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410Y1 -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410Y1
KR200366410Y1 KR20-2004-0023345U KR20040023345U KR200366410Y1 KR 200366410 Y1 KR200366410 Y1 KR 200366410Y1 KR 20040023345 U KR20040023345 U KR 20040023345U KR 200366410 Y1 KR200366410 Y1 KR 200366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rum
friction plate
aggregate
regular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동방환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환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환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3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4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4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콘크리트 등의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된 골재가 양질의 유용재로 재사용될 수 있도록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공정에 부설되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거과정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 선별된 골재에 있어서, 그 골재의 외표면에 부착되어진 모르타르 물질을 효과적으로 박피함과 동시에 적절한 입경상태와 사이즈가 유지되도록 한 마찰 가압식 회전드럼형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가공장치를 유기적으로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로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서 반원형 상태로 위치 고정된 채 그 내표면에는 규칙적 형상의 기어 혹은 불규칙적 형상의 요철부가 복수개로 형성되어진 제 1마찰플레이트; 상기 제 1마찰플레이트의 반원형 내주면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되, 그 외주연부를 따라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요철부가 형성된 제 1회전드럼; 상기 제 1회전드럼의 회전축 대각선 방향을 따라 그 하방에 위치하되, 제 1회전드럼과 같이 외주연부를 따라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요철부가 형성된 제 2회전드럼; 상기 제 2회전드럼의 외주면에 제 1마찰플레이트와 반대측 방향의 반원형 상태로 위치 고정되며, 그 내표면에는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요철부가 복수개로 형성되어진 제 2마찰플레이트; 및 상기 제 2마찰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배출슈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Processing Device for Recycling Gravels of Production in Waste Construction Materials}
본 고안은 폐콘크리트 등의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된 골재가 양질의 유용재로 재사용될 수 있도록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공정에 부설되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거과정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에서 토사나 폐자재 등과 구분되는 골재만을 파쇄와 선별과정을 통해 추출한 후 이들이 양질의 유용재로 재사용될 수 있도록 골재의 외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물질을 효과적으로 박피함과 동시에 적절한 입경상태와 사이즈가 유지되도록 한 마찰 가압식의 회전드럼형 크러셔인 재생골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콘크리트 등 2차 시멘트 제품을 이용한 현대의 각종 구축물(도로, 교량 및 빌딩 등)은 그 내구성과 여러 주변적인 요인에 의해 보수보강이나 철거 또는 재건축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우리 사회에서 건설폐기물은 끊임없는 반복생산과정을 거쳐 계속 증대될 것이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발생현황과 관련해서는 1999년도 하반기에 등록된 특허등록 제235319호“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통해 그 구체적인 수치가 언급된 바 있는데, 현대의 폐콘크리트량에 대한 증가율을 고려하지 않는다 하여도 당시의 인용자료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의 약 1/3을 차지하는 폐콘크리트는 연간 약 1,000만톤의 규모임을 확인하여 볼 수 있다.
그러나 매우 다행스럽게도 건설페기물은 다른 일반 폐기물과 달리 인체에 무해한 무기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그 대부분이 양질의 유용재로 재활용될 수 있을 것이나, 그 처리플랜트시설물의 경제성 대비 효용성의 저하에 따라 만족할만한 성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에 있다.
예컨대 자원의 효율적 재활용을 도모한다는 국가경제적인 차원에서 종래 성토나 복토 또는 매립용으로만 활용되던 건설페기물의 재활용처리를 담당할 다양한 처리시설물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기술의 하나가 앞서 언급한 특허등록 제235319호인데, 상기 선등록특허는 수거된 건설폐기물의 투입에서부터 다단계로 마련된 파쇄와 선별 및 세척과정을 거치게 하므로 금속과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세척을 통해 폐목재 등 부유물질의 제거도 가능해지고, 토사분리와 골재의 입경별 분리작업도 가능해져 건설페기물의 기본적인 중간처리장치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골재는 입경이 불량하여 외관의 저하는 물론 부착력이 떨어지고, 흡수율이 높아 강도저하 등이 현저하게 우려되는 등 골재의 품질등급이 매우 낮아 효율적인 사용에 장애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폐콘크리트 덩이에 혼재된 재생골재가 죠크러셔와 콘크러셔 및 임팩트크러셔 등에 의해 연속적으로 점차 작은 입경을 향해 파쇄됨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물을 그대로 이용함에 근거하는 것인데, 이러한 단순 파쇄작업을 통해서는 골재의 외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박리시키지 못할 뿐더러 결국 이러한 모르타르에 의해 입경의 불량과 과도한 흡수율을 유지하여 1종 재생골재로서는 결코 기능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결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재생골재의 품질향상을 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논의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논의를 통해 결국 재생골재의 품질여부는 파쇄되어 추출된 골재의 외표면 가공여부에 달려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는 결국 파쇄기술의 개선을 통해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선등록특허 이후에 제안되고 있는 대부분의 기술들은 상기 선등록특허의 파쇄기능을 일부 보완하여 각각 재생골재의 외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제거에 그 촛점이 모아졌다.
그러나 이와 같이 후속되는 기술들은 단지 외표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압형 롤크러셔(또는 밀링 샤프트)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이러한 롤크러셔를 통과하는 골재의 외표면이 박리되도록(깎여질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나, 골재의 투입에서부터 배출까지 그 일련의 과정이 자연스럽지 못하였고, 골재의 입경별 간격조절이 곤란하여 정해진 골재의 입경크기별 작업만을 제한적으로 담당하였다.
또한 롤크러셔의 회전력과 그 직경이 투입되는 골재의 성상(외형의 상태)에 관계없이 일정하여 효율성을 담보할 수 없었으며, 공정수행 중 기계적인 부하가 증대되어 내구성에 문제를 발생시키거나 혹은 골재에 과도한 압력을 주게될 우려가매우 높았다.
이와 함께 박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미분과 모르타르 조각의 처리시설도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못해 골재의 품질향상 등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얻기가 곤란하여 그 대부분이 현장에 설치되지 못한 채 하나의 제안으로서만 기능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안출되어진 것으로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에서 파쇄와 선별을 통해 생산되는 재생골재를 수용한 후 효율적으로 그 외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외형의 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킴과 동시에 흡수율의 저하와 강도증진을 수반케하여 각종 건설현장에서 천연골재와 다름없는 1종의 재생골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에 그 안출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모르타르의 제거와 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미분과 모르타르 조각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투입되는 재생골재의 입경크기에 따라 이를 가압하는 회전드럼의 간격 조절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골재의 외표면 가공작업에 있어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의 (A)(B)(C)는 각각 도 1의 구조를 기본적인 모델로 가공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변화될 수 있는 부분을 제시해 보인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가공장치에 부가될 수 있는 구조물을 도 2의 측 단면도를 이용하여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의 (A)(B)는 본 고안의 회전드럼이 수평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 세부 구조.
도 5는 본 고안 가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6는 본 고안 가공장치에 외부 케이스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퍼 11 : 배출구
20 : 제 1마찰플레이트 21, 31 : 요철부
30 : 제 1회전드럼 32, 42 : 회전축
40 : 제 2회전드럼 50 : 제 2마찰플레이트
60 : 배출슈트 70 : 외부 케이스
80 : 에어블러워 90 : 적치함
100 : 랙기어 101 : 베어링
110 : 피니언 120 : 실린더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마련된 본 고안의 가공장치는 호퍼; 상기 호퍼의하단부에서 반원형 상태로 위치 고정된 채 그 내표면에는 규칙적 형상의 기어 혹은 불규칙적 형상의 요철부가 복수개로 형성되어진 제 1마찰플레이트; 상기 제 1마찰플레이트의 반원형 내주면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되, 그 외주연부를 따라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요철부가 형성된 제 1회전드럼; 상기 제 1회전드럼의 회전축 대각선 방향을 따라 그 하방에 위치하되, 제 1회전드럼과 같이 외주연부를 따라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요철부가 형성된 제 2회전드럼; 상기 제 2회전드럼의 외주면에 제 1마찰플레이트와 반대측 방향의 반원형 상태로 위치 고정되며, 그 내표면에는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요철부가 복수개로 형성되어진 제 2마찰플레이트; 및 상기 제 2마찰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배출슈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재생골재 가공장치는 첨부도면을 통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양호한 상태로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되는 가공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수거된 건설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중간 처리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이 중간 처리장치에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은 1차 파쇄기인 죠크러셔와 선별스크린 및 세척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금속재 성분과 토사 등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제거된 골재가 얻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얻어진 골재는 다시 2차 파쇄기인 임팩트크러셔를 통해 일정 입경단위로 재파쇄되어 분리 선별되는데, 본 고안 가공장치는 바로 이러한 일련의 과정 이후에 설치되어 전체적인 중간 처리장치의 일환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투입되는 골재의 상태 또는 크러셔의 구조전환에 따라(예컨대 1차 죠크러셔를 대체하여 임팩트크러셔가 장착되는 등) 2차 파쇄기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본 고안 가공장치 이후에 별도의 세척설비를 부가할 수 있을 뿐더러 재순환과정을 마련하여 파쇄된 골재의 입경크기에 따라 재가공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될 것인데,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본 고안의 설치운영상 선택되는 것으로 본 고안 가공장치가 하나의 독립적인 장치로 운용될 수 있다는 것도 물론이다.
본 고안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적인 요소로는 선공정에 의해 1차 또는 2차 파쇄된 골재가 이송수단에 의해 투입되도록 한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단부에서 투입되는 골재를 순차적으로 수용받아 경사진 각도를 따라 슬라이딩 낙하되는 골재를 연속 반복적으로 마찰 가압시켜 골재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을 박리시켜주는 반원형의 제 1마찰플레이트(20)와 제 1회전드럼(30)이 마련되고, 상기 제 1회전드럼(30)의 회전축(32)을 기준으로 그 대각선 방향을 따라 하방에 위치하는 제 2회전드럼(40)과 제 2마찰플레이트(50) 그리고 제 2마찰플레이트(50)의 하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배출슈트(6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호퍼(10)는 골재의 연속적인 투입에도 파손이나 부분 훼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우수한 내구성의 재질로 마련되어야 할 것인데,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상측에서 투입되는 골재가 하단의 일측방을 향해 낙하될 수 있도록 배출구(11)의 위치 각도가 어느 한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배려된다.
제 1마찰플레이트(20)는 견고한 내구성의 금속재로 제작될 것인데, 상기 배출구(11)로 낙하되는 골재가 자연스럽게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채 골재가 반원형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되어 반원형의 상태로 제공되며, 그 내표면으로는 일정한 수준 이상의 마모율을 갖는 규칙적 형상의 기어 혹은 불규칙적 형상의 요철부(21)가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한다.
제 1회전드럼(30)은 그 외경이 상기 제 1마찰플레이트(20)의 반원형 내주면보다 다소 적은 상태에서 상기 제 1마찰플레이트(20)의 내주면에 위치되어 별도의 동력발생수단과 감속수단 및 제어수단을 통해 충분한 회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투입되어 가공되고자 하는 골재의 입경크기(약 60㎜입경의 골재)에 따라 제 1마찰플레이트(20)와 제 1회전드럼(30)과의 사이 간격(β)이 유지되도록 한다.
물론 제 1회전드럼(30)의 외주연부 역시 규칙적 형상의 기어 혹은 불규칙적 형상의 요철부(31)가 고르게 형성되어 있어 골재의 표면박리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제 2회전드럼(40)은 이러한 제 1회전드럼(30)의 하방에서 전면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제 1회전드럼(30)의 회전축(32)을 중심으로 수직선을 그려주면 제 2회전드럼(40)의 회전축(42)은 상기 회전축(32)상의 수직선이 전면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곳에 위치되는 곳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각도(α)의 조절은 투입되어 파쇄 내지는 박리되는 골재가 1차 및 2차로 박리되는 단계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하면서 거쳐갈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제 2회전드럼(40) 역시 별도의 동력발생수단과 감속수단 및 제어수단을 통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함이 가공에 따른 회전력을 고려할 때에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달리 제 2회전드럼(40)이 제 1회전드럼(30)의 회전력과 연동될 수 있도록 상호 벨트연결이나 체인연결을 통해 구동의 일체화를 구현할 수도 있는데, 그러나 골재박리의 효율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 1, 2회전드럼(30)(40)이 각기 반대의 회전방향(다 같이 하방을 향하여)을 유지함이 요망되는 것이라 하겠기에 각각 별도의 동력발생수단을 구비함이 더 요망되는 것이라 하겠다.
이때 제 1마찰플레이트(20)의 하단은 제 2회전드럼(40)과 제 2마찰플레이트(50)와의 사이로 골재가 자연스럽게 낙하될 수 있도록 가이드의 기능을 갖게 굴곡되어 제 2회전드럼(40)의 외주연에 가깝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 2마찰플레이트(50)의 상단은 이와 반대로 제 1회전드럼(30)쪽을 향하여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낙하되는 골재가 본 고안의 가공장치 외부로 이탈되어질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 2마찰플레이트(50)와 제 2회전드럼(40)과는 골재크기에 따라 엄격하게 산정된 사이 간격(β')을 유지하도록 설계되는데, 제 1회전드럼(30)에 의해 1차 박리된 골재를 고려할 때에(입경이 작아진) 위 이격된 사이 간격은 제 1회전드럼(30)과 제 1마찰플레이트(20)와의 사이보다 다소 좁도록 배려됨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함께 제 1, 2회전드럼(30)(40)의 상호 회전비를 달리 산정하여 파쇄(박리)의 기능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으며, 각 회전드럼의 설치수를 현재의 2개보다 필요에 따라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첨부된 도 2의 (A)(B)(C)는 각각 도 1의 구조를 기본적인 모델로 가공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변화되는 부분을 제시해 보인 측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각 실시예는 각 회전드럼의 직경 크기를 달리 산정하여 골재의 외표면 박리에 대한 효율성의 정도를 검증받고자 한 것인데, 이는 다분히 구동되는 회전비와도 관계되는 것으로써, 먼저 도 2의 a와 같이 제 1회전드럼(30)의 빠른 구동력을 통해 1차 표면박리된 골재가 제 1회전드럼(30)보다 다소 큰 직경의 제 2회전드럼(40)에 의해 다소 완화된 회전력으로 골재의 표면정리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함이 골재의 특성상 또는 모르타르 이물질의 강도 등을 고려할 때에 바람직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가공장치에 부가될 수 있는 구조물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인바, 골재의 외표면을 가공한다는 본 고안 가공장치의 특성상 소음과 진동의 발생이 과다하다는 것은 충분히 예견되는 사항이고,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미분이나 비산되는 모르타르 조각에 의한 작업자 부상의 우려는 환경위해적인 요인이 되거나 혹은 매우 위협적인 것이 될 수도 있어 별도의 금속성 외부 케이스(70)를 마련하여 호퍼(10)와 일체로 본 고안 가공장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함도 필요하다.
이와 같이 외부 케이스(70)가 설치된 본 고안 가공장치의 외관은 첨부된 도 6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볼 수 있다.
이때 1차 골재의 표면정리 작업에서 배출되는 미분과 모르타르 조각은 발생 즉시 제거되지 않으면 누적된 채 회전드럼의 구동에 하나의 간섭요인이 될 수 있는 관계로 미분 제거를 위해서는 상기한 제1 마찰플레이트(20)의 연통된 하단 연장부를 향하여 공기압을 분사시키므로 그 적층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제 1마찰플레이트(20) 후단의 외부 케이스(70) 일단에 에어블러워(80)를 부착시켜 공기압에 의한 제거를 도모할 수 있고, 제거된 모르타르 조각들과 함께 미분은 제 2회전드럼(40)과 연장된 제 1마찰플레이트(20) 하단과의 사이 틈을 이용하여 낙하될 수 있도록 배려되는데, 이러한 낙하물은 가공된 골재와는 별도로 구분된 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 2회전드럼(40)의 하단부에 제 2마찰플레이트(50)와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적치함(90)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A)(B)는 본 고안의 회전드럼이 수평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회전드럼(30)(40)은 당초 투입되어 가공되고자 하는 골재의 입경크기를 충분히 고려하여 제 1, 2마찰플레이트(20)(50)와의 거리가 산정되어 있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 입경별 사이간격을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거나 혹은 각각의 입경이 상이한 골재가 투입될 경우 회전드럼의 구동력에 장해를 초래하거나 혹은 마모율이 증가될 것을 우려하여 이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회전드럼의 위치조절이 필요해진다.
도 4는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A)도는 회전드럼의 회전축(32)(42)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이동조절수단으로 베어링(101)이 감착된 랙기어(100)가 수평상태로 마련되고, 이와 평상시에도 맞물려진 상태에서 구동대기중에 있는 피니언(110)이 제공되어 이동의 필요성이 발생되면 외부의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피니언(110)이 작동되어 랙기어(100)를 밀거나 당겨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드럼의 이동거리는 랙기어(100)와 피니언(110)의 구동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각 기어의 피치간격과 골재의 입경크기는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미리 산정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회전드럼의 이동에 따라 각 회전드럼의 주변 장치 역시 신축적으로 이동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는 주로 회전축(32)(42)의 부분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과도한 거리 이동이 아니라면 굴절죠인트를 이용할 경우 무리없는 해결이 가능해진다.
한편 (B)도는 회전축(32)(42)의 좌우측에 직접 수평방향으로 실린더(120)를 부착시켜 필요한 위치만큼 회전드럼을 당겨주거나 밀어줄 수 있을 것인데, 이 역시 굴절죠인트가 회전축(32)(42)의 일정위치에 구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상기의 구성과는 달리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 가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골재의 박리현상이 본 고안 가공장치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투입되는 골재가 제 1, 2마찰플레이트(20)(50)와, 제 1, 2회전드럼(30)(40)과의 사이 공간에서 더 많은 시간동안을 지체하면서 골재 상호간의 마찰현상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기계적인 가공작업으로 서서히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마찰플레이트(20)와 제 1회전드럼(30)의 수평축과 동일한 수평축을 형성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상측각도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2마찰플레이트(50)와 제 2회전드럼(40)을 위치 배열하여 골재가 하방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 혹은 상측방향을 향해 서서히 이동하면서 가공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는 골재 가공중 발생하는 미분이나 모르타르 조각이 역방향으로 낙하될 개연성이 높은 관계로 제 1, 2회전드럼(30)(40)과의 사이에 별도의 선별스크린을 설치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 가공장치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장치에 하나의 공정으로 설치될 경우를 상정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거된 건설폐기물이 1차 죠크러셔를 거쳐 약 200㎜이하의 골재로 파쇄된 후 다시 2차 임팩트크러셔에 의해 약 80㎜이하의 입경(바람직하게는 약 60㎜의 입경)으로 재파쇄된 후 이송콘베어밸트를 통해 본 고안 가공장치의 호퍼(10)를 통해 투입되면, 배출구(11)로 낙하되는 각도에 의해 제 1마찰플레이트(20)와 제 1회전드럼(30)과의 사이 공간을 향해 골재가 투입되고, 투입된 골재는 하방을 향하여 제 1회전드럼(30)의 구동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하방을 향해 밀려지면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 1마찰플레이트(20)와 제 1회전드럼(30)의 요철부(21)(31)에 의해 그 사이에 끼인 골재는 과도한 표면 가압력과 마찰력에 의해 골재보다 강도가 약하여 부스러지기 쉬운 표면상의 모르타르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일부 골재의 파손도 예견되는 바 그러나 이 경우에 파손되는 골재는 이미 외력에 의해 강도가 현저하게 낮아진 상태에 놓여진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써 골재로 사용된다면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어 본 고안 가공장치에 의해 미리 파손처리됨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표면가공된 골재는 다시 연속적으로 역방향 구동되는(하방을 향하여) 제 2회전드럼(40)에 의해 재표면가공작업이 마무리작업의 일환으로 제공되는데, 1차 표면정리작업에 의해 골재외표면을 형성하는 모르타르의 대부분이 제거되어 각석이나 편석 등의 입형이 자리잡은 상태임을 고려할 때에 1차 가공작업때보다 다소 좁아진 사이 간격(β')을 통해 보다 완화된 속도와 연장된 작업시간에 따라 상단의 1차 가공때보다 정밀한 표면정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산된 골재는 배출슈트(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평판 혹은 원형트롬멜 스크린을 통해 입경별 선별이 이루어진 후 필요에 따라 호퍼(10)로 재투입되도록 한 피드백 공정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골재의 외표면 가공(모르타르 박리)을 위한 작업공정에서의 소음 및 진동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하되는 골재를 수용하여 이를 연속 반복적으로 마찰 가압시키면서 2차로 마련된 마찰 가압단계로 유도시키게 되어 재생골재의 외표면에 부착된 채 골재의 입형불량과 부착력 저하를 수반하거나 또는 흡수율을 증대시키는 모르타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1종 재생골재로의 생산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천연골재와 마찬가지의 고품질을 유지한 채 건축시공현장에 즉시 투입되어 양질의 유용재로 사용할 수 있는 등 자원의 효율적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을 찾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그 장치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구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이 이러한 범위내에 제한받지 아니함은 명백하다.

Claims (9)

  1.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서 반원형 상태로 위치 고정된 채 그 내표면에는 규칙적 형상의 기어 혹은 불규칙적 형상의 요철부가 복수개로 형성되어진 제 1마찰플레이트; 상기 제 1마찰플레이트의 반원형 내주면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되, 그 외주연부를 따라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요철부가 형성된 제 1회전드럼; 상기 제 1회전드럼의 회전축 대각선 방향을 따라 그 하방에 위치하되, 제 1회전드럼과 같이 외주연부를 따라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요철부가 형성된 제 2회전드럼; 상기 제 2회전드럼의 외주면에 제 1마찰플레이트와 반대측 방향의 반원형 상태로 위치 고정되며, 그 내표면에는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요철부가 복수개로 형성되어진 제 2마찰플레이트; 및 상기 제 2마찰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배출슈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드럼과 제 2회전드럼은 상기 그 직경을 달리하여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드럼과 제 2회전드럼은 각각 그 회전비를 달리하여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마찰플레이트와 제 1회전드럼과의 사이간격보다 제 2마찰플레이트와 제 2회전드럼과의 사이간격이 더 좁게 거리산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마찰플레이트와 회전드럼과의 사이간격 조절이 용이할 수 있도록 각 회전드럼이 수평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그 좌우 회전축에 랙기어와 피니언 구동의 이동조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수단은 각 회전드럼의 좌우 회전축에 부착된 실린더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마찰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골재 박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미분이나 모르타르 조각이 적층없이 낙하될 수 있도록 공기압을 분출시키는 에어블로워가 더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골재의 외표면 가공작업중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 및 작업자 부상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성의 외부 케이스로 각 마찰 플레이트와 회전드럼이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감싸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전드럼은 제 1회전드럼과 같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상측부에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KR20-2004-0023345U 2004-08-16 2004-08-16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KR2003664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45U KR200366410Y1 (ko) 2004-08-16 2004-08-16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45U KR200366410Y1 (ko) 2004-08-16 2004-08-16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707A Division KR100570901B1 (ko) 2004-08-10 2004-08-10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410Y1 true KR200366410Y1 (ko) 2004-11-03

Family

ID=4935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345U KR200366410Y1 (ko) 2004-08-16 2004-08-16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4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143B1 (ko) 2005-03-15 2007-10-29 (주)녹색산업 아스콘 파쇄 장치
KR102380644B1 (ko) * 2021-10-14 2022-04-01 남양기업(주)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143B1 (ko) 2005-03-15 2007-10-29 (주)녹색산업 아스콘 파쇄 장치
KR102380644B1 (ko) * 2021-10-14 2022-04-01 남양기업(주)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901B1 (ko)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JP2007090323A (ja) 粉砕装置及び方法
DE69934183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sand und System dafür
KR101217241B1 (ko) 회전 트롬멜의 햄머 및 패들의 회전 마찰을 이용한 순환골재 시멘트 페이스트 이물질을 분리 저감하는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생산 장치
JP2741155B2 (ja) ガラ再生機
US5632380A (en) Ferrous material recovery system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66410Y1 (ko)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KR100810161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529587B1 (ko) 골재 재생을 위한 건설폐기물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384792Y1 (ko) 골재가공장치
JP3108007U (ja) 建設廃棄物から抽出される再生骨材加工装置
JP2007216187A (ja) 解砕装置及び破砕処理設備
KR100870986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CN114101273B (zh) 一种建筑垃圾的回收加工处理方法
KR200407908Y1 (ko) 재활용 골재용 표면박리 장치
CN213613287U (zh) 一种建筑施工管理用现场垃圾处理装置
KR100575106B1 (ko)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0279344U (zh) 一种伴石自动嵌衬自磨机
CN112536151A (zh) 建筑垃圾再利用分类设备及方法、建筑垃圾综合处理工艺
CN111760681A (zh) 一种建筑垃圾筛分装置
KR100626410B1 (ko) 매립 폐기물 및 건설 폐기물 선별 장치
CN220405768U (zh) 一种具有防飞溅功能的建筑工程废料粉碎处理设备
CN117583117B (zh) 精确筛分的重粒子建筑垃圾振动分选装置
KR102189906B1 (ko)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