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619Y1 - 귀걸이용 소재 - Google Patents

귀걸이용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619Y1
KR200363619Y1 KR20-2004-0020090U KR20040020090U KR200363619Y1 KR 200363619 Y1 KR200363619 Y1 KR 200363619Y1 KR 20040020090 U KR20040020090 U KR 20040020090U KR 200363619 Y1 KR200363619 Y1 KR 200363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body
earrings
present
earring
ma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호춘
Original Assignee
엄호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호춘 filed Critical 엄호춘
Priority to KR20-2004-0020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6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걸이용 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파이프형상의 소재 그대로를 몸체로 만들기 때문에 소재 몸체 표면이 단순하여 미감이 떨어져 소비자들의 구매의욕을 떨어뜨려 판매부진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파이프 형상의 소재를 링형으로 만곡시켜서 귀걸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소재 몸체(100)의 외주면을 샌딩작업에 의해 무광택 처리하고, 그 무광택 처리된 소재 몸체(10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커팅 가공된 무늬부(110)를 연속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소재 몸체(100)를 무광택으로 한후 그 소재 몸체(100)에 광택의 무늬부(110)를 커딩가공하므로서 종래 단순한 미감의 귀걸이에 비해 한층 미감이 돋보이도록 하여 소비자들에게 구매의욕을 불러일으켜 판매신장을 이룰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귀걸이용 소재{Material for earring}
본 고안은 귀걸이용 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소재 몸체를 샌딩작업으로 무광택으로 처리한후 그 소재 몸체에 커팅가공으로 광택성있는 무늬부를 연속하여 형성하므로서 귀걸이를 미감있게 하여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향상시켜 판매신장을 이룰수 있도록 한 귀걸이용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이나 혹은 소수의 남성들의 경우 장식적인 효과나 미려감을 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가지 모양의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 팔찌등의 장신구를 몸에 달고 다님은 널리 알려진 일이다.
상기 장신구중 귀걸이는 귀를뚫어 사용하는 귀걸이와 귀를 뚫지않고 사용하는 귀걸이로 나누어지는데, 전자의 귀걸이는 장식뭉치의 일측에 탄성집게가 설치되어 귀의 전후면을 탄성집게로 압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인데 이는 집게를 귀에 물리는 것이므로 장시간 달고 다니면 귀가 아프게 되고, 분실될 우려가 많아 그 사용이 저조하였다.
그리고 후자의 귀걸이는 귀의 하단부위등에 뚫린 구멍으로 귀걸이 일측에 설치된 결합봉을 관통시킨후 그 결합봉을 타측의 결합공에 끼우거나 또는 너트를 체결하는 형태를 갖는것이 보통인데 이는 귀가 아프지 않고, 분실될 우려가 없을뿐더러 귀에 구멍을 뚫으면 그 뚫려지는 구멍에 의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이후에는 귀를 뚫는 사람이 증가하고 이에따라 귀걸이도 귀를 뚫어 구멍에 착용하는 형태의 것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귀걸이는 소재나 크기에 따라 여러종류가 있는데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약 1mm정도의 가느다란 파이프형상의 철선소재를 링형으로 만곡시켜 몸체(10)를 만든다음 일측 끝단에는 결합봉(12)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귀에 뚫린 구멍에 상기 결합봉(12)이 관통시킨후 타측의 결합공(11)속으로 들어가 고정되도록 한 귀걸이를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의 귀걸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술하면 다음과같다.
즉, 종래 귀걸이는 파이프형상의 소재를 링형으로 만곡시켜 몸체(10)를 구성하는데 상기 몸체(10)는 표면에 별다른 무늬가 없이 단순하여 이를 그대로 귀걸이로 만들 경우에는 미감이 떨어져 소비자들의 구매의욕을 저하시켜 판매부진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귀걸이를 미감있게 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의욕을 향상시켜 그만큼 매출신장을 이룰수 있도록 한 귀걸이용 소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재 몸체의 외주면을 샌딩작업하여 무광택 처리하고, 그 무광택 처리된 소재 몸체의 외주면에 무늬부를 일정간격으로 커팅 가공하여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소재몸체에 무늬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소비자에게 호감을 주는 것은 물론 소재몸체가 무광택인 상태에서 무늬부는 광택이므로 상기 무늬부가 더욱 미감있게 표출되어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향상시킬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귀걸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링형 귀걸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실시된 다각형의 귀걸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재 몸체 110 : 무늬부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링형 귀걸이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이 실시된 다각형의 귀걸이를 예시한 사시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 형상의 소재를 링형으로 만곡시켜서 귀걸이를 제작토록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소재 몸체(100)의 외주면을 샌딩작업에 의해 무광택 처리하고, 그 무광택 처리된 소재 몸체(10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커팅 가공된 무늬부(110)를 연속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소재 몸체(100)에 무늬부(110)를 형성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종래의 귀걸이에 비해 심미감을 느끼게 하여 귀걸이를 사고 싶다는 구매 충동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소재 몸체(100)에는 다수의 무늬부(110)가 소정간격 연속으로 표출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소재 몸체(100)를 링형으로 만곡시키기 전에 소재 몸체(100)에 모래를 분사하는 샌딩작업을 통하여 소재 몸체(100)의 광택을 제거한후 그 소재 몸체(100)에 무늬부(110)를 커팅가공하는데 상기 커팅가공은 다이아먼드커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소재 몸체(100)는 광택이 없는 상태에서 커팅가공으로 무늬부(110)를 형성하면 상기 무늬부(110)는 광택으로 즉, 소재 몸체(100)에서 무늬부(1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무광택이고, 무늬부(110)만이 광택으로 돋보이게 되므로 소비자들이 종래의 귀걸이에 비해 새로운 미감을 느낄수 있어 본 고안의 귀걸이를 구매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된다.
즉, 종래의 귀걸이는 몸체(10)에 무늬가 전혀없는 단순한 형상이라 소비자들이 구매의욕을 보이지 않는 것이고, 본 고안의 귀걸이는 소재 몸체(100)에 무늬부(110)가 있으며, 그 무늬부(110)는 소재 몸체(100)에 비하여 광택이 나서 상기 무늬부(110)가 더욱 돋보이면서 귀걸이 전체의 외관이 미려하여 소비자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늬부(110)는 소재 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단순하게 일직선으로 형성한 것이 아니고, 나선형으로 커팅가공되어 디자인이 더욱 미려하고, 더욱 소비자의 눈에 띄일수가 있는 것인데, 상기 무늬부(110)는 한줄 또는 두줄, 세줄이상으로 형성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귀걸이는 소재 몸체(100)를 링형으로만 제작하지 않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다각형으로 제작할수 있는 것이고, 이뿐만 아니라 삼각형,사각형,오각형등 여러형상으로 제작하여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한층더 높일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소재 몸체를 무광택으로 한후 그 소재 몸체에 광택의 무늬부를 커딩가공하므로서 종래 단순한 미감의 귀걸이에 비해 한층 미감이 돋보이도록 하여 소비자들에게 구매의욕을 불러일으켜 판매신장을 이룰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파이프 형상의 소재를 링형으로 만곡시켜서 귀걸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소재 몸체(100)의 외주면을 샌딩작업에 의해 무광택 처리하고, 그 무광택 처리된 소재 몸체(10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커팅 가공된 무늬부(110)를 연속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용 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부(110)는, 소재 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한줄 또는 두줄 이상의 나선형으로 커팅 가공된 무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용 소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몸체(100)는, 원형 또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만곡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용 소재.
KR20-2004-0020090U 2004-07-14 2004-07-14 귀걸이용 소재 KR200363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90U KR200363619Y1 (ko) 2004-07-14 2004-07-14 귀걸이용 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90U KR200363619Y1 (ko) 2004-07-14 2004-07-14 귀걸이용 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619Y1 true KR200363619Y1 (ko) 2004-10-02

Family

ID=4935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090U KR200363619Y1 (ko) 2004-07-14 2004-07-14 귀걸이용 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6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3619Y1 (ko) 귀걸이용 소재
CN210492921U (zh) 链珠嵌入式复合玉手镯
WO2015055077A1 (zh) 一种带吊坠的云形首饰
WO2015055078A1 (zh) 一种云形首饰
WO2015055079A1 (zh) 一种内部镂空的云形首饰
CN205866174U (zh) 防刮手的卷边手镯
CN212368505U (zh) 一种吊坠和戒指两用首饰结构
JP2001286313A (ja) 装飾具用ワイヤ
CN207285427U (zh) 一种具有款式转换功能的戒指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KR200463726Y1 (ko) 장식부가 가변이 되는 펜던트
JP3218355U (ja) 眼鏡フレーム
CN105996346A (zh) 一种首饰及其制作工艺
CN211021270U (zh) 一种手串
CN105495887A (zh) 一种空心银项圈的制备方法
CN206333475U (zh) 一种无焊点拼接首饰
KR101812634B1 (ko) 난반사 커팅면을 갖는 장식체인 제조방법
KR200431839Y1 (ko) 이중 반지
KR200399839Y1 (ko) 비녀
CN201349615Y (zh) 一种镂空花丝银镯
CN216932134U (zh) 可拆组可调宽窄的双螺旋结构珠宝首饰
CN217609838U (zh) 可调宽窄和佩戴尺寸的珠宝首饰
CN205125280U (zh) 首饰
CN211747431U (zh) 一种项链结构
CN211154122U (zh) 一种四叶草多环戒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