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591Y1 -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591Y1
KR200363591Y1 KR20-2004-0018892U KR20040018892U KR200363591Y1 KR 200363591 Y1 KR200363591 Y1 KR 200363591Y1 KR 20040018892 U KR20040018892 U KR 20040018892U KR 200363591 Y1 KR200363591 Y1 KR 200363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seneck
trailer
base plate
tracto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우
Original Assignee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8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 B62D53/0807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adjustable coupling saddles mounted on sub-frames; Mounting plates therefor
    • B62D53/0821Lifting saddles, i.e. to lift the trailer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륜(2)을 갖는 베드부(4)의 일단에 그 베드부(4)보다 위쪽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구즈넥부(10)가 일체로 마련되어 그 구즈넥부(10)에서 트랙터(t)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구즈넥 타입의 트레일러(1)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터(t)의 방향전환을 허용하면서 그 트랙터(t)에 수평되게 유지되는 베이스판(20)과, 상기 베이스판(20)에 힌지축(52)으로써 연결되는 브라켓수단(50)과, 공기의 유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에어스프링(32)을 베이스판(20)과 구즈넥부(10)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비하는 현가수단(30)과, 일단이 상기 브라켓수단(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즈넥부(10)에 연결된 채 확장 또는 후퇴 구동되어 상기 구즈넥부(10)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승강수단(40)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수단(40)의 구동 및 상기 에어스프링(32)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구즈넥부(10)가 베이스판(20)에 대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GOOSENECK LIFTING TYPE TRAILER}
본 고안은 에어스프링을 갖는 현가수단을 트랙터와의 연결부위인 구즈넥부에 구비하는 구즈넥 타입의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수단 및 에어스프링이 동시에 작용하여 구즈넥부가 전체적으로 승강되어질 수 있는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즈넥 타입의 트레일러는 차륜을 갖는 베드부와 그 베드부의 선단에서 굴곡지게 형성된 구즈넥부를 구비하여, 그 구즈넥부가 트랙터와 연결되어짐으로써 베드부로 하여금 비교적 낮은 위치에서 화물의 안정된 적재를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한 구즈넥 트레일러는 구즈넥부와 트랙터 사이에 현가수단을 구비하여 트랙터의 도로 주행시 진동 및 이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 에어스프링과 쇼크업조버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이 현가수단으로 채용된 구즈넥 타입의 트레일러가 제안되어진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레일러는 에어스프링의 탄성력이 압축공기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가변되어질 수 있어 적재하중, 도로사정 등에 따라 운전자가 그 에어스프링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구즈넥 트레일러는, 자체의 차륜이 도로 상의 비교적 큰 돌출물을 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으며, 돌출물을 넘는 과정에서 급작스런진동이 생겨 적재 화물에 충격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해, 본 고안자는 기존 에어스프링의 진동 완충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구즈넥부를 베이스판에 대해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도로 상의 큰 돌출물을 큰 진동없이 쉽게 넘을 수 있는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를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스프링을 갖는 현가수단이 기존의 완충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현가수단의 에어스프링과 승강수단이 구즈넥부를 동시에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도로상의 돌출물을 큰 진동없이 넘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스프링을 갖는 현가수단이 기존의 완충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현가수단의 에어스프링과 승강수단이 구즈넥부를 동시에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도로상의 돌출물을 큰 진동없이 넘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수단이 유압실린더 및 그 유압실린더가 행정이 확대된 채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하부 케이싱으로 이루어져 보다 안정되고 내구성 있는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트레일러를 전체적으로 예시한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실시예의 트레일러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들로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구즈넥부가 베이스판에 대해 승강되기 전과 승강된 후를 각각 예시한 도면.
도 3은 도 2a 및 도 2b 구즈넥 트레일러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구즈넥부 및 베이스판이 도시의 편의를 위해 일부 절개된 채 도시된 도면.
도 4는 도 3 구즈넥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일부를 위쪽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승강수단의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이 상호 슬라이딩되는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 승강수단의 구동을 위한 유압회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구즈넥부 20: 베이스판
30: 현가수단 32: 에어스프링
40: 승강수단 42: 유압실린더
50: 브라켓수단 52: 힌지축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륜을 갖는 베드부의 일단에 그 베드부보다 위쪽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구즈넥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그 구즈넥부에서 트랙터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구즈넥 승강형의 트레일러를 제공하되, 그 트레일러는 트랙터의 방향전환을 허용하면서 그 트랙터에 수평되게 유지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힌지축으로써 연결되는 브라켓수단과, 공기의 유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에어스프링을 베이스판과 구즈넥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비하는 현가수단과, 일단이 상기 브라켓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즈넥부에 연결된 채 그 구즈넥부를 확장 또는 후퇴구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수단의 구동 및 상기 에어스프링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구즈넥부가 베이스판에 대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승강수단은 유압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구즈넥부에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어진 채, 내측 상단에서 유압실린더의 일단이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부케이싱과, 상기 유압실린더를 둘러싸도록 브라켓수단 상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부케이싱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싱 및 이에 끼워지는 하부케이싱은 자체의 꼭지점이 트레일러의 전후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마름모꼴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는 구즈넥 타입의 트레일러가 전체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구즈넥 트레일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2)을 갖는 베드부(4)와 그 베드부(4)의 선단에 굴곡되게 형성된 구즈넥부(10)를 포함하며, 그 구즈넥부(10)가 베드부(4)의 위쪽에서 구동차륜(w)을 갖는 트랙터(t)의 후방 연결부(t1)에 연결되어 베드부(4)의 높이가 낮게 정해지는 구조를 이룬다.
도 2a 및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1)의 현가수단 및 승강수단을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서 구즈넥부(10)가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일러(1)는 트랙터(도 1 참조) 상의 커플러(미도시됨)와 통상의 킹핀(21)으로 연결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트랙터(t)의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면서 그 트랙터(t) 상에서 수평으로 유지되는 베이스판(20)을 구즈넥부(10) 아래쪽에 구비하고 있다.
구즈넥부(10)와 베이스판(20) 사이에는 트랙터(t)의 주행에 따른 트레일러(1)의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현가수단(30)이 설치되는데, 그 현가수단(30)은 구즈넥부(10)과 베이스판(20) 각각에 개재되어 고정되어 있는 에어스프링(32)과, 그 에어스프링(32)과 함께 차량 진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쇼크업조버(34)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도 2a 및 도 2b에는 에어스프링(32)의 상단을 구즈넥부(10)에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35), 베이스판(20)을 고정플레이트(35)에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위한 안전사슬(36), 그리고 에어스프링(32)의 레벨조정기(37) 등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상기한 에어스프링(32)은 통상의 에어스프링과 마찬가지로 압축공기의주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에어스프링(32)의 팽창, 수축은 이하 설명될 승강수단(40)이 구즈넥부(10)를 베이스판(20)에 대해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을 돕는다.
승강수단(40)은, 본 고안의 큰 특징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2a, 도 2b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승강수단(40)은, 도 2a 및 도 2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스프링(32)의 팽창과 함께 구즈넥부(10)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구즈넥부(10)의 상승은 트레일러(1)의 앞쪽부분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허용하여 그 트레일러(1)가 도로 상의 돌출물을 진동 없이 쉽게 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때, 승강수단(40)의 구동 및 에어스프링(32)의 팽창 또는 수축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마련된 조작반(미도시됨)을 조작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는 그 구체적인 기재가 생략된다.
도 2a, 도 2b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승강수단(40)은 유압구동에 의해 확장 또는 후퇴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42; 하나만이 도시됨)를 구비하며, 그 유압실린더(42) 각각은 일단이 베이스판(20)에 힌지축(52)으로써 힌지결합된 한 쌍의 브라켓수단(50; 하나만이 도시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구즈넥부(10)와 일체인 부분에 연결되어 그 구즈넥부(10)가 베이스판(20) 및 브라켓수단(50)에 대해 승강될 수 있게 해준다.
본 고안의 최적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의 승강수단(40)은 구즈넥부(10)가 베이스판(20)에 이탈 없이 얹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42)를 보호하고 그 유압실린더(42)의 행정이 확장되는 것을 가능케하는 상부 빛 하부케이싱(44, 46)을 더 포함한다.
상부케이싱(44)은 하측이 개방된 채 상기 구즈넥부(10) 상에서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구성의 향상을 위해 마름모꼴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하부케이싱(46)은 그 상부케이싱(44)의 내측면에 상응하는 마름모꼴을 가져 그 상부케이싱(44)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한편 그 하단이 브라켓수단(50) 상에 부착되는 상측 개방형의 구조를 이룬다.
이 때, 상기한 상부케이싱(44)은 유압실린더(42)의 본체부(42a)의 제 1 힌지공(420)을 관통하는 제 1 힌지볼트(421)가 제 1 힌지너트(422)에 의해 고정되어 유압실린더(42)의 본체부(42a)를 힌지식으로 고정하며, 상기 유압실린더(42)의 로드부(42a)는 자체 하단의 제 2 힌지공(423) 및 브라켓수단(50) 상의 힌지브라켓(54)을 관통하는 제 2 힌지볼트(424)가 제 2 힌지너트(425)에 의해 고정되어 그 로드부(42a)가 브라켓수단(50) 위에서 힌지식으로 연결되게끔 해준다.
이 때, 상기 유압실린더(42)는 브라켓수단(50) 상에서 상부케이싱(44)의 내측 상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편, 그 유압실린더(42)는 앞서 언급된 에어스프링(32)과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있어 그 에어스프링(32)과 함께 구즈넥부(10)를 전체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실시예의 구즈넥부(10)를 위쪽에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부케이싱(44)의 일부가 절단된 채 그 내부가 보여지도록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44), 하부케이싱(46), 그리고 유압실린더(42)는 각각 구즈넥부(10)의 좌우로 한 쌍식 마련되는 한편 그 상부케이싱(44) 및 하부케이싱(46)은 꼭지점이 전방 및 후방을 향하는 마름모꼴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부케이싱(44)과 하부케이싱(46)의 마름모꼴 구조는 트레일러(1)가 전반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점에 착안하여 형성되어진 것으로서, 이는 상부케이싱(44) 내에서의 하부케이싱(46)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하부케이싱(46)의 유동에 의한 케이싱들(44, 46)의 충격을 최소화해준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승강수단(40) 및 에어스프링(32)이 트레일러(1)의 구즈넥부(10)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트레일러(1)가 도로상의 돌출물을 쉽게 넘게하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트랙터 운전자가 도로 상의 돌출물을 발견할 때 그 운전자는 운전석에 마련된 조작반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에어스프링(32) 및 승강수단(40)을 도 2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상태로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에어스프링(32)이 팽창되는 한편, 이와 동시에, 유압실린더(42)가 확장하여 구즈넥부(10)를 베이스판(20)에 대해 상승시키게 된다. 유압실린더(42)의 확장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부케이싱(44)은 하부케이싱(46)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게 되는데, 유압실린더(42)가 완전히 확장된 상태에서도 하부케이싱(46)이 상부케이싱(44)에 끼워진 상태는 여전히 유지되어 있으므로 구즈넥부(10) 또한 베이스판(20) 위에 안정되게 얹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즈넥부(10)가 상승하면, 트레일러(1)의 앞쪽이 들어올려지게트레일러(1)의 차륜(2)이 도로상이 돌출물을 진동없이 쉽게 넘어갈 수 있게 된다.
한편, 트랙터(t) 및 이와 연결된 트레일러(1)가 일반적인 주행을 할 때는, 현가수단(30)이 구즈넥부(10)와 베이스판(20) 사이에서 통상의 구즈넥 트레일러와 유사한 완충기능을 독자적으로 수행하는데, 이는 비가동 상태의 유압실린더(42)가 브라켓수단(50)과 구즈넥부(10)를 서로 고정하고, 그 고정된 구즈넥부(10)가 브라켓수단(50)의 힌지축(52)을 중심으로 베이스판(10)에 대해 회동될 수 있음으로 해서 가능하다.
한편, 도 5는 좌, 우 한 쌍의 유압실린더(42)를 구동시키는 유압회로(6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유압회로(60)가, 유압펌프(62), 이와 관로로 연결되는 콘트롤 밸브(64), 그리고 그 콘트롤 밸브(64)로부터 받은 유체를 좌, 우 한 쌍의 유압실린더(42) 각각에 분배하여 급송하여 유량분배기(66)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레일러는, 구즈넥부가 베이스판에 대해 회동되는 상태에서는 통상의 구즈넥 타입 트레일러와 마찬가지로 현가수단에 의해 연속적인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그 구즈넥부가 베이스판에 대해 전체적으로 승강될 수 있어 그 구즈넥부의 상승시 도로상의 큰 돌출물을 쉽게 그리고 진동없이 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구즈넥부에 위로 돌출형성된 마름모꼴형의 상부케이싱과그 상부케이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케이싱이 구즈넥부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둘러싸는 구조를 이루어, 구즈넥부가 베이스판 상에 얹혀진 상태로 유압실린더의 행정 확대를 가능케하고 또한 구즈넥부와 베이스판 그리고 그 두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의 내구성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차륜(2)을 갖는 베드부(4)의 일단에 그 베드부(4)보다 위쪽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구즈넥부(10)가 일체로 마련되어 그 구즈넥부(10)에서 트랙터(t)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구즈넥 타입의 트레일러(1)에 있어서,
    트랙터(t)의 방향전환을 허용하면서 그 트랙터(t)에 수평되게 유지되는 베이스판(20)과;
    상기 베이스판(20)에 힌지축(52)으로써 연결되는 브라켓수단(50)과;
    공기의 유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에어스프링(32)을 베이스판(20)과 구즈넥부(10)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비하는 현가수단(30)과;
    일단이 상기 브라켓수단(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즈넥부(10)에 연결된 채 확장 또는 후퇴 구동되어 상기 구즈넥부(10)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승강수단(40)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수단(40)의 구동 및 상기 에어스프링(32)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구즈넥부(10)가 베이스판(20)에 대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은 양단이 구즈넥부(10) 및 한 쌍의 브라켓수단(50) 상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은,
    상기 구즈넥부(10)에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어진 채, 내측 상단에서 유압실린더(42)의 일단이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상부케이싱(44)과,
    상기 유압실린더(42)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브라켓수단(50) 상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부케이싱(44)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하부케이싱(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44) 및 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케이싱(46)은 자체의 꼭지점이 트레일러의 전후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마름모꼴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KR20-2004-0018892U 2004-07-02 2004-07-02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KR200363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892U KR200363591Y1 (ko) 2004-07-02 2004-07-02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892U KR200363591Y1 (ko) 2004-07-02 2004-07-02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593A Division KR100607150B1 (ko) 2004-07-02 2004-07-02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591Y1 true KR200363591Y1 (ko) 2004-10-13

Family

ID=4943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892U KR200363591Y1 (ko) 2004-07-02 2004-07-02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5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575B1 (ko) 액슬 캐스터 조정용의 제어장치를 가진 평행사변형 양정 차축 현가장치
CN101164802B (zh) 悬架的分组装件
US5588665A (en)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lever arm
US9517674B2 (en) Pneumatic control system for a heavy-duty vehicle
US7934734B2 (en) Suspension air spring lift kit
KR100607150B1 (ko)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KR200363591Y1 (ko) 구즈넥 승강형 트레일러
CN2913107Y (zh) 用于半挂车的液压支腿
EP0991560B1 (en) Axle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EP2774830B1 (en) System for connecting a lifting device to the suspension bracket of a vehicle
CA2188178C (en)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lever arm
EP2796340B1 (en) Quick-connection lifter device
JP2588253Y2 (ja) メインフレ−ムの緩衝装置
CN209833292U (zh) 气弹簧卡车驾仓减震器悬架总成
CN216611379U (zh) 一种改进的驾驶室气囊前悬置总成
KR100353132B1 (ko) 트럭의 피동륜 승강장치 및 방법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CN217603244U (zh) 一种汽车减震器顶胶
KR200209487Y1 (ko) 트럭의 피동륜 승강장치
CN215475417U (zh) 一种重卡驾驶室前悬置
JPH0516007Y2 (ko)
KR100475913B1 (ko) 상용차의 리프스프링과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200210788Y1 (ko)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KR200370533Y1 (ko)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브라켓트
KR20070104053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