 5도 내지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또는 타력식 구동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와 글루브 밸브가 난방 및 냉.온수의 공급계통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밸브는 한국산업규격으로 제정되어 있으며 타력식의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자동온도조절밸브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지고 있다.
5도의 볼 밸브는 밸브몸체(500)의 내부에 삽입한 밸브 볼(501)을 수직관부(502)의 내부에 스템(503)을 팩킹(504)와 함께 삽입하여 하단을 밸브 볼(501)에 연결시키고 상면에는 고정볼트(505)를 수직관부(502)의 내벽에 삭설한 나사(506)와 결합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템(503)이 회전되면, 밸브 볼(501)은 볼씨트링(507)과 면마찰 을 일으키며 밀착된 채로 회전되면서 유로를 개폐한다.
6도의 글로브 밸브는 밸브몸체(600)의 양측에 유입로(601)와 유출로(60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로(601)과 유출로(602)를 구획하는 격벽(603)에 유로(6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몸체(600)의 상부를 관통하여 나사식으로 승강하는 밸브봉(605)의 하단에 상기 유로(604)를 개폐하는 디스크(606)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밸브몸체(600)를 흐르는 유량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7도의 유량조절밸브는 유로의 개폐를 위해 유량조절캡(740)을 나사결합시켜 회전시키면서 샤프트(730)를 가이드부재(720)의 내부에서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부재(720)를 필요에 따라 밸브몸체(7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치합하여 고정하며, 유로의 개폐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구(716)의 외면에 유량조절눈금(770)을 새겨 유량조절캡(740)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단면적을 증가시켜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문헌1] 한국산업규격 KSB2308 볼 밸브(2006.10.9개정)
[문헌2] 한국산업규격 KSB2301 청동 밸브(2006.10.31개정) 9∼10쪽 글루브 밸브
[문헌3] 한국산업규격 KSB6612 자동온도조절밸브(2006.12.18개정) 17∼18쪽 전동식(회전방식)
[문헌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14804(2006.8.16) 유량조절밸브
종래의 볼 밸브는 온수분배기에 사용되어 온수의 유동을 단속한다. 그러나 5도에 도시된 종래의 볼 밸브는 볼의 회전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지만 유량조절을 할 수 없다는 어려움으로 인해 각 난방구획별로 공급되는 온수의 흐름량을 조절할 수 없어 온도차가 심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타력의 구동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는 소정의 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는 유체내의 물때 및 이물질에 의해 밸브 볼(501)과 볼씨트링(507)이 고착됨으로써 작동이 불량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6도에 도시된 종래의 글로브 밸브는 격벽(603)의 구조로 인하여 S자형으로 유체가 흐르므로 압력수두손실의 발생과 격벽의 공간부에 이물질이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유량을 조절하고 차단하기 위해서는 핸들을 다수바퀴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정확한 유량의 조절이 어렵다는 것이 불편함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리고, 7도에 도시된 유량조절밸브는 6도의 글루브 밸브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구비한 밸브로 주로 온수분배기에 사용되어 유량을 조절하고 차단할 수 있으나 유량조절캡(740)을 다수바퀴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유량조절눈금(770)이 설치구(716)의 외면 위쪽에 있음으로 인해 정면에서 쉽게 식별이 곤란하며 밸브실내에서 유체가 S자형으로 흐름으로 압력수두 손실이 있으며 이물질이 공간부(718)에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관로 상에 장착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흐르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에 있어서, 유체를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일직선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밸브실과 밸브실의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축봉스템실이 형성된 단일체의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축봉스템실의 상단 일단부에 장착되어 수동핸들 또는 타력식 구동장치로 회전되는 조절수단; 상기 조절수단에 끼워져 그 회전력이 밸브실의 내부로 전달하는 축봉스템; 상기 축봉스템의 하단의 커플링 홈과 결합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는 편심회전축; 상기 편심회전축의 원반의 외주면이 밸브가이드소켓(valve guide socket)의 U-자형의 내면과 접촉하여 미끄러짐으로써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밸브가이드소켓; 상기 밸브가이드소켓의 일단부에 나사 체결된 테이퍼 형상의 디스크와 타 일단부가 정열축으로 형성된 밸브디스크(valve disc); 상기 밸브몸체의 밸브실의 디스크시트(disc seat)의 단부에 접하여 유입구 쪽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디스크시트팩킹(disc seat packing); 상기 밸브디스크를 밸브실의 중심으로 안정되게 안내하고 상기 밸브가이드소켓의 회전력을 구속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케 하는 정열링(ring)을 포함하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를 제공한다.
밸브몸체의 밸브실 내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디스크시트와 밸브디스크의 간격을 변화시켜 유체의 흐름양을 조절하고 디스크시트팩킹에 밀착시킴으로써 유체를 차단하며, 밸브실 내에서의 유체의 흐름이 방향전환 없이 일직선으로 흐르고 밸브가 일직선으로 작동됨으로 밸브실내의 압력수두 손실이 적고 흐름상태가 안정되며 유체의 정체현상이 없어 이물질의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디스크시트팩킹의 마모도 거의 발생치 않아 밸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량조절 테이퍼밸브는 핸들조작을 반 바퀴의 0°∼180° 범위내에서 소정의 유량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편하며 타력의 구동장치를 설치하였을 때 소요동력이 적고 비례제어가 가능함으로 에너지가 절약되며 온수분배기에 설치되었을 때 유량조절눈금판이 정면에 위치함으로 조절량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밸브몸체 100a : 디스크시트(disc seat)
110a : 유입구 110b : 유출구
111 : 밸브디스크(valve disc) 112 : 디스크시트팩킹(disc seat packing)
113 : 정열링(ring) 121 :밸브가이드소켓(valve guide socket)
120a : 밸브실 122 : 편심회전축
123 : 소켓받침대 124 : 분할 핀
125 : 스프링 와셔 130a : 축봉스템실
131 : 축봉스템 132 : O-링
133 : 압축코일스프링 134 : 백팩킹(back packing)
135 : 그랜드볼트(grand bolt) 141 : 목시눈금판
143 : 유량조절핸들 145 : 체결볼트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 테이퍼밸브는 사용자가 원하는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유체를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유입구(110a)와 유출구(110b)가 형성되고 유입구(110a)에 접한 밸브실(120a)의 내면이 테이퍼로 형성된 디스크시트(disc seat)(100a)와, 밸브실(120a)의 수직방향으로 연통되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축봉스템실(130a)이 단일체형으로 구비된 밸브몸체(100); 상기 밸브몸체(100)의 축봉스템실(130a)의 일단 외부에 장착되어 유량조절핸들(143)또는 타력구동으로 회전되는 조절수단; 상기 조절수단의 유량조절핸들(143)의 홈과 외부에 형성된 일단부의 턱단(131c)에 볼트(145)로 체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밸브실(120a) 내부의 유체가 축봉스템실(130a)을 통하여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O-링(132)이 장착되도록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축봉스템(131); 상기 축봉스템(131)의 내부에 형성된 축정열구멍(131a)과 하단부에 형성된 커플링 홈(131b)에 의해 편심회전축(122)의 일단부 커플링(122b)이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 편심회전축(122);상기 편심회전축(122)의 원반의 외주면(122a)이 밸브실(120a)의 중심선에 위치하여서 밸브가이드소켓(valve guide socket)(121)의 U-자형의 내면(121a)과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회전하고, 밸브가이드소켓(121)의 하부면에 관통된 슬롯(SLOT)구멍(121c)과 정열링(ring)(113)의 구멍(113a)과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력이 구속되어서 밀어내는 힘으로 변환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밸브가이드소켓(121); 상기 편심회전축(122)의 하부에서 축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밸브가이드소켓(121)의 하부면을 받치고 있는 소켓받침대(123); 상기 편심회전축(122) 하부의 외주면에 관통되어 끼워져서 상기 소켓받침대(123)의 이탈을 방지하는 분할 핀(124); 상기 밸브가이드소켓(121)의 일단부의 나사에 체결되어 유로를 단속하고 유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테이퍼 형상의 디스크와 타 일단부가 정열축(111a)으로 형성된 밸브디스크(valve disc)(111); 상기 밸브몸체(100)의 디스크시트(100a)와 유입부(110a) 사이에 장착되어 유체의 흐름을 완전하게 차단하는 디스크시트팩킹(disc seat packing)(112); 상기 디스크시트팩킹(112)을 고정하며 상기 밸브디스크(111)를 그 일단부의 정열축(111a)과 내접하여 밸브의 중심으로 안정되게 정열하고 상기 밸브가이드소켓(121)의 회전력을 구속하여 밀어내는 힘으로 변환시키는 정열링(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봉스템(131)의 하단부 커플링 홈(131b)과 접하여 형성된 축정열 구멍(131a)의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133)을 구비하여 편심회전축(122)의 상단면을 상시 누름으로써 밸브몸체(100)의 피봇(PIVOT)축수(100b)에 밀착되어 있으며, 유체의 유동력에 의한 편심회전축(122)의 흔들림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어 밸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100)의 밸브실(120a)에 접한 축봉스템실(130a)의 내주면(130b)에 편심회전축(122)의 지지단턱(122c) 외주면이 접촉함으로써 편심회전축(122)에 작용하는 유체의 유동력의 일부를 흡수하고, 상기 편심회전축(122)의 하단면이 밸브몸체(100)의 밸브실(120a)의 피봇축수(100b)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부는 축봉스템(131)의 커플링 홈(131b)과 축정열 구멍(131a)에 끼워져 지지되어서 편심회전축(122)에 미치는 힘이 상,하의 양단 축수로 분산되므로 축봉스템(131)의 외주면에 설치된 O-링(132)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밸브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O-링(132)이 열화되어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관로상에 본 발명의 유량조절 테이퍼밸브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절장치를 분해하고 그랜드볼트(grand bolt)(135)를 풀어 축봉스템(131)의 O-링(132)을 교환할 수 있음으로 수리가 간편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적게 든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개폐수단의 작용상태를 첨부된 2a도 내지 3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밸브몸체(100)의 개폐량을 조절하는수단은 편심회전축(122)과 밸브가이드소켓(121) 및 정열링(113)과의 작용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상기 사용자가 유량조절핸들(143)을 조작하여 회전시키면 축봉스템(131)을 통하여 편심회전축(122)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단일체로 제작된 편심회전축(122)의 축 중심에서 편심량 α값으로 형성된 원반의 외주면(122a)이 2b도의 중간 열림의 작용상태 또는 2c도의 완전 열림의 작용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밸브가이드소켓21)의 공간부 U-자형의 오른쪽 내면(121b)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며, 밸브가이드소켓21)의 하부면에 관통된 슬롯(SLOT)구멍(121c)과 밸브디스크(111)의 일단부 정열축(111a)의 외주면이 정열링(113)의 구멍(113a)에 의해서 회전력이 구속되어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밸브가이드소켓(121)의 일단면의 나사에 체결된 밸브디스크(111)가 유입구(110a) 쪽으로 이동하고 이때에 편심회전축(122)의 원반의 외주면(122a)의 최대점(r +α)이 P2 면의 접점 P2 '에 도달하기 전에 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시트팩킹(112)의 면에 먼저 접촉하므로 닫힘 상태가 되며 유량조절핸들에 약간의 회전력을 더 가하면 완전하게 밀착되어 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유량조절핸들(143)을 조작하여 2a도의 닫힘의 작용상태 또는 2b의 중간 열림의 작용상태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봉스템(131)을 통하여 편심회전축(122)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단일체로 제작된 편심회전축(122)의 축 중심에서 편심량 α값으로 형성된 원반의 외주면(122a)이 밸브가이드소켓(121)의 공간부 U-자형의 왼쪽 내면(121a)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며, 밸브가이드소켓(121)의 하부면에 관통된 슬롯구멍(121c)과 밸브디스크(111)의 일단부 정열축(111a)의 외주면이 정열링(113)의 구멍(113a)에 의해서 회전력이 구속되어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밸브가이드소켓(121)의 일단면의 나사에 체결된 밸브디스크(111)가 유출구(110b) 쪽으로 이동하고 이때에 편심회전축(122)의 원반의 외주면(122a)의 최대점(r +α)이 P1 면의 접점 P1 '에 접촉되어 완전 열림상태가 되며 P1 면에 의해서 편심회전축(122)의 회전은 정지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유량조절핸들(143)을 목시눈금판(141)(본 실시예에서는 범위 0°∼180°)의 90°를 지시하는 곳으로 조작하였을 때 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회전축(122)의 원반의 외주면(122a)의 중립점(r)과 밸브가이드소켓(121)의 U-자형 홈의 직선부 내면(P1 ,P2 )과 접촉하여 중간 열림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 테이퍼밸브는 밸브가이드소켓(121)의 공간부 U-자형 홈과 디스크시트팩킹(112)에 의해서 밸브실(120a)내에서 열림 상태의 멈춤작용과 닫힘작용이 이루어짐으로 외부의 유량조절수단에 별도의 멈춤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밸브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5도에 따른 종래의 볼 밸브는 밸브 볼(501)과 볼씨트링(507)과의 면 마찰을 일으키며 밀착된 채로 회전되면서 유로를 개폐하므로 금속의 밸브 볼(501)보다 연질인 볼시트링(507)이 조기에 마모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나 상기의 본 발명은 밸브디스크(111)의 테이퍼 외주면이 직선으로 이동하여 디스크시트팩킹(112)에 밀착되므로 면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밸브의 수명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상태(0°)부터 중간 열림상태(90°)까지의 개도량 범위에서의 유량은 중간 열림상태(90°)부터 완전 열림상태(180°)까지의 개도량 범위에서의 유량보다 현저히 적은 유량특성곡선을 가지고 있음으로 최소사용범위에서 보다 더 미세하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실시예로 4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볼 밸브가 설치된 난방구획별 방(R1 ,R2 ,R3 ,R4 )에 보일러(410) 등의 열원설비에서 가열된 온수가 난방코일배관(440)에 동일하게 제공되더라도 방의 데워지는 속도는 공급설비와의 거리, 방의 면적, 단열 및 방열상태 등에 따라 달라 진다.
따라서 공급부(420)의 밸브(421)를 조절하지 않는 이상, 방의 가온시간과 실내온도는 균일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 테이퍼밸브를 사용하는 경우, 면적이 좁고 온수분배기(420,430)에 가까운 방, 예를 들면 방(R1 )과 방(R2 )은 개도량 90°이내의 중간열림상태와 닫힘상태의 범위내에서 미세하게 조절하고, 면적이 중간정도인 방(R4 )은 개도량 90°정도의 중간열림상태의 근처에서 알맞게 조절하며, 면적이 넓고 온수분배기(420,430)에서 먼 방(R3 )은 개도량 90°이상의 완전열림상태의 범위안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각 난방구획별로 원하는 온도로 설정이 가능하고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 테이퍼밸브의 단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밸브개폐수단의 닫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밸브개폐수단의 중간 열림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c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밸브개폐수단의 완전 열림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 테이퍼밸브의 유량특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현대식 온돌구조 주택에서 보일러와 난방온수공급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제5도는 종래 볼 밸브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 글루브 밸브의 단면도
제7도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1804(2006.8.16)에 게재된 유량조절밸브의 단면도

Claims (5)

  1. 유체를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밸브실(120a)에 유입구(110a)와 유출구(110b)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실(120a)의 내주면에 형성된 피봇축수(100b)와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축봉스템실(130a)을 구비하며,상기 밸브실(120a)의 일부가 경사로 형성된 디스크시트(100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체의 밸브몸체(100);
    상기 밸브몸체(100)의 유입구(100a)의 내주면에 정열링(113)을 고정시키고, 상기 정열링(113)의 구멍(113a)에 밸브가이드소켓(121)의 일측면과 나사 결합한 밸브디스크(111)을 끼우며,
    상기 밸브가이드소켓(121)의 상부면에서 끼워진 편심회전축(122);
    상기 밸브몸체(100)의 축봉스템실(130a)에 설치되어 상기 편심회전축(122)과 결합되는 축봉스템(1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봉스템(131)의 상단부에는 턱단(131c)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팩킹부재가 개재되는 홈이 형성되며, 하단의 중심부에 축정열 구멍(131a)이 형성되는 것과 하단부에 커플링 홈(131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축봉스템(131)의 축정열 구멍(131a)에 삽입되어 상기 편심회전축(122)의 상단부을 일정하게 누르는 힘을 가진 압축코일스프링(133)을 포함하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축(122)의 상단부는 커플링(122b)으로 형성되고 축 중심에서 소정의 위치로 편심된 원반이 중간부에 형성되며, 하부 축단이 피봇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이드소켓(valve guide socket)(121)의 상부면에서 개방되어 U-자형으로 공간부(121a,121b)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관통하는 슬롯구멍(121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디스크(valve disc)(111)의 외주면은 테이퍼 형상의 디스크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정열축(111a)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KR1020070092596A 2007-09-12 2007-09-12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KR10083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596A KR100835860B1 (ko) 2007-09-12 2007-09-12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596A KR100835860B1 (ko) 2007-09-12 2007-09-12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860B1 true KR100835860B1 (ko) 2008-06-09

Family

ID=3977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596A KR100835860B1 (ko) 2007-09-12 2007-09-12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8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97B1 (ko) 2009-09-04 2012-04-05 이창현 축산용 급수조절장치
WO2017123028A1 (ko) * 2016-01-14 2017-07-20 (주)두쿰 역방향 유체 공급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WO2017123027A1 (ko) * 2016-01-14 2017-07-20 (주)두쿰 강제 잠금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CN108474488A (zh) * 2016-01-14 2018-08-31 多可姆有限公司 具有反向流体供给功能的止回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3220U (ko) * 1977-04-19 1978-11-11
JPS56168654U (ko) 1980-05-16 1981-12-12
US4565210A (en) 1984-09-11 1986-01-21 R&H Technology, Inc. Throttling and shut-off valve for slurry pipelines and the like
JPH0682477U (ja) * 1993-05-10 1994-11-25 木村工機株式会社 電動二方弁
JPH0972432A (ja) * 1995-09-05 1997-03-18 Hitachi Valve Kk 偏芯回転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3220U (ko) * 1977-04-19 1978-11-11
JPS56168654U (ko) 1980-05-16 1981-12-12
US4565210A (en) 1984-09-11 1986-01-21 R&H Technology, Inc. Throttling and shut-off valve for slurry pipelines and the like
JPH0682477U (ja) * 1993-05-10 1994-11-25 木村工機株式会社 電動二方弁
JPH0972432A (ja) * 1995-09-05 1997-03-18 Hitachi Valve Kk 偏芯回転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97B1 (ko) 2009-09-04 2012-04-05 이창현 축산용 급수조절장치
WO2017123028A1 (ko) * 2016-01-14 2017-07-20 (주)두쿰 역방향 유체 공급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WO2017123027A1 (ko) * 2016-01-14 2017-07-20 (주)두쿰 강제 잠금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CN108474488A (zh) * 2016-01-14 2018-08-31 多可姆有限公司 具有反向流体供给功能的止回阀
US10612676B2 (en) 2016-01-14 2020-04-07 Do Qoom, Corp, Ltd Check valve having reverse-direction fluid supply function
CN108474488B (zh) * 2016-01-14 2020-09-01 多可姆有限公司 具有反向流体供给功能的止回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7345C2 (ru)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
US6039304A (en) Ball valve with modified characteristics
EP2146123A2 (en) Insertion to a single-grip, rotation-operated mixing faucet
KR100835860B1 (ko) 유량조절 테이퍼밸브
RU2500956C2 (ru) Клапан с функцией δр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и функцией ограничения потока
US20080053528A1 (en) Diaphragm pressure balancing valves
JP6595338B2 (ja) 自動調心弁体
CA2114855C (en) Diverter and volume control valve
KR100614804B1 (ko) 유량조절밸브
KR100947818B1 (ko) 유량조절에 의한 자동온도조정 테이퍼밸브
CN106949255B (zh) 一种筒塞平衡式流量控制阀
US11716968B2 (en) Waterer valve system
US7128087B2 (en) Differential pressure valve
RU2589953C1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газа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KR100734523B1 (ko) 헤더 및 밸브 일체형 난방용 온수 분배기
KR200422880Y1 (ko) 공기압용 레귤레이터
KR20070011046A (ko) 온수분배기용 온도조절밸브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KR200404834Y1 (ko) 감압밸브
KR20080000074A (ko) 밸브
CN112145767A (zh) 一种双座调节阀
KR20110092727A (ko) 유량 조절 밸브
KR102529601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 온수 분배기
CN220037481U (zh) 一种承压密封蝶阀
CN216200615U (zh) 一种碟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