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230Y1 -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 Google Patents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230Y1
KR200366230Y1 KR20-2004-0023607U KR20040023607U KR200366230Y1 KR 200366230 Y1 KR200366230 Y1 KR 200366230Y1 KR 20040023607 U KR20040023607 U KR 20040023607U KR 200366230 Y1 KR200366230 Y1 KR 200366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ead
lens
or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익진
이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20-2004-0023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74Optica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viewing angles
    • A61B1/00183Optica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viewing angles for variable viewing an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8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 A61B1/0019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characterised by variable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여 촬영된 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구강 카메라에 있어서, 피사체에 반사되는 빛을 받아들여 상을 포착하는 대물렌즈 및, 대물렌즈에서 포착된 상의 이동방향을 경통쪽으로 변경시키는 프리즘을 구비한 헤드, 프리즘을 통과한 상을 안쪽으로 모으는 필드렌즈, 상이 맺히는 결상렌즈 및, 경통을 구비한 몸체 및, 결상렌즈를 통과한 상을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는 릴레이렌즈, 입사된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이미지 센서 및, 구동을 위한 각종 버튼을 구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헤드가 상기 몸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의 적소에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DENTAL CAMERA HAVING ROTATIONABLE HEAD}
본 고안은 치과용 영상장비 중 구강내부를 촬영하여 영상으로 저장함으로써 환자의 구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구강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강 내로 삽입되는 헤드를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는 구강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환자를 치료할 경우 담당 의사만 환자의 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하여 치료를 하게 되며, 담당 의사가 환자의 구강상태를 설명하면 환자는 청각적으로만 자신의 구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특정한 치의 표면들은 인간의 육안으로 관찰이 어렵기 때문에, 의사는 광학적 보조기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치 표면을 관찰하기 위한 일반적인 보조기구는 치과용 거울이다. 그러나 이러한 치과용 거울은 해상도가 고정되어 있고, 시야각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동시에 2인 이상의 치과의사가 관찰하기에는 상이 너무 작은 것도 문제가 된다.
그런데, 최근 영상기술 발전에 힘입어 구강 내의 치아를 촬영하며 진찰할 수 있는 구강 카메라가 등장하였다. 구강 카메라는 컴퓨터와 모니터 등과 함께 사용됨으로써, 촬영된 구강 내의 치아를 모니터를 통해 환자가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구강카메라를 통해 치아를 모니터 할 경우, 환자의 상하 치하를 번갈아가며 관찰하고자 할 때에는 구강 카메라 전체를 회전해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구강 카메라 전체를 환자의 구강 내에서 회전하게 되면, 구강 카메라에 장착된 버튼들의 위치가 구강 카메라를 회전함에 따라 위, 아래로 바뀌게 되며, 이런 현상은 치과의사가 구강 카메라를 작동하는데 불편함을 야기한다. 즉, 치과의사가 손모양을 상황에 따라 바꿔야 하기 때문에 팔 근육에 무리가 갈 수 있고, 또한 구강 내의 올바른 영상이 취득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헤드를 자유자재로 회전함으로써 환자의 치아를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는 구강 카메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여 촬영된 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구강 카메라에 있어서, 피사체에 반사되는 빛을 받아들여 상을 포착하는 대물렌즈 및, 대물렌즈에서 포착된 상의 이동방향을 경통쪽으로 변경시키는 프리즘을 구비한 헤드, 프리즘을 통과한 상을 안쪽으로 모으는 필드렌즈, 상이 맺히는 결상렌즈 및, 경통을 구비한 몸체 및, 결상렌즈를 통과한 상을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는 릴레이렌즈, 입사된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이미지 센서 및, 구동을 위한 각종 버튼을 구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헤드가 상기 몸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의 적소에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적소는 헤드와 필드렌즈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소는 결상렌즈와 경통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소는 경통과 릴레이렌즈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손잡이부가 상기 헤드를 회전부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및 회전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강 카메라는 헤드(100), 몸체(110), 손잡이부(120)로 나뉜다. 이때, 헤드(100)와 몸체(110) 사이에는 회전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130)에 의해 구강 카메라의 헤드(10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360°회전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강 카메라 중 환자의 구강 내로 들어가는 렌즈부위가 회전됨으로써 위, 아래, 옆 방향 모두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부(130)는 모터 방식 또는 수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터 방식에 의한 회전부는 마이크로 모터를 구강 카메라의 내부에 장착하고, 치과의사가 손잡이부의 버튼(122)을 누르면 구강 카메라의 헤드(100)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방식이다.
또한, 수동 방식은 회전부(130)가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맞물림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동 방식은 모터 방식보다 제조가 용이하고 구강 카메라의 단가가 낮아질 수 있으나, 구강 카메라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치과 의사가 수동으로 구강 카메라의 헤드를 회전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강 카메라는 헤드(100) 부분의 대물렌즈(102) 및, 프리즘(104)과, 몸체(110) 및 손잡이부(120)의 필드렌즈(112), 결상렌즈(114), 릴레이렌즈(116) 및, 경통(118)으로 이루어진다. 몸체(110)는 적소에 회전부(132,134,136)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강 카메라에서 헤드(100)는 환자의 구강 내로 직접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전방이 구강 카메라 몸체(11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게 개방된다. 따라서, 헤드(100)에서 빛이 치아에 조사되면, 대물렌즈(102)는 상을 포착하고 이를 프리즘(104)에 투영하게 된다. 이때 프리즘(104)은 상의 이동방향을 변경시켜 이를 결상렌즈(114)에 투영하고, 결상렌즈(114)는 상을 필요한 형태로 처리하여 릴레이렌즈(116)를 거쳐 구강 카메라 손잡이부(120)의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투영하며, 이미지 센서에 포착된 영상은 외부의 모니터로 전송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 카메라에서 회전부(130;도 1 참조)는 헤드(100) 및 손잡이부(120) 이외에 몸체(110) 중 어느 곳에나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회전부(132)는 프리즘(104)과 필드렌즈(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부(134)는 경통(118)이 시작되기 이전, 즉 결상렌즈(114)와 경통(1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회전부(136)는 경통(118)이 끝나는 지점, 즉 경통(118)과 릴레이 렌즈(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회전부(132), 제2회전부(134), 제3회전부(136)는 본 고안에 있어서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따라서 헤드(100) 및, 구강 카메라의 각종 버튼이 위치된 손잡이부(120) 이외의 몸체(110) 어느 부분이라도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회전부(132), 제2회전부(134), 제3회전부(136)는 구강 카메라에 단지 1개만 설치되거나, 경우에 따라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강 카메라의 헤드(100)가 자유자재로 회전되면, 치과 의사가 구강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를 검사할 경우, 상부 치아 및 하부 치아 모두를 자유로이 관찰할 수 있으며, 치과의사의 손모양이 변하지 않아 편리함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치과의사의 손 모양이 고정되게 되면, 손목을 비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팔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장점이 있고, 구강 내 어느 부분이든지 올바른 영상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구강 카메라의 몸체 부위에 헤드를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가 설치되므로, 환자의 구강 상태를 검사하는 치과의사가 손모양을 변화시키지 않고 편리하게 환자의 상, 하, 좌우 치아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여 촬영된 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구강 카메라에 있어서,
    피사체에 반사되는 빛을 받아들여 상을 포착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에서 포착된 상의 이동방향을 경통쪽으로 변경시키는 프리즘을 구비한 헤드;
    상기 프리즘을 통과한 상을 안쪽으로 모으는 필드렌즈, 상이 맺히는 결상렌즈 및, 경통을 구비한 몸체 및;
    상기 결상렌즈를 통과한 상을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는 릴레이렌즈, 입사된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이미지 센서 및, 구동을 위한 각종 버튼을 구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가 상기 몸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적소에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소는 헤드와 필드렌즈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소는 결상렌즈와 경통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소는 경통과 릴레이렌즈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헤드를 회전부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및 회전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KR20-2004-0023607U 2004-08-18 2004-08-18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KR200366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07U KR200366230Y1 (ko) 2004-08-18 2004-08-18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07U KR200366230Y1 (ko) 2004-08-18 2004-08-18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230Y1 true KR200366230Y1 (ko) 2004-11-04

Family

ID=4935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607U KR200366230Y1 (ko) 2004-08-18 2004-08-18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23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18B1 (ko) * 2010-11-11 2011-12-30 주식회사 맥스덴탈 치아와 안면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듀얼 구강카메라
WO2015174741A1 (ko) * 2014-05-14 2015-11-19 주식회사 바텍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20150130938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20190111561A (ko) 2018-03-23 2019-10-02 옵토로직스주식회사 구강 카메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18B1 (ko) * 2010-11-11 2011-12-30 주식회사 맥스덴탈 치아와 안면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듀얼 구강카메라
WO2015174741A1 (ko) * 2014-05-14 2015-11-19 주식회사 바텍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20150130938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1699250B1 (ko) * 2014-05-14 2017-01-24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20190111561A (ko) 2018-03-23 2019-10-02 옵토로직스주식회사 구강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1972B2 (en) Video scope for simultaneously imaging a portion from multiple directions
EP0343558B1 (en) Image picking-up and processing apparatus
US4915626A (en) Dental inspection and display apparatus
WO2009154174A1 (ja) 電子内視鏡
US20060188065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s
EP2234549A2 (en) Multi-purpose tool for minor surgery
JP3645055B2 (ja) ビデオスコープ
CN204427992U (zh) 牙医手术用戴式可视结构
KR200366230Y1 (ko) 회전가능한 헤드를 갖는 구강 카메라
TWI660707B (zh) 診察視野確保式視頻內視鏡
JPH11113841A (ja) 耳鼻用ビデオスコー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耳鼻用ビデオスコープシステム
US7084899B2 (en) Cable with built in-frame grabber for a dental video camera
JP3781745B2 (ja) 口腔内観察用カメラ
JP7264162B2 (ja) 交換レンズ、撮像装置及び回転検出装置
CN209915926U (zh) 一种口腔全景图像拍摄装置
WO2004049926A1 (en) Medical instrument having image-shooting means
KR20050101654A (ko) 구강 카메라
JPH0228889A (ja) 画像処理装置
JPH10272095A (ja) 歯科用口腔内及び歯根内観察カメラ
JPH1132989A (ja) 側視型画像入力装置
JP2929471B2 (ja) 内視鏡装置
JP2005342032A (ja) 内視鏡対物光学系及び蛍光観察内視鏡
JPS6088924A (ja) 内視鏡装置
JPH10210328A (ja) 暗部撮影装置および暗部撮影システム
KR200305053Y1 (ko) 영상촬영수단을 구비하는 의료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