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087Y1 -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087Y1
KR200364087Y1 KR20-2004-0014345U KR20040014345U KR200364087Y1 KR 200364087 Y1 KR200364087 Y1 KR 200364087Y1 KR 20040014345 U KR20040014345 U KR 20040014345U KR 200364087 Y1 KR200364087 Y1 KR 200364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guide mechanism
angle
positioner
sp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구
Original Assignee
이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구 filed Critical 이형구
Priority to KR20-2004-0014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0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0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57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 A61F2002/4668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for measuring an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87Mechanical guides for implantation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eu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수술용 위치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가의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크류의 삽입위치에 대한 확인이 필요없이 가로돌기와 추체의 연결부와 척추강의 외경사이에 형성된 여유간격사이로 스크류를 안전하게 삽입시킴은 물론 삽입후에도 신경다발의 손상유·무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척추경(1)의 연결부(A)사이로 위치되는 포지셔너(8)와 포지션로드(8')및 스크류의 삽입위치를 설정하는 가이더(10)로 이루어진 위치안내기구(7)와, 이 위치안내기구(7)의 조절각도를 확인하도록 고정바(13)와 고정수단(14) 및 각도기(15)로 이루어진 표시안내장치(11)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 {indication quidance equipment an operation with the spinal cord}
본 고안은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척추수술시 사용되는 스크류의 고정위치가 척추의 신경에서 가장 먼 간격으로 설정되어 수술도중이나 후에 스크류에 의한 신경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척추는 주지하다시피 척추강내에 척수신경이 존재하게 되어 그 수술이 매우 조심스러우면서도 위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척추 수술중 특히 스크류와 같은 고정용 도구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 그 수술 특성상 상기 척수신경의 손상위험이 많게 된다.
즉, 도 1은 흉추부의 척추를 이루는 척추경을 도시한 것인바, 이 척추경(1)은 추상돌기(2)의 양쪽으로 돌출된 횡돌기(3)에 이어진 추체(5)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그 내부에 척추강(4)으로 둘러쌓인 척수신경(4a)이 존재하는 한편, 상기 추체(5)와 횡돌기(2)에 인대(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매개로 늑골(6)이 이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통상, 흉추부의 척추경(1)에 대한 수술은 추상돌기(2)와 횡돌기(3)사이에서 소정 깊이(L)에 위치된 수술위치(P)를 선정하여 횡돌기(3)와 추체(5)가 이어지는 외벽(A)와 척수신경(4a)을 감싼 척추강(4)의 외경(a)사이의 여유간격을 이루는 추경(D)내로 구멍을 뚫고 스크류를 고정시키되, 이 스크류의 삽입위치(d)는 가능한 한 상기 척추강(4)의 외경(a)으로부터 멀리 즉, 횡돌기(3)와 추체(5)가 이어지는 외벽(A)으로 근접되게 위치시켜야 만 척수신경(4a)이 손상을 피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흉추부의 척추경 수술을 하는 의사들은 횡돌기(3)와 추체(5)가 이어지는 외벽(A)과 척추강(4)의 외경(a)사이의 여유간격인 추경(D)사이에서 척수신경(4a)의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스크류를 삽입할 수 있도록 통상, 씨-아암(C-Arm)이라는 수술부위 X-Ray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매 순간마다 척수신경(4a)을 손상하지 않는 스크류의 삽입위치(d)를 확인하면서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씨-아암은 다른 부위에 비해 추경(D)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데에도 불구하고 2차원적인 영상을 제공하므로 스크류의 삽입을 위한 수술위치(P)를 결정하기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만약 수술위치(P)를 결정하였더라도 스크류를 수술위치(P)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스크류의 삽입도중에도 상기 씨-아암을 이용하여 인체의 전·후방과 측면부위의 X-Ray 사진을 찍어 3차원으로 스크류에 의한 척추강(4)내의 척수신경(4a)의 손상유·무를 확인하여야만 되므로, X-Ray의 과다노출은 물론 수술시간의 지연과 집중력약화등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가의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크류의 삽입위치에 대한 확인이 필요없이 횡돌기와 추체가 이어진 외벽(A)과 척추강의 외경사이에 형성된 여유간격인 추경(D)사이로 스크류를 안전하게 삽입시킴은 물론 삽입후에도 척수신경의 손상유·무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척추경의 외벽(A)에 위치되는 포지셔너와 포지션로드 및 스크류의 삽입위치를 설정하는 가이더로 이루어진 위치안내기구와, 이 위치안내기구의 조절각도를 확인하도록 고정바와 고정수단 및 각도기로 이루어진 위치안내장치로 구성된다.
도 1은 인체의 척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수술용 위치안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표시안내장치를 사용한 척추수술을 나타낸 작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척추경 2 : 추상돌기
3 : 횡돌기 4 : 척추강
4a : 척수신경 5 : 추체
6 : 늑골 7 : 위치안내기구
8 : 포지셔너 8' : 포지션로드
8a' : 위치고정부 8b' : 제1절곡부
8c' : 제2절곡부 8d : 위치안내부
8e,13a : 손잡이 9 : 연결부
10 : 가이더 11 : 표시안내장치
12 : 각도조절수단 13 : 고정바
14 : 각도기 15 : 고정수단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고안의 표시안내장치(11)는 위치안내기구(7)와 각도조절수단(12)으로 구성되어 수술전 추경(D)내의 스크류 삽입각도를 알 수 있는 경우나 스크류의 삽입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해야 만 되는 경우에 위치안내기구(7)의 각도를 조절하기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위치안내기구(7)는 속이빈 중공형상의 포지셔너(8)와, 이 포지셔너(8)에 연결부(9)를 매개로 평행하게 구비되면서 속이빈 중공형상인 가이더(10) 및, 상기 포지셔너(8)의 내부에 삽입되어져 상·하이동되는 포지션로드(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지션로드(8')는 그 하단부의 위치고정부(8a')에 일체로 이어지면서 횡돌기(3)에 인대를 매개로 연결된 늑골(6)과 접촉되지 않도록 제1간섭방지각(α)을 형성한 제1절곡부(8b')와, 이 제1절곡부(8b)에 일체로 이어지면서 횡돌기(3)와 추체(5)가 이어진 외벽(A)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늑골(6)과 접촉되지 않도록 제2간섭방지각(β)을 형성한 제2절곡부(8c')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안내기구(7)의 포지셔너(8)에 삽입되는 포지션로드(8')의 하단부위를 이루는 위치고정부(8a')에는 제1번과 제2번 흉추에 적용될 경우, 늑골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위치고정부(8a')에 일체로 이어지면서 제2간섭방지각(β)을 이루면서 제2절곡부(8c')만이 형성되어 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포지셔너(8)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그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수술부위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손잡이를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포지셔너(8)에 삽입된 포지션로드(8')의 제2절곡부(8c')는 그 끝부위와 가이더(10)의 중심사이가 가이더(10)를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가 척추강(4)의 외경(a)으로부터 멀리 즉, 횡돌기(3)와 추체(5)가 이어진 외벽(A)부위로 최대한 근접 위치 되도록 여유간격(D)에서 삽입위치(d)를 빼준 간격인 갭(G)을 형성하되, 이 갭(G)은 사용되는 스크류의 직경에 따라 즉, 직경 3mm의 스크류를 이용할 경우 갭(G)은 0mm가 되는 한편, 직경 4mm나 5mm의 스크류를 이용할 경우 갭(G)은 1mm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안내기구(7)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12)은 척추
경(1)의 주상돌기(2)에 고정되어 그 기준위치를 잡아주도록 손잡이(13a)를 갖춘 고정바(13)와, 이 고정바(13)를 기준으로 위치안내기구(7)의 조절각도를 알수 있도록 미세 각도 눈금이 표시된 원호형상의 각도기(14) 및, 이 각도기(14)에 상기 위치안내기구(7)의 포지셔너(8)와 고정바(13)를 조절된 각도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수단(1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15)은 일반적으로 보올트나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
라 벌어진 양쪽부재가 이동되어 고정되거나 풀어지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치안내기구를 사용한 제3번내지 제12번 용추 수술을 나타낸 작업도를 도시한 것인바, 이는 수술전 추경(D)내의 스크류 삽입각 도를 알 수 있는 경우나 스크류의 삽입각이 미세하게 조정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척추강(1)의 추상돌기(2)에 각도조절수단(12)의 고정바(13)를 고정한 후 위치안내기구(7)를 각도기(14)에 고정한 고정수단(15)을 풀어 위치안내기구(7)의 포지셔너(8)를 원하는 각도만큼 이동시킨 다음, 각도기(14)에 표시된 눈금을 매개로 그 이동각도를 확인하여 다시 고정수단(15)을 매개로 각도기(14)에 고정시켜 준다.
이어, 상기 포지셔너(8)에 삽입된 포지션로드(8')를 움직여 척추강(1)의 횡돌기(3)와 늑골(6)사이로 위치시켜 주면, 이 포지션로드(8')의 제1절곡부(8b')와 제2절곡부(8c')의 제1간섭방지각(α)과 제2간섭방지각(β)에 의해 늑골(6)과의 접촉을 일으키지 않게됨은 물론, 상기 제2절곡부(8c')가 위치되는 외벽(A)부위의 지점은 의료계의 해부학적인 데이터에 의해 알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한 경험이나 지식을 요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수술위치(P)에 위치된 가이더(10)를 통해 드릴(100)을 삽입하여 스
크류(110)체결을 위한 구멍을 뚫은 다음, 스크류(110)를 체결기(120)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되고, 이때, 상기 스크류(110)의 체결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수술위치(P)가 외벽(A)에 위치된 포지션로드(8')의 제2절곡부(8c')의 끝부위와 스크류의 삽입각으로 기울어진 가이더(10)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져, 이 가이더(10)로 삽입되는 스크류가 척추강(4)의 외경(a)으로부터 멀리 즉, 횡돌기(3)와 추체(5)가 이어진 외벽(A)부위로 최대한 근접 위치되어 척수신경(4a)을 건드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표시안내장치(11)를 이용하여 제1번과 제2번 흉추를 수술하는 경우에는 위치고정부(8a')에 이어진 제2절곡부(8c')만이 형성된 포지션로드(8')를 갖춘 위치안내기구(7)를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 위치안내기구(7)를 이용한 수술도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수술과정동안 매 순간마다 그 정확성의 확인을 위해 고가의 의료장비를 사용하지 않게됨은 물론, 횡돌기와 추체가 이어진 외벽(A)과 척추강의 외경사이에 형성된 여유간격인 추경(D)내로 삽입되는 스크류가 횡돌기와 추체의 외벽(A)부위로 최대한 근접되게 위치되어져 삽입후에도 척추신경의 손상유·무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속이빈 중공형상의 포지셔너(8)와, 이 포지셔너(8)에 연결부(9)를 매개로 평행하게 구비되면서 속이빈 중공형상인 가이더(10) 및, 상기 포지셔너(8)의 내부에 삽입되어져 상·하이동되는 포지션로드(8')로 구성된 위치안내기구(7)와, 이 위치안내기구(7)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12)으로 구성되되, 이 각도조절수단(12)은 척추경(1)의 주상돌기(2)에 고정되어 그 기준위치를 잡아주도록 손잡이(13e)를 갖춘 고정바(13)와, 이 고정바(13)를 기준으로 위치안내기구(7)의 조절각도를 알수 있도록 미세 각도 눈금이 표시된 원호형상의 각도기(14) 및, 이 각도기(14)에 상기 위치안내기구(7)의 포지셔너(8)와 고정바(13)를 조절된 각도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수단(15)으로 구성된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
KR20-2004-0014345U 2004-05-24 2004-05-24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 KR200364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45U KR200364087Y1 (ko) 2004-05-24 2004-05-24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45U KR200364087Y1 (ko) 2004-05-24 2004-05-24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087Y1 true KR200364087Y1 (ko) 2004-10-08

Family

ID=4943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345U KR200364087Y1 (ko) 2004-05-24 2004-05-24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0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2618A1 (en) * 2005-03-23 2006-10-26 Soon Ja Bae Portable golf putting exerciser
CN109199563A (zh) * 2018-11-26 2019-01-15 杨英果 可三维调节的脊柱后路手术定位装置
WO2021141307A1 (ko) 2020-01-08 2021-07-15 최홍희 의료용 다목적 레이저 포인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2618A1 (en) * 2005-03-23 2006-10-26 Soon Ja Bae Portable golf putting exerciser
CN109199563A (zh) * 2018-11-26 2019-01-15 杨英果 可三维调节的脊柱后路手术定位装置
WO2021141307A1 (ko) 2020-01-08 2021-07-15 최홍희 의료용 다목적 레이저 포인팅장치
KR102278149B1 (ko) 2020-01-08 2021-07-16 최홍희 의료용 다목적 레이저 포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35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olyaxial screw alignment
EP3515333B1 (en) Patient-specific navigational guide
US9962209B2 (en) Devices and method of achieving bone fusion
JP4920749B2 (ja) 遠位標的装置
US6951538B2 (en) Retractor and method for spinal pedicle screw placement
US8298236B2 (en) Cervical bone preparation tool and implant guide systems
EP3217895B1 (en) Patient-specific navigational guide
US20090149862A1 (en) Guide pin for pedicle screw placement and method for use of such guide pin in spinal fusion surgeries
JP2010510003A (ja) 参照フレーム固定器
KR20080069588A (ko) 조준장치
JP2010512856A (ja) 脊椎固定のためのガイドシステム、ツール、及び装置
Ryken et al. Image-based drill templates for cervical pedicle screw placement
JP4875220B1 (ja) 穿刺器具
JP6417487B1 (ja) 穿刺器具ガイド装置
KR200198708Y1 (ko) 척추수술용 위치안내장치
KR200364087Y1 (ko) 척추를 수술시 표시안내장치
JP4309289B2 (ja) 外科用操縦器具
JP2022547602A (ja) インプラントガイド、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JP2596613Y2 (ja) 人工関節のステム挿入孔形成器
Mac-Thiong et al. Use of a transpedicular drill guide for pedicle screw insertion in the thoracic spine
AU2002237985A1 (en) Retractor and method for spinal pedicle screw pla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