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161Y1 - 의료용 습포제 - Google Patents

의료용 습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161Y1
KR200366161Y1 KR20-2004-0021090U KR20040021090U KR200366161Y1 KR 200366161 Y1 KR200366161 Y1 KR 200366161Y1 KR 20040021090 U KR20040021090 U KR 20040021090U KR 200366161 Y1 KR200366161 Y1 KR 200366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ice
pharmacological
medical
skin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한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한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한방
Priority to KR20-2004-0021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1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3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oclusive layer skin contac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6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especially adapted for wound covering/occlu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육통, 소염, 관절염등과 같은 환부에 부착하게 되는 습포제의 내측에 다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관절 및 근육이 이완/수축되는 환부에서 습포제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용이하게 수축/이완되도록 함으로써 환부에 긴밀하게 부착할 수 있게 한 의료용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
즉, 얇고 유연한 직물지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피복재와, 소염·진통에 효과가 있는 약재와 점착성기재가 혼합되어 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약리층과, 상기 약리층을 보호하기위한 약리층 보호 필름이 층상으로 중첩되어 환부의 피부에 부착하는 습포제에 있어서, 상기 습포제의 내측에는 인체의 관절부위나, 근육이 수축/이완되는 환부에 부착시 긴밀한 점착을 위하여 피부 탄력에 따라 벌어지고/달물어지도록 다수개의 제1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습포제{Medical poultice}
본 고안은 절개부가 형성된 의료용 습포제, 더욱 상세하게는 근육통 및 타박상등의 환부에 부착하는 습포제의 내측에 다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관절 및 근육이 이완/수축되는 환부에서 습포제가 절개부를 통해 용이하게 수축/이완되도록 함으로써 환부에 긴밀하게 부착할 수 있게 한 의료용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포제는 외상 등에 의한 근육통, 급성염증에 의한 진통, 소염, 관절염에 의한 진통등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습포제는 피부의 약물 전달 체계(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에 따라 피부흡수가 가능한 약물을 적용함으로써 부작용의 경감과 흡수속도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개념을 갖는 습포제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신축성이 있는 피복재에 진통/소염효과가 있는 폴리아크릴산 (Polyacrylic acid), 나트륨, 솔비톨(sorbitol),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젤라틴(gelatin)등을 포함한 약재와 ℓ-멘톨(menthol), ㎗-캠퍼(campher) 및 박화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재와 점착성 물질을 혼합한 혼합재를 도포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혼합제는 접착성 물질의 도포면을 환부에 붙여서 그대로 사용하거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환부에서 떨어지지 않게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습포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습포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습포제(10)는 피복재(11), 약리층(13), 약리층 보호필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복재(11)는 얇고 유연한 직무지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피부 탄력에 의해 늘어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지니고 있다.
한편, 상기 피복재(11)의 상면에는 소염·진통에 효과가 있는 약재와 점착성물질이 혼합되어 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약리층(13)이 도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약리층(13)의 상부에는 상기 습포제(10)를 포장시 약리층(13)의 점성에 의해 불순물이 달라붙거나 또는, 환부가 아닌 다른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약리층 보호필름(15)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약리층 보호필름(15)은 약리층(13)에 여러번 탈/부착하여도 약리층(13)의 점성을 빼앗지 않는 투명 비닐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습포제(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리층(13)의 바깥측면에 부착된 약리층 보호필름(15)을 떼어낸 후 상기 약리층(13)을 환부에 부착하여 약리층(13)에 도포되어 있는 약재가 피부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환부에 약리효과를 발휘하여 환부를 치료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습포제는 그 사용 약재에 따라 근육통, 급성염증, 소염, 관절염 등의 진통을 억제 및 치유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습포제를 인체의 관절부위나 근육이 수축/이완되는 부위에 부착 후 활동을 지속하게되면, 관절의 움직임 또는 근육의 수축/이완 등에 의해 피부에 부착된 습포제는 수축과 팽창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피복재의 탄성력이 한정되어 활동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며, 또한, 피복재의 탄성력이 일정 한계에 이르면 피부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습포제가 부착된 피부는 공기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습포제를 장시간 부착시 피부가 짓무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습포제의 사용상 제약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환부에 부착하는 습포제를 관절부위나 근육이 수축/이완되는 부위에 부착시 습포제의 내측에 관절의 움직임 및 피부 탄력에 따라 벌어지고/달물어지는 다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습포제가 용이하게 수축/이완 하여 환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습포제의 부착 여부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활동할 수 있는 의료용 습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절개부를 통해 환부에 공기를 제공함으로써, 피부가 짓무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습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얇고 유연한 직물지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피복재와, 소염·진통에 효과가 있는 약재와 점착성기재가 혼합되어 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약리층과, 상기 약리층을 보호하기 위한 약리층 보호 필름이 층상으로 중첩되어 환부에 부착하는 습포제에 있어서, 상기 습포제의 내측에는 인체의 관절부위나, 근육이 수축/이완되는 환부에 부착시 긴밀한 점착을 위하여 피부 탄력에 따라 벌어지고/달물어지는 다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포제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습포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습포제를 나타낸 작용상태도 및
도 5a, 도 5b, 및 5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습포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의료용 습포제 110 : 피복재
112 : 제1 절개부 130 : 약리층
150 : 보호필름 212 : 제2 절개부
이하, 본 고안의 의료용 습포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습포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의료용 습포제(100)는 얇고 유연한 직물지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환부에 부착시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피복재(110)와, 약리효과가 있는 약재와 점착성물질를 혼합한 혼합재를 상기 피복재(110)에 도포하여 점성에 의해 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약리층(130)과, 상기 약리층(130)을 보호하기 위한 약리층 보호필름(150)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의료용 습포제(100)는 환부에 부착시 인체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형상변형이 가능하도록 얇고 유연한 판상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습포제(100)는 그 내측에 다수개의 제1 절개부(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절개부(112)는 상기 피복재(112)의 폭을 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선형상을 취하고 있으나, 그 실시예에 따라 지그재그형상, 곡선형상등 피부탄력에 의해 벌어지고/달물어지는 구조를 갖는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약리층(130)의 약리효과와 약리층 보호필름(150)은 일반적인 습포제에 적용된 기술과 동일하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습포제를 나타낸 작용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의료용 습포제의 작용 및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의료용 습포제(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약리층(도2 참조; 130)을 보호하기위해 약리층(13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약리층 보호필름(도2 참조; 150)을 떼어낸 후, 약리층(130)을 환부에 부착한다. 이때, 환부가 관절부위나 근육의 이완/수축이 잦은 부위에서는 관절이나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습포제(10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절개부(112)가 벌어지고/다물어짐으로써, 습포제가 용이하게 이완/수축 가능하여 환부에 긴밀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는 습포제를 환부에 긴밀히 부착할 수 있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파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도 5b, 및 5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습포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실시예의 의료용 습포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의료용 습포제(100)의 제1 절개부(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1 절개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실시예에 따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습포제의 기능을 약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형성갯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료용 습포제(100)는 그 실시예에 따라 습포제(100)의 외측에 선단부가 절개된 다수개의 제2 절개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부러진 관절부위에 습포제(100)를 부착시 습포제(100)의 외측이관절부위의 관절운동에 의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습포제를 환부에 더욱 긴밀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의료용 습포제는 관절부위나 근육이 수축/이완되는 부위에 부착시 습포제의 내측에 관절의 움직임 및 피부 탄력에 따라 벌어지고/달물어지는 다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습포제가 환부에서 용이하게 수축/이완하여 환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환부에 긴밀하게 부착되며, 이와 같은 습포제의 부착 여부와 관계없이 용이하게 활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절개부를 통해 환부에 공기를 제공함으로써, 환부가 짓무르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습포제의 약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얇고 유연한 직물지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피복재와, 소염·진통에 효과가 있는 약재와 점착성기재가 혼합되어 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약리층과, 상기 약리층을 보호하기위한 약리층 보호 필름이 층상으로 중첩되어 환부의 피부에 부착하는 습포제에 있어서,
    상기 습포제(100)의 내측에는 인체의 관절부위나, 근육이 수축/이완되는 환부에 부착시 긴밀한 점착을 위하여 피부 탄력에 따라 벌어지고/달물어지도록 다수개의 제1 절개부(1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습포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제(100)의 외측에는 선단부가 절개된 다수개의 제2 절개부(2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습포제.
KR20-2004-0021090U 2004-07-23 2004-07-23 의료용 습포제 KR200366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090U KR200366161Y1 (ko) 2004-07-23 2004-07-23 의료용 습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090U KR200366161Y1 (ko) 2004-07-23 2004-07-23 의료용 습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161Y1 true KR200366161Y1 (ko) 2004-11-04

Family

ID=4935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090U KR200366161Y1 (ko) 2004-07-23 2004-07-23 의료용 습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1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0795A (en) Wound covering device
KR101164269B1 (ko) 개체에 치료요법을 제공하기 위한 패치 및 개체에 치료요법을 제공하는 패치를 제조하는 방법
US4627429A (en) Storage-stable transdermal adhesive patch
US3111943A (en) Aseptic surgical wound protector
KR101791712B1 (ko) 테이프 제제
US20040138602A1 (en) Simplified one-handed preemptive medical procedure site dressing to prevent sharps injuries and exposure to bloodborne pathogens
WO1990006735A1 (en) Transparent tracheostomy tube dressing
US3366112A (en) Adhesive bandage having container of liquid medicament
KR200366161Y1 (ko) 의료용 습포제
US20010049485A1 (en) Duct tape bandages
US20100152771A1 (en) Disposable acupressure relief strip
JP2004051516A (ja) シート状パック
KR200226579Y1 (ko) 파스
JP2001104367A (ja) 救急用絆創膏
JP2004344389A (ja) 創傷保護剤の製造方法
US11266539B2 (en) Adhesive tape
KR200327431Y1 (ko) 관절용 파스
KR200401774Y1 (ko) 상처보호 주름밴드
JP2001145655A (ja) 絆創膏
JP4189837B2 (ja) 薬剤投与貼付材
KR200363505Y1 (ko) 치료 테이프
TWI689293B (zh) 膠布結構
JP2001026519A (ja) ゲルシート
CN215229247U (zh) 皮肤包覆敷贴
JPH0644415Y2 (ja) 無痛剥離ができる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