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278Y1 - 보온보냉 용기 - Google Patents

보온보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278Y1
KR200366278Y1 KR20-2004-0021677U KR20040021677U KR200366278Y1 KR 200366278 Y1 KR200366278 Y1 KR 200366278Y1 KR 20040021677 U KR20040021677 U KR 20040021677U KR 200366278 Y1 KR200366278 Y1 KR 200366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 medium
space
exhaust por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근
Original Assignee
박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근 filed Critical 박무근
Priority to KR20-2004-0021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를 내피와 외피로 2중 구성하여 그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열매체(熱媒體 : heat medium)를 넣은 다음 냉각장치 또는 가온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열매체가 냉각(冷却) 또는 가온(加溫)되게 함으로써 보온용기(保溫用器) 또는 보냉용기(保冷用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온보냉 용기{HEAT AND COLD RETAINING VESSEL}
본 고안은 열매체가 주입되거나 충진되는 보온보냉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를 2중으로 구성하여 그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열매체(熱媒體: heat medium)를 넣은 다음 냉각(冷却) 또는 가온(加溫)하는 방법으로 용기가 보온(保溫) 또는 보냉(保冷) 상태로 유지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는 더위를 식히기 위하여 차가운 음식물(또는 식품이나 음료 및 주류 등)을 많이 찾게되고,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따듯한 음식물을 찾게된다.
즉, 여름철에는 음식물에 얼음조각을 투입하거나 또는 냉장고에 소정시간 넣어 차갑게하거나 냉각시킨 다음 식음하고, 겨울철에는 보온기구를 사용하거나 또는 화기를 이용하여 소정시간 가열.가온하는 등의 방법으로 음식물을 가온시켜 식음하게된다.
종래의 경우 전열수단을 갖는 보온장치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보온을 달성하거나, 또는 냉각수단을 갖는 냉장고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보냉을 달성하고는 있으나, 장치의 부피가 커서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열효율이 낮고 보온과 보냉을 겸할 수 있는 용기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기를 2중으로 구성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그 공간부에 열매체를 넣어 냉각 또는 가온하는 방법으로 보냉용기 또는 보온용기로 사용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 양측에 마개를 갖는 주입구와 배기구를 각각 형성하여 열매체의 주입과 배출이 쉽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기의 바닥부에 한 개 이상의 배수공을 형성하여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이 용기 바깥으로 신속히 배출되어 음식물의 신선도와 맛과 향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입구와 배기구에 사용되는 마개는 팽축율이 낮고 질기면서 부드러운재질의 실리콘이나 고무등을 사용하여 견고한 수밀과 수명연장을 도모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마개를 갖는 주입구와 배기구는 용기 저부의 소정위치에 설치하여 위생적이면서 용기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캔이나 병에 담긴 음료 또는 음식물등을 넣어 냉각이나 보온할 수 있는 구조의 보온보냉 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를 2중 구조로 구성하여 그 내부에 열매체를 넣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용기의 일측에 상기 열매체를 주입할 수 있게 마개를 갖는 주입구를 형성하고, 용기의 타측에 열매체의 주입에 의해 공간부에 잔류하는 공기등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게 마개를 갖는 배기구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주입구와 배기구는 주로 용기의 측면부 소정위치 또는 용기의 저부 소정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용기의 미관저하를 방지하면서 위생적이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2중 용기의 바닥 부분에 1개 또는 1개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결로)이 상기 구멍을 통하여 용기 밑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내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식물로 수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기에 담은 음식물(또는 식품)로는 고체상태 또는 반 고체상태의 음식물이나 식품이 된다.
도 1 :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단면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 : 본 고안 일 실시예로 도시한 마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 : 본 고안 도 7의 평면도.
도 9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 : 본 고안 도 9의 저면도.
도 11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용기 (4)--수납공간
(6)--외피 (8)--내피
(10)--공간부 (10a)--완충공간
(12)--열매체 (14)(14a)(18)--마개
(16)(16a)--주입구 (16b)--통공
(20)--배기구 (22)--몸체
(24)--연결부 (26)--경사면
(28)(28a)--실링부 (30)(32)--평면부
(34)--절개부 (36)(36a)(46)(52)--손잡이
(38)--확장부 (40)--축소부
(42)--요입부 (44)--덮개
(45)--걸림턱 (48)--받침돌부
(54)--유리병 (w1)--절개부의 폭
(w2)--손잡이의 두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로 도시한 용기(2)의 단면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용기(2)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게 수납공간(4)이 형성되며, 외피(6)와 내피(8) 사이에 공간부(10)가 형성된 2중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공간부(10)에 열매체(12)를 주입(또는 충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피(8)와 외피(6)의 두께는 용기(2)의 형상과 크기 및 재질의 종류와 재질의 강도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1㎜~10㎜가 보통이며, 물론 이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용기(2)의 형상과 크기 및 재질의 종류와 재질의 강도, 내피(8)와 외피(6)의 두께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상기 공간부(10)의 크기, 즉 내피(8)와 외피(6) 사이의 거리는 2㎜~20㎜가 바람직하며, 물론 용기(2)의 직경이나 높이가 300㎜ 이상인 경우 공간부(10)의 크기는 20㎜를 초과할 수 있다.
본 고안 용기(2)의 재질로는 합성수지재, 스텐레스와 같은 금속재 등이 될 수 있으며, 내피(6)와 외피(8)가 연결되게 제조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용기(2)를 2중 구조로 제조하는 방법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고 익히 알려져 있는 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열매체(12)는 용기(2)를 제조할 때 공간부(10)에 충진시켜 밀봉형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사용할 때 공간부(10)에 주입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열매체(12)를 밀봉형으로 하는 전자의 경우 별도의 주입구나 배기구가 불필요하지만, 열매체(12)의 팽창 및 수축율을 감안하여 공간부(10)의 일단에 작은 부피의 완충공간(10a)을 두도록 한다. 그리고, 열매체(12) 주입형인 후자의 경우 공간부(10)와 연결되는 주입구 또는 주입구와 배기구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외피(4)의 일측부에 마개(14)를 갖는 주입구(16)를 형성하여 공간부(10)로 열매체(12)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고, 외피(4)의 타측부에 역시 마개(18)를 갖는 배기구(20)를 형성하여 열매체(12)를 주입할 때 공간부(10)의 공기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열매체(12)의 주입이 쉽도록 한다.
상기 주입구(16)와 배기구(20)는 서로 이웃하거나 또는 반대방향(대칭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열매체(12)의 주입과 공간부(10)상의 공기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열매체(12)는 가열이나 냉각에 사용하는 유체를 뜻한다.
도 2는 본 고안 마개(14)(18)를 부분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로, 질기면서 부드러운 성질의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개(14)(18)는 원통형 몸체(22)를 가지며, 몸체(22)의 선단부에는 몸체(22)보다 작은 외경의 연결부(24)가 연장 형성되고, 연결부(24)의 선단에는 원뿔형상의 실링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28)는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이행할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구성이며, 실링부(28) 선단에는 주입구(16)와 배기구(20)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원뿔형의 경사면(26)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평면부(32)가 형성되어 주입구(16)와 배기구(20)에 각각 형성되는 평면부(30)에 밀착되면서 수밀(Sealing)을 유지하게된다.
그리고, 몸체(22)의 후단부에는 소정구간 절개부(34)를 갖는 손잡이(3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36)는 몸체(22)의 가상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마개(14)(18)가 주입구(16)와 배기구(20)에 각각 결합되더라도 주입구(16)와 배기구(20)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절개부(34)는 몸체(22)의 절반에 걸쳐 형성되므로 손잡이(36) 부분이 몸체(22)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며, 절개부(34)의 폭(w1)은 손잡이(36)의 두께(w2)보다 작거나 같은 정도이다.
한편, 주입구(16)와 배기구(20)에 결합된 마개(14)(18)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36) 부분을 잡고 잡아당기면 절개되지 않은 부분으로 당김력이 전달되므로 몸체(22)와 연결부(24) 및 실링부(28)가 주입구(16) 및 배기구(20)로부터 쉽게 분리되며, 당김력이 해제되면 변형되었던 손잡이(36)는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마개(14)(18)가 억지 결합되는 주입구(16) 및 배기구(20)는 용기(2)의 공간부(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16) 및 배기구(20)는 마개(14)(18)의 몸체(22) 부분이 결합되는 확장부(38)와, 마개(14)(18)의 연결부(24)가 결합되는 축소부(40)와, 마개(14)(18)의 평면부(26)가 밀착되면서 수밀이 유지되는 평면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입구(16) 및 배기구(20)에 형성되는 축소부(40)의 길이는 마개(14)(18)에 형성되는 연결부(24)의 길이보다 조금 짧게(1㎜~3㎜) 형성하여 억지 결합된 마개(14)(18)의 평면부(32)가 주입구(16) 및 배기구(20)의 평면부(30)에 밀착되면서 견고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평면부(30)는 원판형이며,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으나 넓은 면적으로 실링부(28)와 접촉되게 구성함으로서 견고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열매체(12)의 냉각(冷却)은 냉동과 냉장 및 약냉, 강냉을 포함하며, 열매체(12)의 가온(加溫)은 가열과 증탕, 온탕, 유도가열, 유전가열, 고주파 가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열매체(12)는 분말이나 고체로도 사용될 수 있으나 공간부(10)에 고른 밀도로 수용되는 액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열매체(10)는 팽축율이 작은 물질을 사용하도록 하되, 용기(2)는 열매체(12)의 특성 및 팽축율을 감안하여 형상화하거나 구성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열매체(12)는 냉각에 의해 빙점 이하로 얼거나 가온에 의해 데워지면 부피가 팽창하고 반대의 경우 부피가 수축하는 점을 감안하여 열매체(12)를 공간부(10)에 주입할 때 조금의 완충공간(10a : 여유공간)이 확보되게 주입한 다음 마개(14)(18)로 폐쇄시켜 수밀(水密)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열매체(12)의 누출이 방지된다.
따라서, 냉각이나 가온에 의해 열매체(12)의 부피가 다소 팽창하거나 또는 수축하더라도 상기 완충공간(10a)에서 대부분의 팽창과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완충되므로 용기(2)의 이상 변형이나 균열등이 방지된다.
본 고안에서 주입구(16) 및 배기구(20) 부분이 외피(6)보다 다소 돌출되는경우 도 1, 도 7, 도 8과 같이 용기(2)의 내피(8) 부분에 요입부(42)를 형성하여 상기 주입구(16) 및 배기구(20)가 요입되게 구성함으로써 용기(2)의 적층부피를 보다 줄일 수 있게된다. 반면, 도 3, 도 4, 도 9와 같이 상기 주입구(16) 및 배기구(20)가 돌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요입부(42)를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용기(2)는 각종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모양 및 그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음식물의 상태에 따라 액체 또는 액체를 포함하는 음식물인 경우 도 1, 도 2, 도 4, 도 12, 도 13에 도시한 일반 용기 처럼 상부가 개방된 대접이나 컵 형태가 될 것이며, 겔(젤)상태이거나 고체성분의 음식물인 경우 도 5, 도 6과 같은 접시나 쟁반 형태가 될 것이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용기(2)의 내피(8)와 외피(6)가 접합되는 부분에 테두리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용기의 상부 외피(6) 부분 양측에 주입구(16)와 배기구(18)를 각각 형성하여 완충공간(10a)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 4, 도 5와 같이 접시나 쟁반 형상의 용기(2)는 완만한 곡면형 또는 평면형으로 형성하되 외피(6)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내피(8)는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외피(6)와 내피(8)의 가장자리 부분은 서로 연결시켜 용기(2)를 구성하되 주입구(18)와 배기구(20)는 용기(2)의 저부면에 형성하여 받침돌부로서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돌부는 3개 내지 6개 정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2개의 받침돌부 부분에 주입구(16)와 배기구(20)를 각각 형성하면 될 것이다.
상기 용기(2)를 곡면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중앙부가 다소 상승된 볼록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6과 같이 중앙부가 다소 하강된 오목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용기(2)의 상부 표면에 복수개의 골부를 형성함으로써 수분이나 결로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된다.
상기에서 용기(2)의 하부에 위치하는 외피(6)는 내피(8)를 따라 상향 또는 하향 만곡되게 형성하였으나, 물론 평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용기(2)의 바닥 부분에 1개 내지 5개 의 구멍(50)을 형성하여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결로)이 상기 구멍(50)을 통하여 용기(2) 밑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내릴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음식물의 수분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2)에 담는 음식물(또는 식품)로는 고체상태 또는 반 고체상태의 음식물이나 식품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용기(2)의 바닥 부분에 구멍(50)을 형성하는 대신 수납공간(4) 상에 채반(수분만 낙하하도록 구성된 망체의 일종)을 설치하여 음식물이 용기(2)의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결로)이 상기 채반에 형성된 망을 통하여 용기(2)의 바닥으로 낙하하여 고이게 되므로 용기(2)에 담긴 음식물의 수분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2)의 저부면에는 3개 내지 6개 범위의 받침돌부(48)를 형성하여 용기(2)가 놓이는 바닥면과 최소한의 면접촉으로 거리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쉽게 흡수하거나 또는 열매체(12)가 보유하고 있는 열이 바닥면으로 쉽게 전도되지 않아 열매체(12)가 보유하고 있는 열이 크게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손실은 열매체(12)가 저온이나 냉각(결빙)되어 보냉상태인 경우 외부온도의 영향을 받아 온도상승이나 결빙얼음이 녹는 것을 뜻하고, 열매체(12)가 가온되어 보온상태인 경우 외부온도의 영향에 의해 온도가 하강하거나 식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용기(2)의 상부에 덮개(44)를 구성하는 경우 수납공간(4)이 밀폐되므로 보온과 보냉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44)는 2중 용기(2) 처럼 열매체(12)가 주입 또는 충진되는 2중 구조로 구성하여 효과적인 보냉이나 보온이 달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덮개(44)는 보냉 및 보온효과는 다소 떨어지지만 열매체가 사용되지 않는 단일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11의 경우 용기(2) 부분에 형성되는 주입구(16)와 배기구(18)는 용기의 상부 외피(6) 부분 양측에 각각 형성하여 완충공간(10a)을 갖도록 하고, 덮개(44) 부분에 형성되는 주입구(16)와 배기구(18)는 덮개(44)의 가장자리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하여 덮개(44)를 열고 닫는데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덮개(44)의 상부면 중앙에는 손잡이(46)가 설치되고, 덮개(44)의 저면에는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게 하향 걸림턱(45)이 빙둘러 형성되며, 용기(2)의 바닥 저면에는 용기(2)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열손실(heat loss)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받침돌부(48)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받침돌부(48)는 생략할 수 있으며, 손잡이(52) 또한 용기(2)의 사용용도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유리병(54)이나 합성수지병이나 캔, 또는 팩 등에 담긴음료나 음식물등을 보냉 또는 보온하고자 하는 경우, 수납공간(4)을 수직형으로 형성하여 삽입되는 병이나 캔 및 팩 등이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틈이 유지되도록 하여 열손실(heat loss)을 최소화 함으로써 보냉 또는 보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매체(12)와 용기(2)의 재질은 냉각되거나 가온되는 온도범위를 초과하는 내열성을 갖도록 한다.
도 13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로, 용기(2)의 테두리 부분 일측에 통공(16b)을 통하여 공간부(10)와 연결되는 주입구(16a)를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16a)에 손잡이(36a)와 실링부(28a)를 갖는 마개(14a)로 막아 열매체(12)의 누출이 방지되게 구성한 것으로, 1회성 보온용기 또는 1회성 보냉용기에 적합하다.
본 고안에서 용기(2)의 평면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결합형상이나 또는 이들의 변형형상으로 다양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공간부(12)에 주입하는 열매체(10)는 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공간부(12) 전체에 주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열매체(10)는 주변에서 구하기 쉬우면서 가격이 저렴하고, 열축적율이 크고, 열팽창율과 열수축율이 적으면서 물리적ㆍ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인체와 용기에 친화적인 매체, 이를테면 쉽게 가열되고 쉽게 냉각되지만 축열효과가 큰 물(水) 등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주입구(16)와 배기구(20)의 위치는 용기(2)의 상부면에 형성하면 제조와 사용이 용이하지만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고, 미관이 저하될 뿐 아니라, 열매체(12)를 한 번 주입하면 열매체(12)를 보충할 때 이외에는 자주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용기(2)의 저부면(외피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용기(2)의 공간부(10)로 열매체(12)를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주입구(16)와 배기구(20)의 마개(18)(20)를 분리시켜 개방시킨 다음 용기(2)를 평면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적절히 기울인 다음 공간부(10)로 적당량의 열매체(12)를 주입시키면 공간부(10)에 잔류하고 있던 공기가 배기구(20)로 배출되므로 열매체(12)를 쉽고 빠르게 주입할 수 있으며, 공간부(12) 상부에는 소정부피의 완충공간(10a)이 유지되도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16)와 배기구(20)로 마개(14)(18)를 밀어 넣어 억지 끼움하면 도 1과 같이 결합된다. 즉, 마개(14)(18)의 몸체(22)는 주입구(16)와 배기구(20)의 확장부(38)에 위치하게되며, 마개(14)(18)의 연결부(24)는 주입구(16)와 배기구(20)의 축소부(40)에 위치하게되며, 마개(14)(18)의 평면부(32)는 주입구(16)와 배기구(20)의 평면부(30)에 각각 밀착되면서 실링(Sealing)이 이루어지고 수밀(水密)이 유지되어 열매체(12)의 누출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주입구(16) 및 배기구(20)에 형성되는 축소부(40)의 길이는 마개(14)(18)에 형성되는 연결부(24)의 길이보다 조금 짧게(1㎜~3㎜) 형성되어 억지 결합되고, 질기면서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는 마개(14)(18)의 실링부(28)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향 할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구성이므로 평면부(30)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면서 견고한 수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 또는 필요에 의해 냉각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급속냉각장치에 용기(2)를 소정시간 넣어 열매체(12)가 저온상태, 또는 냉온상태, 또는 냉각상태, 또는 얼린상태로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열매체(12)의 냉기가 수납공간(4)으로 전달되므로 냉면이나 국수등의 면 종류를 용기(2)에 담게되면 상기 냉기에 의해 면발이 오랫동안 꼬들꼬들하게 유지되며, 음식물의 신선도와 고유의 맛과 향이 보다 오래 유지(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냉각에 의해 열매체(12)와 용기(2)가 다소 수축하거나, 또는 결빙에 의해 열매체(12)의 부피가 팽창하는 경우 완충공간(10a)에 의해 완충되므로 용기(2)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이중 용기(2)를 구성하는 외피(6)와 내피(8)의 긴밀한 접합(일체형이나 용접 등)과 마개(14)(18)의 실링에 의해 열매체(12)의 누출이 완벽히 차단된다.
음식물에 얼음을 넣어 냉각하는 종래 방법의 경우, 얼음이 녹으면서 수분이 증가되어 음식물의 신선도와 맛과 향이 변화될 뿐 아니라 음식의 맛이 싱그워지거나 변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내피(8)에 의해 열매체(12)와 음식물이 격리되므로 열매체(12)의 열손실 속도가 느릴뿐 아니라 음식물로 수분이 증가되는 현상이 없어서 음식물 신선도와 고유의 맛과 향이 오랫동안(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음식맛이 싱거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없어지게된다.
그리고, 열매체(12)는 용기(2)에 의해 음식물과 격리된 상태이므로 음식물이 수분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므로 보냉상태가 오래 유지되므로 종래 방법보다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날씨가 추운 겨울철, 또는 필요에 의해 용기(2)를 가온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용기(2)를 급속가열(가온)장치에 소정시간 넣어 가열, 증탕, 온탕, 유도가열, 유전가열, 고주파 가열 하는 등의 방법으로 열매체(12)의 온도를 적절히 가온시킨 다음 음식물을 담아 식음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처럼 열매체(12)는 용기(2)에 의해 음식물과 격리된 상태이므로 음식물이 빨리 식는 것이 방지되고 맛과 향이 오래 유지되므로 종래 방법보다 더욱 오랫동안 보온된다.
또한 냉각이나 가온에 의해 열매체(12)와 용기(2)가 다소 팽창하는 경우 완충공간(10a)에 의해 완충되므로 용기(2)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이중 용기(2)를 구성하는 외피(6)와 내피(8)의 긴밀한 접합(일체형이나 용접 등)과 마개(14)(18)의 실링에 의해 열매체(12)의 누출이 완벽히 차단된다.
본 고안에서 ㅛㅎ율적인 실링을 위하여 배기구(20)의 크기를 주입구(16)보다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열매체에 의해 용기가 냉각되거나 가온되므로 음식물의 보냉과 보온이 오랫동안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2중 구조에 의해 열매체와 음식물이 격리된 상태이므로 음식물의 보온과 보냉이 오랫동안 유지되고, 신선도와 맛과 향 역시 오래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매체의 가온 및 냉각에 의해 열매체가 팽창 또는 수축하더라도 완충공간에 의해 완충되므로 용기의 손상이나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입구 및 배기구에 형성되는 축소부의 길이는 마개에 형성되는 연결부의 길이보다 조금 짧게 형성되고 억지 결합되므로 질기면서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는 마개가 밀착 결합되면서 견고한 실링과 수밀이 유지되고 열매체의 누출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용기를 2중으로 구성하여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완충공간이 유지되게 열매체를 넣어 밀봉하여서 된 보온보냉 용기.
  2. 용기를 2중으로 구성하여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수밀유지 마개를 갖는 주입구와 배기구를 각각 형성하여서 된 보온보냉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용기의 바닥부에 복수 개의 배수공을 형성하여서 된 보온보냉 용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기 내피와 외피의 두께 1㎜~10㎜이고,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의 거리는 2㎜~20㎜ 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용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기 마개는 질기면서 부드러운 성질이며, 몸체 선단부에 몸체보다 작은 외경의 연결부가 연장 형성되고, 연결부의 선단에는 원뿔형상의 실링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후단부에 절개부를 갖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보온보냉 용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주입구와 배기구는 외피의 소정위치에설치하되, 주입구와 배기구는 마개의 몸체 부분이 결합되는 확장부와, 마개의 연결부가 결합되는 축소부와, 마개의 실링부가 밀착되는 평면부로 구성하여서 된 보온보냉 용기.
KR20-2004-0021677U 2004-07-29 2004-07-29 보온보냉 용기 KR200366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77U KR200366278Y1 (ko) 2004-07-29 2004-07-29 보온보냉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77U KR200366278Y1 (ko) 2004-07-29 2004-07-29 보온보냉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278Y1 true KR200366278Y1 (ko) 2004-11-08

Family

ID=4944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677U KR200366278Y1 (ko) 2004-07-29 2004-07-29 보온보냉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2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436B1 (ko) * 2007-12-27 2009-12-11 백성호 물을 이용한 보온보냉 그릇
CN110974109A (zh) * 2019-11-25 2020-04-1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发生器及洗碗机
WO2023096362A1 (ko) * 2021-11-29 2023-06-01 김장춘 보온 및 보냉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436B1 (ko) * 2007-12-27 2009-12-11 백성호 물을 이용한 보온보냉 그릇
CN110974109A (zh) * 2019-11-25 2020-04-1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发生器及洗碗机
CN110974109B (zh) * 2019-11-25 2022-01-2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发生器及洗碗机
WO2023096362A1 (ko) * 2021-11-29 2023-06-01 김장춘 보온 및 보냉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670A (en) Dual hot-cold maintenance container
US2926508A (en) Device for serving cool drinks
JP5258371B2 (ja) 保温用又は保冷用の容器、蓋、ソーサー、皿、魔法瓶
US10900712B2 (en) Beverage chiller employing array of heat exchange tubes
US20120193366A1 (en)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KR20090068565A (ko) 식기
CN104367108B (zh) 一种快速降温保温水杯
KR200366278Y1 (ko) 보온보냉 용기
GB2340591A (en) Drinks bottle cooling accessory
KR200401581Y1 (ko) 스폰지 보냉용기
KR20090045485A (ko) 냉각수단을 갖는 테이블용 주류 배출기
USRE26724E (en) Refrigerated tumbler
CA2657663C (en) Cooler with integrated liquid dispenser
JP3185084U (ja) 保温用又は保冷用の容器、蓋、ソーサー、皿、魔法瓶
KR20160106249A (ko) 열매체를 구비한 이중용기
KR200259867Y1 (ko) 접시용 팩
KR20090072841A (ko) 손잡이에 물 주입구가 형성된 보온보냉 그릇
KR101233611B1 (ko) 일회용 얼음컵
KR200363682Y1 (ko) 냉온용기
CN208909906U (zh) 一种冰镇醒酒器
KR200383993Y1 (ko) 보온기능을 갖는 접시
KR200447100Y1 (ko) 냉각접시
KR200258681Y1 (ko) 보냉 및 냉각능을 갖는 컵
KR20100106848A (ko) 보온용기
KR100353677B1 (ko) 얼음접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