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833Y1 -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833Y1
KR200363833Y1 KR20-2004-0018796U KR20040018796U KR200363833Y1 KR 200363833 Y1 KR200363833 Y1 KR 200363833Y1 KR 20040018796 U KR20040018796 U KR 20040018796U KR 200363833 Y1 KR200363833 Y1 KR 200363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air
casing scroll
casing
sc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도리빙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도리빙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도리빙텍
Priority to KR20-2004-0018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8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8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에 있어서 고속 모터 뿐만 아니라 저속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함에 있어서 풍압 대비 발생되는 풍량을 높임으로써 실내 공기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풍기{VENTILATOR}
본 고안은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에 있어서 고속 모터 뿐만 아니라 저속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건물의 실내, 예를 들어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벽면이나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흡입한 후 덕트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냄새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환풍기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환풍기를 나타낸 도로서, 도 1(a)는 종래의 환풍기의 일부를 절개한 저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환풍기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환풍기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수용공간(11),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면(12) 및 배출구(13)를 구비하는 케이싱 스크롤(10),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0), 구동모터의 회전축(21)에 장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유입시켜 배출하는 회전부재(30), 회전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40) 및 케이싱 스크롤(10)의 저면에 장착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51)가 형성된 그릴(50)을 포함하였다.
특히, 종래의 환풍기는 회전부재(30)의 날개(31)로, 구동모터(20)로 인한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향해 꺾여서 형성되는 전향깃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회전부재(30)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켜 감싸 안으며 배출구(13)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종래의 환풍기는 회전부재(30)의 전향깃(31)이 바람을 회전만 시키게 되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향깃(31)의 회전으로 인한 풍량 및 풍압 구조가 현실에 맞지 않아 구동모터(20)의 동력 또한 소형의 저용량으로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형깃을 사용하는 경우 풍압은 증가하는 반면 풍압에 따른 효율이 떨어지므로 일정량의 풍량을 발생시키기 위하여는 회전부재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향깃(31)이 흡입한 실내의 공기를 감싸 안으며 배출구(13)로 이동시킴으로 인해 전향깃이 회전할 때 양력 저항이 발생하고, 전향력에서 양력저항이 빠진 풍동력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풍량과 풍압이 떨어져 기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시에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환풍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또 다른 형태의 환풍기가 제안되었는데, 그 실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94871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종래의 또 다른 환풍기를 도시한 도로서, 도 2(a)는 종래의 또 다른 환풍기의 일부를 절개한 저면도이고, 도 2(b)는 종래의 또 다른 환풍기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또 다른 환풍기는 회전부재(35)가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하부판의 일측면에 외측으로 라운드가 형성된 유선형의 후향깃(36)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으며, 수용공간(11)의 안내면(12)에 안착되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공기안내부재(60)를 구비하였다. 즉, 상기 등록특허는 회전부재(35)의 날개로,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꺾여서 형성되는 후향깃(36)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등록특허는 회전부재(35)가 회전하면서 유입된 실내 공기를 밀어내어 배출구(13)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후향깃은 공기를 감싸 안아서 배출구로 배출시키지 않고 공기를 밀어내기만 하므로,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 측면 중 회전부재와 인접한 영역으로는 회전부재에 의해 발생한 바람(실내 공기의 흐름)에 방향성을 가하기 위하여 전향깃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디퓨저(defuser)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는 회전부재(35)를 양력형 구조로 적용하여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동규격 대비 풍량을 최대로 높여 실내의 공기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회전부재의 후향깃(36)이 양력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많은 양의 공기를 자연스럽게 배출하여 기기의 동작시 발생 소음을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상기 등록특허는 풍량은 증가하는 반면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속의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일정한 배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저속 모터, 특히 3600 RPM 이하의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압력이 형성이 안되므로 압력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방향성이 없어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이 환풍기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인 경우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150 내지200 파스칼 이상)이 필요한 반면, 현실적으로 높은 RPM을 갖는 모터를 환풍기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한 실정이다. 따라서, 아파트와 같은 환풍 구조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모터로 고속의 모터 뿐만 아니라 저속의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 압력 대비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회전부재의 공기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부재의 회전으로 인한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환풍기를 나타낸 도.
도 2 는 종래의 또 다른 환풍기를 나타낸 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저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회전부재의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환풍기 110 : 케이싱 스크롤
112 : 수용공간 114 : 안내면
116 : 배출구 118 : 돌림나사
119 : 걸림돌기 120 : 구동모터
130 : 회전부재 132 : 하부판
134 : 회전날개 136 : 고정링
140 : 그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는, 건물의 벽면 및/또는 천정에 매설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로서,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된 양 단부를 구비하고, 양 단부가 관통 형성되고, 건물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저면부의 내측으로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케이싱 스크롤의 일면에 구비되며, 건물의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배출구 및 개방된 저면부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 측면인 안내면을 포함하는 케이싱 스크롤과,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그리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납작한 판 형상의 하부판 및 하부판의 저면에 제 1 단부가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각 회전날개가, 회전축에 인접한 영역인 제 1 영역은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을 향해 꺾여 있는 후향깃으로 형성되고, 제 1 영역의 외부 영역인 제 2 영역은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향해 꺾여 있는 전향깃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구가 회전부재의 측면부에 배치되고, 회전부재의 상단의 수평방향 연장선과 회전부재 하단의 수평방향 연장선 사이의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 배출구가 회전부재의 수평방향의 연장선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안내면은 곡면으로 형성하도록 하며, 회전부재는 각 회전날개의 제 1 단부와 반대편 단부인 제 2 단부에 부착되어, 각 회전날개의 제 2 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도록 한다. 아울러, 케이싱 스크롤은, 케이싱 스크롤의 저면부의 테두리부에 결착하며, 헤드부가 케이싱 스크롤의 저면부로 노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림나사 및 테두리부의 상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돌림나사의 나선이 형성된 몸체부에 결착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걸림돌기가 돌림나사의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하여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 외곽으로 노출 또는 은폐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저면도로서, 환풍기의 일부 구성부를 절개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단면도로서,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구성 및 각 구성부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100)는 건물 등의 벽면 또는 천정 등에 매립되어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부재(130)가 회전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밀어내어 건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향해 개방된 단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스크롤(110), 케이싱 스크롤 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20), 구동모터에 장착되는 회전부재(130) 및 케이싱 스크롤의 개방된 저면에 장착되는 그릴(14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싱 스크롤(110)은 실내 공기의 흡입 공간을 형성하며 구동모터 및 회전부재 등의 구성부가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부로서,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향해 개방된 단부가 형성되고 양 단부는 케이싱 스크롤(110)의 내부에서 상호 관통 형성된다. 케이싱 스크롤(110)은 내부를 향해 움푹 파인 형상을 이루어 흡입된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2), 수용공간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를 배출구(116)로 유도하는 안내면(114) 및 안내면의 단부로 관통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6)를 구비한다. 즉, 수용공간(112)은 실내를 향해 개방된 케이싱 스크롤(110)의 단부(저면)로부터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를 향해 움푹 파인 공간을 나타내고, 배출구(116)는 건물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케이싱 스크롤의 단부를 나타낸다. 또한, 안내면(114)은 수용공간으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면을 나타내는데,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100)는 안내면을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하여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의 배출구로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안내면(114)이 곡면이 아닌 각도진 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흡입된 공기가 배출구로 이동하면서 안내면의 꺾인 부분에서 공기 흐름이 차단되거나 원활하지 못하여 실내 공기의 배출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100)는 안내면을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흡입된 공기가 배출구(116)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배출구(116)는 회전부재(130)의 수평 연장선과 적어도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만일 배출구(116)가 회전부재(130)의 수평 연장선과 동일선 상이 아닌 다소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경우, 회전부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케이싱 스크롤(110)의 내부 측면에 부딪친 후 상기 내부 측면을 따라 배출구로 유입되게 된다. 이는, 회전부재(130)의 공기 배출 효율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출구(116)를 회전부재(130)의 수평방향 연장선 상에 배치함으로써 회전부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별다른 장애물 없이 바로 배출구로 유입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배출구(116)의 영역이 회전부재(130)의 수직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회전부재(130)의 상하 수평 연장선 사이의 영역을 배출구(116)의 영역이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스크롤(110)은, 환풍기(100)를 벽면 또는 천정에 매립한 후 고정하기 위하여, 테두리부에 복수의 돌림나사(118)와 걸림돌기(119)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때, 돌림나사(118)는 케이싱 스크롤의 저면의 테두리부로 노출 형성되도록 하며, 걸림돌기(119)는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의 배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걸림돌기(119)는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의 배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이격되는 거리는 환풍기(100)가 매립되는 벽면 또는 천정의 공간의 테두리부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119)는 일단이 돌림나사(118)에 체결된 상태로 돌림나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걸림돌기(119)는, 돌림나사(118)를 돌릴 경우 돌림나사에 의해 90도 회전하여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되므로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한편, 돌림나사(118)가 걸림돌기(119)를 회전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걸림돌기를 조여서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의 배면과 걸림돌기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환풍기(100)가 매립되는 벽면 또는 천정의 테두리부의 두께가 다양한 경우에도 공히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동모터(120)는 케이싱 스크롤(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부재(130)를 회전시키는 구성부로서,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이를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회전축(122)을 회전시킨다. 구동모터의 회전력은 회전축(122)을 통해 회전부재(130)로 전달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부재(130)는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2)에 장착되어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수용공간(112)으로 흡입한 후 배출구(116)로 배출시키는 구성부이다. 회전부재(130)는 구동모터의 회전축(122)에 장착되는 삽입공(133)이 형성된 하부판(132)이 배면에 구비되고, 하부판의 정면으로는 삽입공을 중심으로 다수의 회전날개(134)가 라운드지게 장착된다. 또한, 회전부재의 정면으로는 각 회전날개(134)의 단부를 각기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링(136)이 장착된다.
회전날개(134)는 하부판(132)의 정면에 폭이 짧은 형상으로 밀집되게 장착되어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2)에 의해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게 된다. 회전날개(134)는 길이 방향으로 내측의 영역, 즉 회전축(122)과 인접한 일정 영역(이하 '내부 영역'이라 한다.)은 회전부재(13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꺾여 있는 후향깃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외측의 영역, 즉 내부 영역 외측의 영역(이하 '외부 영역'이라 한다.)은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향해 꺾여 있는 전향깃으로 형성된다. 즉, 각 회전날개(134)는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꺾인 후 소정 위치에서 회전방향의 전방을 향해 꺾인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향해 꺾인 전향깃은 실내 공기를 감싸 안으며 회전하므로 공기를 회전시키는 효과는 뛰어난 반면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꺾인 후향깃은 실내 공기를 밀어내면서 회전하므로 효율이 높고 소음이 적은 반면 저속의 모터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회전날개(134)는 내부 영역을 후향깃으로 형성하고 외부 영역은 전향깃으로 형성함으로써, 회전날개의 내부 영역(후향깃)에 의해 실내 공기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밀려나온 공기를 다시 회전날개의 외부 영역(전향깃)이 감싸 안아 회전하면서 배출시키게 된다. 즉, 후향깃에 의해 밀려서 모아진 공기를 전향깃이 감싸 안으며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압력(풍압) 대비 풍량이 높아지게 되어 동일한 압력에서도 많은 양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풍량을 높이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무리하게 높이지 않아도 되므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구동모터(120)가 고속인 경우는 물론 저속이 경우에도 공기의 배출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후향깃이 공기를 밀어내고 모아서 흡입된 공기의 양이 증가하고 전향깃이 이를 감싸 안아 배출하는 과정에서 공기의 압축이 일어나므로 풍압 또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회전날개(134)는 일단부가 하부판(132)에 장착 및 고정되고, 나머지 일단부는 고정링(136)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각 회전날개의 양 단부가 각기 하부판과 고정링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되게 된다.
고정링(136)은 각 회전날개(134)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각 회전날개의 일단(하부판에 고정된 일단의 반대편 일단)을 각기 연결한다. 고정링은 하부판의 반대 측면인 회전부재의 정면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날개(134)는 내부 영역은 후향깃으로 형성되고 외부 영역은 전향깃으로 형성되는 정교한 구조이므로, 사용 도중 부러지거나 깨지는 등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고정링(136)을 통해 각 회전날개를 연결 및 고정하여 잡아줌으로써 회전날개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그릴(140)은 케이싱 스크롤(110)의 개방된 저면에 장착되는 구성부로서,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통로(142)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릴(140)은 환풍기(100) 내부의 구성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가 환풍기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구동모터(120)에 전원을 인가하면 회전력이 발생하여 회전축(122)이 회전하게 된다.
2.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13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실내의 공기가 그릴(140)의 통로(142)를 통해 유입된다.
3. 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수용공간(112)으로 유입된다.
4.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회전부재(132)의 각 회전날개(134) 내부 영역의 후향깃이 밀어내고 밀어낸 공기는 다시 회전날개 외부 영역의 전향깃이 감싸 안으로 회전하여 배출구(116)로 유도한다. 즉,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회전부재와 안내면(114)에 의해 유도되게 된다.
5. 회전부재에 의해 유도된 공기는 안내면(114)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안내면(114)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지므로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또한, 배출구(116)가 회전부재(130)의 수평방향 연장선과 동일 연장선 또는 적어도 회전부재의 상하 수평방향 연장선을 포함하므로, 회전부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배출구로 유입되어 배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100)를 벽면 또는 천정에 설치 또는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먼저, 환풍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환풍기(100)가 삽입되도록 움푹 파인 벽면이나 천정의 공간(매립 공간)으로 환풍기를 삽입한다.
2. 케이싱 스크롤(110)의 저면(매립된 환풍기의 노출면)으로 노출된 각각의 돌림나사(118)를 돌려 각 걸림돌기(119)를 90도 회전시킨다. 따라서, 각 걸림돌기가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와 수직을 이루게 되어 걸림돌기가 매립 공간의 테두리부에 걸리게 된다. 즉, 매립 공간의 테두리부가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와 걸림돌기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환풍기(1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3. 다음으로, 벽면 또는 천정에 매립된 환풍기(100)를 분리하기 위하여는, 각 돌림나사(118)를 돌려 각 걸림돌기(119)를 90도 회전시킨다. 따라서,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와 수직을 이루던 각 걸림돌기는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와 평행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매립 공간의 테두리부에 걸림돌기가 걸린 상태가해제되게 된다.
4. 환풍기(100)를 벽면 또는 천정의 매립 공간으로부터 꺼낸다.
한편, 각 돌림나사(118)가 단순히 걸림돌기(119)를 회전시키는 역할이 아니라 걸림돌기를 조이도록 구성할 경우, 즉 걸림돌기와 케이시으 스크롤(110)의 테두리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 천정 또는 벽면의 매립 공간의 테두리부의 두께에 관계없이 걸림돌기를 이용해 환풍기(10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함에 있어서 풍압 대비 발생되는 풍량을 높임으로써 실내 공기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첫째로, 전향깃의 저효율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회전날개로 효율이 높은 후향깃을 전향깃과 함께 적용함으로써 풍압 대비 발생 풍량을 높일 수 있으며, 종래의 환풍기와 동일한 압력에서 전체 효율(흡입량)이 5 내지 10 퍼센트 가량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풍량을 높이기 위하여 종래에는 회전부재의 크기를 크게 하고 기밀성을 높이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무리하게 높이지 않아도 되므로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 등의 구성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로, 높은 압력에서 풍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3600 RPM 이하의 저속의 모터에 대하여도 풍량을 높일 수 있어 저속의 모터를 사용하는 환풍기에 적합하다. 종래의 환풍기는 경우 풍량과 풍압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구동모터의 최대 회전수를 높이거나 회전부재의 크기를 크게 하고 전체 기밀성을 높여야 하는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가정용 일반 환풍기에서는 일반 교류 단상 모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저소음이 요구되고 회전부재의 크기에 제한이 있어서 풍량과 풍압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는 회전수가 3600 RPM으로 제한된 저속의 교류 단상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필요한 효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가정용 환풍기에 최적의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로, 회전부재의 수평방향 연장선과 동일선 상으로 배출구가 구비되고, 배출구가 적어도 회전부재의 상단과 하단의 연장선으로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게 되므로, 회전부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별도의 장애물 없이 곧바로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어 공기 배출이 원활해진다. 만일, 회전부재와 배출구의 수평상의 위치가 이격되어 단차지거나 턱이 존재하는 경우 회전부재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단차면 등에 부딪친 후 단차면을 타고 배출구로 유입/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흐름에 장애가 발생하여 배출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공기 흐름의 장애 요인이 없으므로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되어 실내 공기의 배출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넷째로,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 측면, 즉 안내면을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환풍기 내로 유입된 공기가 안내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공기 배출 효율이 향상된다.
마지막으로, 돌림나사에 의해 90도 회전하는 걸림돌기를 통해 환풍기를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환풍기의 설치 작업이 간편해지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림나사가 걸림돌기를 조임으로써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와 걸림돌기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경우, 다양한 두께를 갖는 벽면 또는 천정 등에 설치할 수 있어 활용의 폭이 넓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건물의 벽면 및/또는 천정에 매설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로서,
    상기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된 양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단부가 관통 형성된 케이싱 스크롤;
    상기 케이싱 스크롤이,
    상기 건물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저면부의 내측으로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케이싱 스크롤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건물의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상기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 측면인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납작한 판 형상의 하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저면에 제 1 단부가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각 회전날개가,
    상기 회전축에 인접한 영역인 제 1 영역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을 향해 꺾여 있는 후향깃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외부 영역인 제 2 영역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향해 꺾여 있는 전향깃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상단의 수평방향 연장선과 상기 회전부재 하단의 수평방향 연장선 사이의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상기 회전부재의 수평방향의 연장선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각 회전날개의 제 1 단부와 반대편 단부인 제 2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각 회전날개의 제 2 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스크롤이,
    상기 케이싱 스크롤의 저면부의 테두리부에 결착하며, 헤드부가 상기 케이싱 스크롤의 저면부로 노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림나사; 및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돌림나사의 나선이 형성된 몸체부에 결착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돌림나사의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케이싱 스크롤의 테두리부 외곽으로 노출 또는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KR20-2004-0018796U 2004-07-02 2004-07-02 환풍기 KR200363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96U KR200363833Y1 (ko) 2004-07-02 2004-07-02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96U KR200363833Y1 (ko) 2004-07-02 2004-07-02 환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401A Division KR100616279B1 (ko) 2004-07-02 2004-07-02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833Y1 true KR200363833Y1 (ko) 2004-10-07

Family

ID=4943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796U KR200363833Y1 (ko) 2004-07-02 2004-07-02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8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935B1 (ko) 고성능 환풍기
JP5131093B2 (ja) 遠心式送風機
EP1683972B1 (en) Blowing device
JP2003009461A (ja) バイパス吐出しモータアセンブリ、モータアセンブリ用マフラ及びモータアセンブリ用冷却ファンハウジング
JP2013032749A (ja)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掃除機
JPWO2008093390A1 (ja) 多翼遠心送風機
JP4505885B2 (ja) 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並びに空気清浄機
JP4703272B2 (ja) 電動送風機及び電気掃除機
KR200363833Y1 (ko) 환풍기
KR100616279B1 (ko) 환풍기
KR100691227B1 (ko) 진공청소기용 송풍기
JPH0593523A (ja) 空気調和装置
JP4625722B2 (ja) 電動送風機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EP2674685B1 (en) Air conditioner
KR101291842B1 (ko) 공기토출장치
KR200363832Y1 (ko) 환풍기
JP5468840B2 (ja) 送風装置
KR100394871B1 (ko) 환풍기
JP2000283518A (ja) エアカ−テン
KR200245800Y1 (ko) 환풍기
KR102552595B1 (ko) 임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KR100741789B1 (ko) 배기 후드 및 그의 원심팬
JP2011226409A (ja) 多翼ファン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0328891Y1 (ko) 환풍기
KR0134850Y1 (ko) 공기 조화기용 송풍팬의 소음 저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