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792Y1 -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792Y1
KR200364792Y1 KR20-2004-0020737U KR20040020737U KR200364792Y1 KR 200364792 Y1 KR200364792 Y1 KR 200364792Y1 KR 20040020737 U KR20040020737 U KR 20040020737U KR 200364792 Y1 KR200364792 Y1 KR 200364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tter
fastener
trough
wa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근
Original Assignee
(주)엘엔비
이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엔비, 이호근 filed Critical (주)엘엔비
Priority to KR20-2004-0020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7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7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4Means for fixing down pipes to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관 형태로 구성된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주름진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선홈통이 외부 벽면에 설치될 시에는 선홈통의 후면에 'ㄷ' 형태의 고정구와 체결구를 이용하여 외부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전면에 드러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지 않아 그 외관이 미려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선홈통(10)과 체결구(20) 및 고정구(30)로 구성되는 바, 전면에 보강부(11)가 형성된 직사각관 형태의 선홈통(10)과, 선홈통(10)의 후면 상 · 하부에 리벳(21)을 통해 결합된 'ㄷ' 형태의 체결구(20)와, 상기 체결구(20)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부 벽면(1)에 나사못(31)을 통해 결합되는 'ㄷ' 형태의 고정구(30)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구(20)와 고정구(30)의 개구부가 상호 마주 대하는 형태로 볼트(40)와 너트(41)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외형이 미려하고 결합력이 증대된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직사각관 형태로 구성된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주름진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선홈통의 내구성이 증대됨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홈통을 외부 벽면에 설치할 시, 선홈통의 후면에는 'ㄷ' 형태의 체결구를 결합하고, 외부 벽면의 전면으로는 마찬가지로 'ㄷ'자 형태의 고정구를 설치한 다음, 체결구와 고정구의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하여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결합 수단이 드러나지 않아 그 외관이 일층 미려하고, 선홈통과 체결 수단의 결합이 견고하며, 보행자 또는 거주자가 결합 수단에 의해 다칠 우려가 없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 The gutter structure for a prefabricated house }
본 고안은 선홈통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틸 하우스 혹은 조립식 건축물의 처마 하단에 설치되는 선홈통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사각관 형태로 구성된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주름진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선홈통이 외부 벽면에 설치될 시에는 선홈통의 후면에 'ㄷ' 형태의 고정구와 체결구를 이용하여 외부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전면에 드러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지 않아 그 외관이 미려한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을 제작할 시, 외부 벽면에 설치되는 선홈통은, 통상적으로 전면 중앙부가 절개된 'ㅁ' 형태의 결합구를 외부 벽면에 설치한 후, 결합구를 벌려서 선홈통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선홈통을 포위하도록 후, 선홈통의 전측에서 체결구를 체결하도록 하여 선홈통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선홈통의 전측으로 체결 수단이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외관상으로 미려하지 못함은 물론, 거주자 또는 보행자가 돌출된 체결 수단에 긁히거나 다치게 될 우려가 있었고, 돌출된 체결 수단에 충격이나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쉽게 파손되며 그로 인해 선홈통이 체결수단으로부터 탈리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 선홈통의 경우에는 철판을 절곡시키거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직사각관 형태의 선홈통을 제작하여 사용함에 따라 작은 외력에도 쉽게 변형되거나파손될 우려가 높았으며, 외형자체도 밋밋한 단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직사각관 형태로 구성된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주름진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선홈통의 내구성이 증대됨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홈통을 외부 벽면에 설치할 시, 선홈통의 후면에는 'ㄷ' 형태의 체결구를 결합하고, 외부 벽면의 전면으로는 마찬가지로 'ㄷ'자 형태의 고정구를 설치한 다음, 체결구와 고정구의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하여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결합 수단이 드러나지 않아 그 외관이 일층 미려하고, 선홈통과 체결 수단의 결합이 견고하며, 보행자 또는 거주자가 결합 수단에 의해 다칠 우려가 없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선홈통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벽면 10 : 선홈통
11 : 보강부 20 : 체결구
21 : 리벳 22, 32 : 통공
23 : 장공 30 : 고정구
31 : 나사못 40 : 볼트
41 : 너트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관 형태로 구성된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주름진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선홈통이 외부 벽면에 설치될 시에는 선홈통의 후면에 'ㄷ' 형태의 고정구와 체결구를 이용하여 외부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전면에 드러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지 않아 그 외관이 미려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선홈통(10)과 체결구(20) 및 고정구(30)로 구성되는 바, 전면에 보강부(11)가 형성된 직사각관 형태의 선홈통(10)과, 선홈통(10)의 후면 상 · 하부에 리벳(21)을 통해 결합된 'ㄷ' 형태의 체결구(20)와, 상기 체결구(20)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부 벽면(1)에 나사못(31)을 통해 결합되는 'ㄷ' 형태의 고정구(30)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구(20)와 고정구(30)의 개구부가 상호 마주 대하는 형태로 볼트(40)와 너트(41)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외형이 미려하고 결합력이 증대된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적인 형태가 직사각관 형태로 제작된 선홈통(10)의 후면으로 'ㄷ' 형태의 체결구(20)가 결합되고, 체결구(20)에는 'ㄷ' 형태의 고정구(30)가 체결되되, 외부 벽면(1)에 결합된 형태로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우선, 선홈통(10)의 구성을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금속을 절곡시켜 제작하거나 PVC 등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직사각관 형태로 제작하되, 그 전면으로는 수직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파상문 형태의 보강부(11)가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전면이 주름진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일층 미려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체결구(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직사각 금속판의 양측을 절곡시켜서 단면이 'ㄷ' 형태의 체결구(20)로 제작하되, 체결구(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선홈통(10)의 후면에 리벳(21)을 통해 결합되도록 통공(2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장공(23)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고정구(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통공(32)과 볼트(40)와 너트(41)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장공(23)에 결합되는 볼트(40)의 위치에 따라 외부 벽면(1)과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구(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체결구(20)와 대동소이하게 형성되는 바, 직사각 금속판의 양측을 절곡시켜서 단면이 'ㄷ' 형태의 고정구(30)로 제작하되, 고정구(30)의 바닥면과 양측면으로는 통공(32)이 형성되어 바닥면과 외부 벽면(1)은 나사못(31)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구(20)와는 볼트(40)와 너트(41)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도 4 및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금속 혹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전면에 보강부(11)가 형성된 직사각관 형태의 선홈통(10)을 제작한 후, 선홈통(10)의 후면 상 · 하부에 'ㄷ' 형태의 체결구(20)를 리벳(21)을 통해 결합하며, 상기 체결구(20)와 결합되는 고정구(30)를 외부 벽면(1)에 나사못(31) 등을 이용하여 결합한 다음, 체결구(20)와 고정구(30)를 볼트(40)와 너트(41)를 통해 결합하되, 고정구(30)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32)과체결구(20)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23)에 관통시켜 결합하며, 외부 벽면(1)과의 이격거리를 장공(23)을 통해 조절한 후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조립 및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직사각관 형태로 구성된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주름진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선홈통의 내구성이 증대됨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홈통을 외부 벽면에 설치할 시, 선홈통의 후면에는 'ㄷ' 형태의 체결구를 결합하고, 외부 벽면의 전면으로는 마찬가지로 'ㄷ'자 형태의 고정구를 설치한 다음, 체결구와 고정구의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하여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선홈통의 전면으로는 결합 수단이 드러나지 않아 그 외관이 일층 미려하고, 선홈통과 체결 수단의 결합이 견고하며, 보행자 또는 거주자가 결합 수단에 의해 다칠 우려가 없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에 있어서,
    전면에 보강부(11)가 형성된 직사각관 형태의 선홈통(10)과,
    선홈통(10)의 후면 상 · 하부에 리벳(21)을 통해 결합된 'ㄷ' 형태의 체결구(20)와,
    상기 체결구(20)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부 벽면(1)에 나사못(31)을 통해 결합되는 'ㄷ' 형태의 고정구(30)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구(20)와 고정구(30)의 개구부가 상호 마주 대하는 형태로 볼트(40)와 너트(41)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외형이 미려하고, 외부 벽면(1)과의 결합력은 증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선홈통(10)의 전면에 형성된 보강부(11)는, 수직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파상문 형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증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KR20-2004-0020737U 2004-07-21 2004-07-21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KR200364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737U KR200364792Y1 (ko) 2004-07-21 2004-07-21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737U KR200364792Y1 (ko) 2004-07-21 2004-07-21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792Y1 true KR200364792Y1 (ko) 2004-10-19

Family

ID=4935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737U KR200364792Y1 (ko) 2004-07-21 2004-07-21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7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927B1 (ko) 2014-09-30 2016-03-07 정의영 선홈통 구조
KR101607542B1 (ko) * 2014-12-29 2016-03-30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선홈통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927B1 (ko) 2014-09-30 2016-03-07 정의영 선홈통 구조
KR101607542B1 (ko) * 2014-12-29 2016-03-30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선홈통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575B2 (en) Joint member
US6363676B1 (en) Siding having double thick nail hem
CA2512152C (en) Fastening member, siding boards attach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attaching siding boards
CA2597186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364792Y1 (ko) 조립식 건축물의 선홈통 구조
KR200381862Y1 (ko) 조립식 물탱크의 외부 보강구조
JP2002174005A (ja) 建築物の外装構造
JP4522112B2 (ja) 建物用庇
RU49079U1 (ru) Комплект профилей для сборк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ветопрозрачных огражда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0297857Y1 (ko) 판넬 지붕의 후레싱
KR101847057B1 (ko) 건축용 외부 마감재
KR200308566Y1 (ko) 건축용 외장마감재의 연결결합구
JPH09195396A (ja)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
JPH0435456Y2 (ko)
JP3883545B2 (ja) 屋外床板接続具及びそれを用いた屋外床並びに屋外床の施工方法
JP6709956B2 (ja) 屋根構造
KR200367661Y1 (ko) 빗물받이 홈통
JPS6039383Y2 (ja) スカイライト付屋根
JP2006144318A (ja) 採光屋根
JPS606481Y2 (ja) 出入口用の庇
JP2001220882A (ja) 外壁材の取付金具
KR100219885B1 (ko) 벽면 마감재
JP2006299775A (ja) 壁面パネル連結構造
JPH11124968A (ja) 縦葺き外装用介装保持部材及びこの介装保持部材を用いた縦葺き外装構造
KR200362811Y1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