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906Y1 -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906Y1
KR200362906Y1 KR20-2004-0018778U KR20040018778U KR200362906Y1 KR 200362906 Y1 KR200362906 Y1 KR 200362906Y1 KR 20040018778 U KR20040018778 U KR 20040018778U KR 200362906 Y1 KR200362906 Y1 KR 200362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door
hinge shaft
support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헌 호 신
Original Assignee
헌 호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 호 신 filed Critical 헌 호 신
Priority to KR20-2004-0018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제1힌지축(11)이 형성된 제1지지판(10)과, 일측에 제2힌지축(21)이 형성된 제2지지판(20)과, 상기 제1지지판(10)의 제1힌지축(11)과 제2지지판(20)의 제2힌지축(21)을 동일선상에 축결합시키는 핀축(30) 및,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40),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무패드(50),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60)로 구성되어, 여닫이문과 문틀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지면과의 마찰과 무관하게 구비되어 마찰접촉에 의해 마모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닫이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A device for preventing a opening and shutting door from shut }
본 고안은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닫이문과 문틀사이에 탈착가능하게 끼워 넣어 여닫이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닫히지 않게 하는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은 문틀에 힌지결합되어 선회함으로써 열거나 닫게 되는데, 환기나 잦은 출입을 위해 문이 열린 상태로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문의 하부에 스토퍼부재(110)를 아래쪽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스토퍼부재(110)를 아래로 내려 바닥에 마찰접촉시켜 문을 고정시키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재(110)의 하단에는 지면과 마찰접촉하는 지지고무(120)가 구비되는데 마찰접촉에 의해 마모될 경우 지지력이 저하되어 문을 제대로 고정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고무(120)가 마모되면 교체해야 하므로 지지고무(120)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한번 마모되면 그대로 방치됨으로써 오히여 문을 여닫는데 장애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닫이문과 문틀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지면과의 마찰과 무관하게 구비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여닫이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제1힌지축이 형성된 제1지지판과, 일측에 제2힌지축이 형성된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제1힌지축과 제2지지판의 제2힌지축을 동일선상에 축결합시키는 핀축 및,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무패드,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 분해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지지판 11 : 제1힌지축
20 : 제2지지판 21 : 제2힌지축
30 : 핀축 40,40' : 탄성스프링
41 : 스프링 지지브라켓 50 : 고무패드
60 : 손잡이부 D : 여닫이문
F : 문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는, 일측에 제1힌지축(11)이 형성된 제1지지판(10)과, 일측에 제2힌지축(21)이 형성된 제2지지판(20)과, 상기 제1지지판(10)의 제1힌지축(11)과 제2지지판(20)의 제2힌지축(21)을 동일선상에 축결합시키는 핀축(30) 및,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40),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무패드(50),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판(10)은 양단이 제1힌지축(1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20)은 양단이 제2힌지축(2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은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되 제1힌지축(11)과 제2힌지축(21)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핀축(3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판(10)은 제1힌지축(11)을 중심으로 일측이 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지렛대 원리에 의해 제1지지판(10)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고, 제2지지판(20) 또한 제1지지판(10)과 동일하게 제2힌지축(21)을 중심으로 일측이 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핀축(30)은 제1힌지축(11)과 제2힌지축(21)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을 힌지결합시키고, 일측 외주면에 탄성스프링(40)을 끼워 지지한다.
상기 탄성스프링(40)은 링스프링으로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핀축(30)의 외주면에 끼워져 지지되며, 일측이 제1지지판(10)을 지지하고 타측이 제2지지판(20)을 지지하고, 양단이 서로 수직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을 수직하게 벌어지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은 여닫이문(D)과 문틀(F)의 일측을 각각 지지하게 되고, 탄성스프링(40)에 의해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여닫이문(D)을 열린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40')은 판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일측에 스프링 지지브라켓(41)이 구비되어 판스프링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이 벌어지는 힘을 작용시키게 되며, 외력에 의해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사이에서 절곡됨으로써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을 근접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무패드(50)는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여닫이문(D)이나 문틀(F)과 마찰접촉함으로써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이 여닫이문(D)이나 문틀(F)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되어 여닫이문(D)의 미동에 의해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무패드(50)는 제1힌지축(11)이나 제2힌지축(21)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1쌍의 고무패드(50)가 여닫이문(D)의 수직한 2개 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한편, 다른 1쌍의 고무패드(50)가 문틀(F)의 수직한 2개 면을 동시에 지지하게 됨으로써 고무패드(50)의 마찰력이 문틀(F)에 대하여 여닫이문(D)을 고정시키는 지지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여닫이문(D)은 상기 탄성스프링(40)의 탄성력과 2쌍의 고무패드(50)에 의한 마찰력으로 열린 상태에서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60)는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일측에 1쌍이 서로 마주보게 고정되어 구비됨으로써 손가락을 사용하여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을 서로 포개어지는 방향으로 오므릴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에 각각 구비된 1쌍의 손잡이부(60)를 손으로 잡아 오므린 상태에서 핀축(30)을 중심으로 손잡이부(60)의 반대편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을 문틀(F)과 여닫이문(D)의 사이로 삽입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부(60)에서 손을 떼게 되면 탄성스프링(40)에 의해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이 서로 수직하게 벌어지면서 여닫이문(D)과 문틀(F)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이 문틀(F)과 여닫이문(D)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60)를 손으로 잡게 되면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이 포개어지면서 문틀(F)과 여닫이문(D)의 사이를 빠져 나올 수 있게 됨으로써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60)를 손으로 잡게 되면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 사이의 사잇각이 작아지면서 여닫이문(D)과 문틀(F)의 사이 틈새를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에 의하면, 여닫이문과 문틀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지면과의 마찰과 무관하게 구비되어 마찰접촉에 의해 마모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닫이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여닫이문과 문틀의 사이공간에 구비되어 여닫이문이 열린 상태에서 닫히지 않게 지지하는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제1힌지축(11)이 형성되고, 양단이 제1힌지축(1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지지판(10)과;
    일측에 제2힌지축(21)이 형성되고, 양단이 제2힌지축(2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판(10)과 교차되게 결합되는 제2지지판(20)과;
    상기 제1지지판(10)의 제1힌지축(11)과 제2지지판(20)의 제2힌지축(21)을 동일선상에 축결합시키는 핀축(30) 및;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여닫이문이나 문틀과 마찰접촉하는 고무패드(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10)과 제2지지판(20)의 일측에 손잡이부(60)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KR20-2004-0018778U 2004-07-02 2004-07-02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KR200362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78U KR200362906Y1 (ko) 2004-07-02 2004-07-02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78U KR200362906Y1 (ko) 2004-07-02 2004-07-02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906Y1 true KR200362906Y1 (ko) 2004-09-22

Family

ID=4935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778U KR200362906Y1 (ko) 2004-07-02 2004-07-02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9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60B1 (ko) 2022-07-13 2022-09-27 윤중재 여닫이문의 충격소음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60B1 (ko) 2022-07-13 2022-09-27 윤중재 여닫이문의 충격소음 방지장치
WO2024014796A1 (ko) * 2022-07-13 2024-01-18 윤중보 여닫이문의 충격소음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326527A (zh) 油壓鉸鍊
JP2006139008A5 (ko)
TW201311991A (zh) 鉸鏈
JP2007291830A (ja) 複合型ドアチェッカ
KR200362906Y1 (ko) 여닫이문 닫힘 방지장치
JPH11184024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20100055798A (ko) 다기능 경첩
JP4557560B2 (ja) ドアヒンジ、および取外し可能ドアチェック装置
KR20120093081A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JP2008257256A (ja) 眼鏡用ばね蝶番
KR200367636Y1 (ko) 페달식 도어스토퍼
KR20090111942A (ko) 도어 고정 및 닫힘 방지기
KR20050030916A (ko) 반자동식 도어스토퍼
JP2004060320A (ja) ヒンジ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折りたたみ回転扉
US20070284063A1 (en) Table utility bay door assembly
KR100787158B1 (ko) 상다리 절첩장치
JPH11174597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20090075303A (ko) 도어고정장치가 내장된 여닫이 도어
KR200403910Y1 (ko)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
JP5495755B2 (ja) 窓用開閉調節器
JP2002121960A (ja) ドア用自在ストップ装置
DE602007004583D1 (de) Scharnier für fenster, türen und dergleichen
KR960010915B1 (ko)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 자동 오픈장치
JPS5854535Y2 (ja) 家具等における扉の支持装置
KR20000017701U (ko) 링크식 경첩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