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644B1 -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 Google Patents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644B1
KR102380644B1 KR1020210136705A KR20210136705A KR102380644B1 KR 102380644 B1 KR102380644 B1 KR 102380644B1 KR 1020210136705 A KR1020210136705 A KR 1020210136705A KR 20210136705 A KR20210136705 A KR 20210136705A KR 102380644 B1 KR102380644 B1 KR 102380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crete
shaft
waste
drum
st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규
조동심
Original Assignee
남양기업(주)
주식회사 은창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기업(주), 주식회사 은창환경 filed Critical 남양기업(주)
Priority to KR102021013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성분을 박리하여 순환골재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어퍼드럼, 상기 어퍼드럼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큰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임팩트바를 갖는 어퍼샤프트, 상기 어퍼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어퍼구동부재를 갖는 어퍼유닛; 상기 어퍼유닛에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로워드럼, 상기 로워드럼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작은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강선케이블을 갖는 로워샤프트, 상기 로워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로워구동부재를 갖는 로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ABRASIVE BREAKER FOR WASTE CONCRETE USING OF THE STEEL WIRE CABLE}
본 발명은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성분을 박리하여 순환골재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순환골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 과정에서 발생된 폐기콘크리트를 파쇄하여 나온 산물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 과정을 통해 이용하는 골재이다.
순환골재는 대부분 콘크리트 파쇄물이므로 형상적으로는 천연골재 주위에 모르타르 성분이 부착되어 있어서 품질 확보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근래에는 순환골재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박리장치를 이용하여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성분을 박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박리장치에 관련된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9189호(등록일자 2014년12월29일)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기술은 “내측에 공간부(11a)를 갖는 통체(11)와, 상기 통체(11)의 전방에 형성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는 전방투입공(17)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a) 상측에 분사장치(15)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장치(1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가 배출되도록 그 후방에 후방배출공(18)이 형성되며, 상기 통체(11)의 외측둘레에 모터(M)의 기어와 맞물려 구동되게 외륜기어(16)가 형성된 외측회전체(10)와; 상기 외측회전체(10)의 내부중앙에 설치되고 관체로 형성된 회전샤프트(21)와, 상기 회전샤프트(21)의 전방에 설치된 기어(22)와 모터(M)의 기어가 체인(23)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샤프트(21)의 외측둘레에 다수개의 강선케이블(25)을 고정부재(26)로 수직고정되어 설치된 내측회전체(20)와; 상기 회전샤프트(21)의 전,후방을 지지하는 전,후방지지대(31a,31b)가 형성된 받침대(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26)는 상기 강선케이블(25)의 하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결합공(26a)을 갖는 상부고정구(26b)와, 상기 내측회전체(20)의 외측둘레에 고정된 하부고정구(26c)와, 상기 결합공(26a)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하부고정구(26c)의 상부에 삽입결합공(26d)을 갖는 결합구(26e)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이 서로 나사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를 기술의 요지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통체로 투입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를 짧은 체류 시간 내에 강선케이블을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완전히 박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9189호(등록일자 2014년12월2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콘크리트의 체류 시간을 늘려서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를 최대한 박리하여 순환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어퍼드럼, 상기 어퍼드럼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큰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임팩트바를 갖는 어퍼샤프트, 상기 어퍼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어퍼구동부재를 갖는 어퍼유닛; 상기 어퍼유닛에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로워드럼, 상기 로워드럼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작은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강선케이블을 갖는 로워샤프트, 상기 로워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로워구동부재를 갖는 로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임팩트바는, 상기 어퍼샤프트의 외경에 근접된 이너 임팩트바와 상기 어퍼샤프트의 외경에서 소정 거리로 이격된 아웃터 임팩트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 임팩트바는 상기 어퍼샤프트의 외경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의 숏스포크에 연결되고, 상기 아웃터 임팩트바는 상기 어퍼샤프트의 외경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의 롱스포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퍼샤프트의 선단과 후단에는 어퍼드럼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스크루오거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어퍼유닛과 로워유닛의 이단 구조에 의해 폐기콘크리트의 체류 시간을 늘리면서 1차 및 2차 타격에 의해 큰 입도와 작은 입도의 모르타르를 순차적으로 박리하므로 순환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입면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을 나타낸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임팩트바를 나타낸 입면도.
도 4는 도 3의 좌측면을 나타낸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임팩트바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는,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어퍼드럼(210)과 이 어퍼드럼(210)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큰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임팩트바(230)를 갖는 어퍼샤프트(220) 및 이 어퍼샤프트(220)를 회전시키는 어퍼구동부재(240)를 갖는 어퍼유닛(200), 어퍼유닛(200)에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로워아웃렛(312)으로 배출되도록 프레임(10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로워드럼(310)과 이 로워드럼(310)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작은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강선케이블(330)을 갖는 로워샤프트(320) 및 이 로워샤프트(320)를 회전시키는 로워구동부재(340)를 갖는 로워유닛(3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가로세로 방향을 따라 직각으로 짜여진 구조물로서 지면에 설치된다.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복수의 어퍼컬럼(110)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어퍼유닛(200)의 저면을 지지한다.
어퍼유닛(200)은 어퍼드럼(210)과 어퍼샤프트(220) 및 어퍼구동부재(2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어퍼유닛(20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어퍼드럼(210), 어퍼드럼(210)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큰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임팩트바(230)를 갖는 어퍼샤프트(220), 이 어퍼샤프트(220)를 회전시키는 어퍼구동부재(240)를 갖는 어퍼유닛(200)을 포함한다.
어퍼드럼(210)은 상부가 차폐된 ‘∪’ 단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좌측 상부에 어퍼인렛(211)이 구비되고 우측 하부에 어퍼아웃렛(212)이 형성된다. 어퍼드럼(210)은 어퍼인렛(211)에서 어퍼아웃렛(21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어퍼컬럼(110)에 의해 지지된다.
어퍼샤프트(220)는 어퍼드럼(2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퍼구동부재(240)에 의해 회전된다. 어퍼샤프트(220)의 선단과 후단에는 스크루오거(221)가 각각 구비되어 어퍼드럼(210)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이송을 안내한다.
그리고 어퍼샤프트(220)에는 복수의 임팩트바(230)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큰 입도(13~25㎜)의 모르타르를 박리한다. 이러한 임팩트바(230)는 어퍼샤프트(220)의 외경에 근접된 이너 임팩트바(231) 및 소정 거리로 이격된 아웃터 임팩트바(233)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어퍼샤프트(220)의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뻗어나간 복수의 숏스포크(232)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되고, 숏스포크(232)에는 선형의 이너 앰팩트바가 연결된다. 그리고 어퍼샤프트(220)의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뻗어나간 복수의 롱스포크(234)-숏스포크(232)에 비해 길이가 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되고, 롱스포크(234)에는 선형의 아웃터 임팩트바(233)가 연결된다. 이러한 이너 앰팩트바와 아웃터 임팩트바(233)는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어퍼구동부재(240)는 어퍼샤프트(220)를 회전시키도록 벨트(241)와 풀리(242)로 연결된 어퍼모터(243)로 구현된다.
로워유닛(300)은 로워드럼(310)과 로워샤프트(320) 및 로워구동부재(3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로워유닛(300)은 어퍼유닛(200)에서 배출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로워아웃렛(312)으로 배출되도록 프레임(10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로워드럼(310), 로워드럼(310)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작은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강선케이블(330)을 갖는 로워샤프트(320), 로워샤프트(320)를 회전시키는 로워구동부재(340)를 갖는 로워유닛(300)을 포함한다.
로워드럼(310)은 상부가 차폐된 ‘∪’ 단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우측 상부에 로워인렛(311)이 구비되고 좌측 하부에 로워아웃렛(312)이 형성된다. 로워드럼(310)은 로워인렛(311)에서 로워아웃렛(31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된다.
로워샤프트(320)는 로워드럼(3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워구동부재(340)에 의해 회전된다. 로워샤프트(320)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강선케이블(330)이 연결되어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작은 입도(8~25㎜)의 모르타르를 박리한다. 강선케이블(330)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로워구동부재(340)는 로워샤프트(320)를 회전시키도록 벨트(341)와 풀리(342)로 연결된 로워모터(343)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퍼모터(243)를 구동시키면 벨트(241)와 풀리(242)로 연결된 어퍼샤프트(220)와 임팩트바(230)가 동시에 회전되고, 로워모터(343)를 구동시키면 벨트(341)와 풀리(342)로 연결된 로워샤프트(320)와 강선케이블(330)이 동시에 회전된다.
다음, 어퍼인렛(211)을 통해 어퍼드럼(210)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는 스크루오거(221)에 의해 내부로 안내된 후 회전하는 이너 임팩트바(231)와 아웃터 임팩트바(233)의 타격에 의해 마찰되어 표면에 부착된 큰 입도의 모르타르가 박리된다.
이어서, 큰 입도의 모르타르가 박리된 폐기콘크리트는 스크루오거(221)에 의해 어퍼아웃렛(212)으로 안내된 후 로워인렛(311)을 통해 로워드럼(310)으로 투입된다.
계속해서, 로워드럼(310)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는 회전하는 강선케이블(330)의 타격에 의해 마찰되어 표면에 부착된 작은 입도의 모르타르가 박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퍼유닛(200)과 로워유닛(300)의 이단 구조에 의해 폐기콘크리트의 체류 시간을 늘리면서 1차 및 2차 타격에 의해 큰 입도와 작은 입도의 모르타르를 순차적으로 박리하므로 순환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 200 : 어퍼유닛
210 : 어퍼드럼 220 : 어퍼샤프트
230 : 임팩트바 240 : 어퍼구동부재
300 : 로워유닛 310 : 로워드럼
320 : 로워샤프트 330 : 강선케이블
340 : 로워구동부재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어퍼드럼, 상기 어퍼드럼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큰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임팩트바를 갖는 어퍼샤프트, 상기 어퍼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어퍼구동부재를 갖는 어퍼유닛;
    상기 어퍼유닛에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로워드럼, 상기 로워드럼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된 작은 입도의 모르타르를 박리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강선케이블을 갖는 로워샤프트, 상기 로워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로워구동부재를 갖는 로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워드럼은 상부가 차폐된 'U' 단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우측 상부에 큰 입도의 모르타르가 박리된 폐기콘크리트가 공급되는 로워인렛이 구비되고, 좌측 하부에 폐기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로워아웃렛이 구비되고,
    상기 임팩트바는 상기 어퍼샤프트의 외경에 근접된 이너 임팩트바와 상기 어퍼샤프트의 외경에서 소정 거리로 이격된 아웃터 임팩트바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임팩트바는 상기 어퍼샤프트의 외경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의 숏스포크에 연결되고,
    상기 아웃터 임팩트바는 상기 어퍼샤프트의 외경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의 롱스포크에 연결된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샤프트의 선단과 후단에는 어퍼드럼으로 투입된 폐기콘크리트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스크루오거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KR1020210136705A 2021-10-14 2021-10-14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KR10238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05A KR102380644B1 (ko) 2021-10-14 2021-10-14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05A KR102380644B1 (ko) 2021-10-14 2021-10-14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644B1 true KR102380644B1 (ko) 2022-04-01

Family

ID=8118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705A KR102380644B1 (ko) 2021-10-14 2021-10-14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6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25Y1 (ko) * 2004-07-20 2004-10-15 태성개발(주)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KR200366410Y1 (ko) * 2004-08-16 2004-11-03 동방환경산업주식회사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KR101292596B1 (ko) * 2012-12-28 2013-08-05 김도근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1305476B1 (ko) * 2013-04-22 2013-09-06 백운석 유체의 원심력을 이용한 재생잔골재의 시멘트 페이스트 박리장치
KR20130138628A (ko) * 2012-06-11 2013-12-19 주식회사 리텍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세척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25Y1 (ko) * 2004-07-20 2004-10-15 태성개발(주)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KR200366410Y1 (ko) * 2004-08-16 2004-11-03 동방환경산업주식회사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KR20130138628A (ko) * 2012-06-11 2013-12-19 주식회사 리텍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세척연마장치
KR101479189B1 (ko) 2012-06-11 2015-01-05 주식회사 리텍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세척연마장치
KR101292596B1 (ko) * 2012-12-28 2013-08-05 김도근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1305476B1 (ko) * 2013-04-22 2013-09-06 백운석 유체의 원심력을 이용한 재생잔골재의 시멘트 페이스트 박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029B2 (en) Milling apparatus
KR101199631B1 (ko) 충격흡수식 스크린 보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1292596B1 (ko)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2380644B1 (ko)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 세척연마장치
KR101274465B1 (ko) 골재 버켓 타격 박리 장치
KR101762197B1 (ko) 건설폐기물 골재 파쇄기
KR101479189B1 (ko)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세척연마장치
JP2019069559A (ja) 生コン分離装置
KR101244066B1 (ko) 다중 스크린 보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079316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눈막힘방지장치용 드럼벨
KR101492212B1 (ko) 파분쇄와 박리에 의한 순환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325157B1 (ko) 분쇄력 향상 구조를 갖는 순환골재 생산용 콘 크라셔
KR100599459B1 (ko) 파쇄기
KR100671038B1 (ko) 골재 재생장치
WO2011025088A1 (ko) 순환골재용 파쇄 및 마쇄장치
KR10193531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용 골재의 처리장치
KR100793169B1 (ko)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 몰탈제거 및 모래생산용 원통형의스크류 드럼벨
CN215352458U (zh) 一种混凝土余料处理装置
RU23162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из шишек кедровых орехов, их очистки и сортировки
KR20150126248A (ko)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KR101107297B1 (ko) 양질의 순환 잔골재를 얻을 수 있는 모듈형 임팩트크러셔
KR101808854B1 (ko)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KR101393736B1 (ko) 강선케이블 및 타이어를 이용한 폐골재 및 폐콘크리트세척연마장치
CN1107548C (zh) 振动破碎机
KR200229577Y1 (ko)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입형 및 품질 개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