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213Y1 - 신호등 - Google Patents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213Y1
KR200364213Y1 KR20-2004-0019973U KR20040019973U KR200364213Y1 KR 200364213 Y1 KR200364213 Y1 KR 200364213Y1 KR 20040019973 U KR20040019973 U KR 20040019973U KR 200364213 Y1 KR200364213 Y1 KR 200364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light
cover
joi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완
Original Assignee
김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완 filed Critical 김종완
Priority to KR20-2004-0019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43The cover being attached to a supporting lampshad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being a simple lens adapted to cooperate with a point-like source for emitting mainly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xis coincident with the main light transmission direction, e.g. convergent or divergent lenses, plano-concave or plano-convex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호등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한 구조를 갖도록하여 높은 곳에 설치되는 신호등 특성에 따른 위험하고 난해한 작업환경에서의 램프 교환이나 고장수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가시거리가 길어지도록 하는 신호등 케이스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신호등에 있어서, 전방 상측부에 차광판을 갖고 상기 지주에 고정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전면에 전방으로 향하여 다수의 LED를 가진 기판과, 배면에 상기 기판이 부착되며 상기 LED와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개의 볼록렌즈들을 일체로 구성하여 LED의 빛을 집광시켜 가시거리를 늘리기 위한 집광렌즈와, 상기 몸체의 배면에 나사결합되며 하부 일점에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부를 갖는 커버를 구성하여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신호등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호등은, 몸체에 내장된 기판 전면의 집광렌즈에 의해 가시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어 먼 거리에서도 신호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 커버렌즈에 선택적 채용에 따라 그 밝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배면에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하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장수리 및 부품교체시 커버를 분리하여 개방시키면 커버가 몸체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나사축을 중심으로 몸체의 하부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고장수리 및 부품 교체 작업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상부에 틸팅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신호등의 각도를 원하는 각으로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호등{Signal lamp}
본 고안은 신호등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한 구조를 갖도록하여 높은 곳에 설치되는 신호등 특성에 따른 위험하고 난해한 작업환경에서의 램프 교환이나 고장수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가시거리가 길어지도록 하는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교통소통을 위한 방향지시등과 위험을 알려주는 경고등을 비롯하여 그외 원활한 교통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용도의 것들이 있다.
특히 철도 또는 도로의 신호등 또는 경고등은 멀리서도 용이하게 인식될 수있을 정도의 높이에 장치됨과 동시에 그 크기와 빛의 밝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신호등은 케이스의 내부에 램프와 그 주변 전기부품들를 장치하고, 그 전방에는 빛을 멀리 보낼 수 있는 구조의 렌즈 등이 장착되어 있다.
신호등 내부의 장치들 즉, 램프나 그 주변 전기 부품들은 일정한 수명을 가지고 있고 또 예상치 못한 인위적 또는 자연적 현상으로 인한 고장 발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부품교체나 고장수리를 위해 케이스의 일측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신호등 케이스는 후측이 기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의 몸체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고, 또 분리되는 개방몸체가 고정몸체와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는 개방몸체의 분해 및 결합시 한 손으로는 개방몸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볼트 및 너트를 풀어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난해하다. 이때문에 케이스나 램프 또는 도구들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고 또 작업자는 대부분 기중기를 통해 높이 들어올려져 혼자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큰 사고를 당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비나 바람이 부는 날씨에서의 작업은 더욱더 사고의 위험이 크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호등의 케이스의 개방시 배면의 커버가 개방되고 또 개방완료 후에도 몸체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의 용이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램프에서 발산하는 빛이 산란되지 않고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멀리서도 신호등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a,1b는 본 고안 신호등 케이스의 조립 측단면도 및 평면도.
도 2a,2b는 본 고안 신호등 몸체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신호등에 내장되는 기판의 정면도.
도 4a,4b는 본 고안의 신호등에 내장되는 집광렌즈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 신호등 커버렌즈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6a,6b는 본 고안 신호등 커버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7a,7b는 본 고안 신호등 현수 지지대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8a,8b는 본 고안 신호등 틸팅장치의 제1조인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9a,9b,9c는 본 고안 신호등 틸팅장치의 제1조인트 평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1 - 차광판 12 - 나사구멍
13 - 체결홀 14 - 나사구멍 15 - 나사홀
16 - 나사축 20 - 기판 21 - LED
22 - 체결공 30 - 집광렌즈 31 - 볼록렌즈
32 - 체결구멍 33 - 플랜지 34 - 나사홀
40 - 커버렌즈 41 - 무늬 42 - 측벽
43 - 플랜지 44 - 체결구멍 50 - 커버
52 - 체결공 54 - 축공 60 - 지지대
70 - 틸팅장치 71 - 제1조인트 72 - 컵형브래킷
73 - 결합홈 74 - 볼트공 75 - 조임볼트
76 - 조인트몸체 77 - 축공 78 - 마찰면
80 - 제2조인트 81 - 몸체 82 - 볼트공
83 - 브래킷 84 - 요홈 85 - 축공
86 - 볼트 88 - 마찰면 B - 브래킷
S - 지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호등에 있어서, 전방 상측부에 차광판을 갖고 상기 지주에 고정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전면에 전방으로 향하여 다수의 LED를 가진 기판과, 배면에 상기 기판이 부착되며 상기 LED와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개의 볼록렌즈들을 일체로 구성하여 LED의 빛을 집광시켜 가시거리를 늘리기 위한 집광렌즈와, 상기 몸체의 배면에 나사결합되며 하부 일점에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부를 갖는 커버를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고안 신호등 케이스의 조립 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신호등은 전방 상측부에 차광판(11)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전방을 향하여 다수의 LED(21)를 가진 기판(20)과, 배면에 상기 기판(20)을 부착하면서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LED(21)의 빛을 집광시켜 발산시키는 집광렌즈(30)와, 상기 몸체(10)의 배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신호등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장치(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는 틸팅장치(70)를 매개로 하여 후술될 지지대(60)에 현수식으로 설치된다. 도 1b에 도시된 도면에는 중앙부에 틸팅장치(70)의 제2조인트(80)가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두 개의 몸체(10)로 이루어져 설치시 후술될 제1조인트(71)가 삽입될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된 요홈(84)이 설치되며 내측 양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를 갖는 마찰면(88)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 중앙부에 축공(8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2b는 본 고안 신호등 몸체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몸체(10)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중앙부에 상기 원형의 커버렌즈(40)가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관통되어 있으며, 전면 상측에는 차광판(11)이 구비되어 있다. 상단부에는 나사구멍(12)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도 1과 같이 틸팅장치(70)와 나사체결된다. 또 내측면 둘레에는 기판(20), 집광렌즈(30) 및 커버렌즈(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홀(13)이 다수개 형성되어 나사체결에 의해 조립되며, 배면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 나사구멍(14)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를 통해 커버(50)가 나사체결 된다. 특히 몸체(10)의 하부에는 커버(50)가 몸체(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축 결합용 나사홀(15)이 형성되어 있어 도 1에서와 같이 후술될 커버(50)의 축공(54)을 통해 상기 나사홀(15)에 나사축(16)을 체결함으로써 커버(50)가 상기 나사축(16)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 신호등에 내장되는 기판의 정면도로서, 전면에 다수개의 LED(21)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기판(2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기판(20) 상에는 상기한 집광렌즈(30)와의 결합을 위해 복수개의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4b는 본 고안 신호등에 내장되는 집광렌즈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렌즈(30)는, 표면에 기판(20)의 LED(21)와 일대일 대응되는 볼록렌즈(31)들이 상기 기판(20)의 LED(21)와 동일한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체결구멍(3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플랜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20)의 체결공(22)과 대응되어 나사체결되는 나사홀(34)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5a,5b는 본 고안 신호등에 내장되는 커버렌즈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상기 커버렌즈(40)는 LED(21)의 빛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렌즈(40)의 두께 또는 무늬 및 탁도 등을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커버렌즈(40)를 형성하여 상기 LED(21) 밝기에 따라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렌즈(40)의 구조는 빛의 밝기에 맞게 내측면에 격자모양의 무늬(41)가 형성되어 있고 둘레에 후측방향의 측벽(42)을 가지며, 상기 측벽 후단 둘레에 체결구멍(44)을 갖는 플랜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렌즈(40)의 플랜지(43)와 집광렌즈(30)의 플랜지(33)를 체결구멍(44)을 통해 도 1a에서와 같이 몸체(10)의 체결홀(13)로 나사(볼트) 고정된다.
도 6a,6b는 본 고안 신호등 커버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상기 커버(50)는 둘레에 다수개의 체결공(5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몸체(10)의 배면 둘레에 형성된 나사구멍(14)에 나사체결 된다. 또 커버(50)의 하부 일점에 축공(54)이 형성되어 몸체(10)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나사홀(15)에 나사축(16)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둘레의 체결공(52)에 체결된 나사를 풀어 해체하면 커버(50)는 상기 나사축(16)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회동하여 몸체(1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게 되므로 고장수리 및 부품교체 등을 쉽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7a,7b는 본 고안 신호등 현수 지지대의 정면도 및 저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그 중양부가 브래킷(B)에 의해 지주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60)의 양단부에는 하나의 신호등이 각각 결합되는데, 각 단부에는 틸팅장치(70)를 이루는 제1조인트(71)가 결합된다.
도 8a,8b는 본 고안 신호등 틸팅장치의 제1조인트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상기 제1조인트(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60)의 단부가 삽입될 정도의 결합홈(73)을 가진 컵형브래킷(72)의 하부에 조인트몸체(7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컵형브래킷(72)의 둘레에는 볼트공(74)이 다수개 형성되어 결합홈(73)에 상기 지지대(60)의 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볼트공(74)에 조임볼트(75)를 체결하여 지지대(60)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조인트몸체(76)는 소정 높이를 갖는 원주형상을 눕혀놓은 구조이고, 중앙부에는 축공(77)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마찰면(78)이 형성되어 있다.
도 9a,9b,9c는 본 고안 신호등 틸팅장치의 제1조인트 평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시된 제2조인트(80)는, 양측에 몸체(81)와 나사(볼트)체결을 위한 볼트공(82)을 포함하는 브래킷(B)을 가지며, 중앙부에 상기 제1조인트(71)의 조인트몸체(76)를 수용하는 요홈(84)이 형성되어 있다. 요홈(84)의 내측 양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돌기들 또는 홈이 형성된 마찰면(88)을 이루고 있다. 상기 요홈(84)의 구성을 위해 상기 요홈(84)을 중심으로 제2조인트(80)를 양측으로 분리하여 몸체(10)에 결합시 상기 제1조인트(71)의 조인트몸체(76) 두께로 간격으로 이격시켜 결합함으로써 요홈(84)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인트(80)의 중앙부에는 축공(85)이 구비되어 있다. 이 축공(85)에 상기 제1조인트(71)를 축공(85)에 일치시면서 요홈(84)에 삽입시킨 후 상기 축공(85)으로 볼트(16)를 끼워 너트로 조이게 되면 틸팅장치(70)가 조립완료되며, 상기 볼트(16)의 조임정도에 따라 상기 마찰면(78)(88)의 마찰력이 조절되어 신호등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호등은, 몸체에 내장된 기판 전면의 집광렌즈에 의해 가시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어 먼 거리에서도 신호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 커버렌즈에 선택적 채용에 따라 그 밝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배면에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하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장수리 및 부품교체시 커버를 분리하여 개방시키면 커버가 몸체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나사축을 중심으로 몸체의 하부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고장수리 및 부품 교체 작업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상부에 틸팅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신호등의 각도를 원하는 각으로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신호등에 있어서,
    전방 상측부에 차광판을 갖고 상기 지주에 고정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전면에 전방으로 향하여 다수의 LED를 가진 기판과, 배면에 상기 기판이 부착되며 상기 LED와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개의 볼록렌즈들을 일체로 구성하여 LED의 빛을 집광시켜 가시거리를 늘리기 위한 집광렌즈와, 상기 몸체의 배면에 나사결합되며 하부 일점에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부를 갖는 커버를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몸체에 결합되어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커버렌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 틸팅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지주에 브래킷으로 결합되는 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된 제1조인트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제1조인트가 삽입되는 요홈을 갖는 제2조인트과,
    상기 제1조인트의 요홈 내에 제1조인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중심의 축공을 관통체결되는 조임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인트의 연결홈 양측면과 이와 접면되는 회동조인트의 내측면에 마찰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KR20-2004-0019973U 2004-07-13 2004-07-13 신호등 KR200364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973U KR200364213Y1 (ko) 2004-07-13 2004-07-13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973U KR200364213Y1 (ko) 2004-07-13 2004-07-13 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213Y1 true KR200364213Y1 (ko) 2004-10-11

Family

ID=4935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973U KR200364213Y1 (ko) 2004-07-13 2004-07-13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80B1 (ko) 2006-02-03 2007-08-20 주식회사 삼삼 신호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80B1 (ko) 2006-02-03 2007-08-20 주식회사 삼삼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611B1 (ko) 도로 조명등
KR101092233B1 (ko) 분리형 경관조명기구
CA2568321C (en) Externally adjustable directional luminaire
KR100963933B1 (ko) 가로등용 각도조절장치
KR10156574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led 집중 조명 기구
KR200449776Y1 (ko) 조명램프 지지장치
KR20100116323A (ko) 각도 조절되는 led조명을 구비한 가로등
KR200364213Y1 (ko) 신호등
AU2004251849B2 (en) Unidirectional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objects and/or for marking lanes, preferably in the airport area
US6860624B2 (en) Light system
KR101927618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066397B1 (ko) 방폭 라이팅 지주
KR10035126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101862588B1 (ko) 개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기구의 상부커버 조립구조
KR100812817B1 (ko)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KR100720650B1 (ko) 가로등용 안정기 커버
KR20200076162A (ko) 암과 등기구의 내외경이 자유롭게 호환되는 가로등 각도조절장치
KR20110039861A (ko) 보안등 및 가로등용 led램프
KR101986600B1 (ko) 가로등용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102298214B1 (ko) 배광각 조정이 가능한 led 방진 등기구
KR102133548B1 (ko) 투광등기구용 자중 스윙 구조체
KR102040251B1 (ko)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73067Y1 (ko) 회전가능한 가로등
US6814469B2 (en) Rotating reflector
KR20160033889A (ko)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