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894Y1 - 유브이인쇄용 다이 - Google Patents

유브이인쇄용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894Y1
KR200362894Y1 KR20-2004-0018680U KR20040018680U KR200362894Y1 KR 200362894 Y1 KR200362894 Y1 KR 200362894Y1 KR 20040018680 U KR20040018680 U KR 20040018680U KR 200362894 Y1 KR200362894 Y1 KR 200362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ipe
connection part
die
re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한석
Original Assignee
양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한석 filed Critical 양한석
Priority to KR20-2004-0018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8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8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41F23/0476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UV인쇄에 사용되는 인쇄용 다이에 관한 것으로 UV인쇄잉크로 인쇄한 후 건조를 위한 자외선의 주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UV인쇄후에 자외선을 주사토록 할 경우에 발생되는 열의 제거를 위하여 사용되는 인쇄용 다이는 알루미늄에 의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바를 중첩되게 연결토록 하고 그 바의 내부로 냉수를 흘러보냄으로서 열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통기성이 없기 때문에 열의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열전도가 우수한 동파이프를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연결토록 함으로서 동파이프의 굴곡면과 연결부속의 밀착에 다른 동파이프 사이의 통기로에 의하여 냉각효율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UV인쇄용 다이.

Description

유브이인쇄용 다이{A table printing used for UV}
본 고안은 UV인쇄에 사용되는 인쇄용 다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UV인쇄잉크로 인쇄한 후 건조를 위한 자외선의 주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형태의 변형이 우려되어지는 부분에 적용되어지는 것이다.
현재 UV인쇄의 장점은 어떠한 조건에서도 인쇄가 가능하고 특히 자외선에 의하여 변색이 안 된다는 것이어서 많은 인쇄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인쇄잉크가 묽기 때문에 즉시 건조치 아니하면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UV인쇄 후에는 즉시 자외선을 주사토록 함으로서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외선은 상당한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열에 의하여 형태의 변형이 우려되는 플라스틱 시트나 필름등에는 UV인쇄가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인쇄용 다이에 냉수를 흘러보냄으로서 자외선에 의하여 발생되어지는 열기를 제거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통상 알루미늄에 의하여 압출성형되어지는 직사각형의 바를 서로 중첩되게 끼워지도록 연결토록 하고 그 바의 내부로 냉수를 흘러보냄으로서 열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시트와 다이 사이에 틈새가 없기 때문에 통기가 용이치 아니하여 전적으로 냉수의 흐름에 의하여 냉각을 유도함으로 냉수의 수온이 상승하게 됨으로 냉각효율이 떨어지거나 경제성을 상실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직사각형의 바에 방열판을 돌출되게 장착토록 함으로서 틈새에 의한 통기가 가능토록 하여 냉각효율을 증대토록 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에는 시트와 알루미늄바의 밀착력이 떨어져 시트에 직접전달되어지는 열기의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굴곡단면을 갖는 파이프를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연결토록 함으로서 연결부속에 의한 파이프사이의 관통되는 통기로가 형성되어지고 파이프 자체의 굴곡부에 의하여 수평이동되어지는 통기로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냉수의 냉각은 물론 통기로에 의한 통기에 의하여 냉각효율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1A는 파이프의 굴곡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연결부속으로 파이프가 연결되어지는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3은 파이프의 연결되어진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A부분의 확대도.
도4A는 ┳형 연결부속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B부분의 확대도.
도 6은 C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종래 것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파이프 11: 연결부속
12: 굴곡부 13: 통기로
14: 입구 15: 출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구조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으로 된 파이프(10)를 ┓형과 ┳형의 연결부속(11,11a)에 각각 끼워 고정토록 함으로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이(10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다이(100)의 중앙에는 ┳형 연결부속(11a)을 이용하여 파이프(10a)를 끼워 고정하여 연결토록 하는 것이고, ┳형 연결부속(11a)의 좌우로는 ┓형 연결부속(11)을 이용하여 연속되게 파이프(10b)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파이프(10b)에 연결되어진 ┓형 연결부속(11)의 일측은 또 다른 파이프와 연결되어지지 않게 되면서 냉수의 입구(14)로 구성되어지는 것이고, 연결되어진 마지막의 파이프(10c)에 연결된 연결부속(11)의 일측도 출구(15)로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속(11)의 연결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속(11)의 경사진 규칙적인 배열에 의하여 인쇄를 위한 시트의 평면상태가 우수하게 되는 것이고, 파이프(10) 자체의 굴곡부(12)에 의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는 통기로(13a)에 의하여 냉각효율이 향상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파이프(10)를 흐르는 냉수에 대하여도 연결부속(11)에 의하여 파이프(10)의 사이로 형성되는 관통되어진 통기로(13)에 의하여 파이프(10)의 내로 흐르는 냉수자체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 냉각효율 또한 우수하게 되면서 경제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형 연결부속을 사용치 아니하고 파이프만을 연결토록 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연결부속(11)은 가능하면 파이프(10)가 연결되어지는 부분으로는 확관부(16)로 구현토록 함으로서 확관되어진 정도만큼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통기로(13)가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파이프(10) 자체의 굴곡부(12)에 의하여 시트(200)가 다이(100)와 마노은 면적으로 밀착되어지지 않게 됨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는 통기로(13a)의 확보에 따른 냉각효율의 향상과 또 다른 관통되어진 통기로(13)는 파이프(10) 내를 흐르는 냉수의 냉각을 유도하게 됨으로 경제적이고 원활한 냉각효율의 증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이프에 놓여진 시트 등이 통기로에 의한 냉각효율의 향상은 물론 관통된 통기로에 의하여 앤수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 냉각효율이 향상토록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굴곡부를 갖는 파이프가 ┓형 연결부속에 의하여 직관의 파이프가 각각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게 되면서 파이프의 사이로는 통기로가 형성되는 다이; 상기 다이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중앙에는 연결부속의 일측단이 입구로 이루어지고 외측으로는 연결부속의 일측이 출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UV인쇄용 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연결부속의 확관부 내측으로 끼워져 연결부속(11)의 확관부(16)에 의하여 파이프의 사이로 관통되어진 통기로(1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UV인쇄용 다이.
  3. 제1항에 있어서, 다이(100)의 중앙에는 ┳형 연결부속(11a)에 의하여 파이프(10a)가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UV인쇄용 다이.
KR20-2004-0018680U 2004-07-01 2004-07-01 유브이인쇄용 다이 KR200362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680U KR200362894Y1 (ko) 2004-07-01 2004-07-01 유브이인쇄용 다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680U KR200362894Y1 (ko) 2004-07-01 2004-07-01 유브이인쇄용 다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894Y1 true KR200362894Y1 (ko) 2004-09-22

Family

ID=4935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680U KR200362894Y1 (ko) 2004-07-01 2004-07-01 유브이인쇄용 다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8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8502A (ko) 콜게이트핀형 열교환기
KR101183292B1 (ko)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DE60117693D1 (de) Rippenplattenwärmetauscher
WO2004061908A3 (en) Cooling apparatus having low profile extrus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e
DE502005009298D1 (de) Decke, insbesondere Kühl- oder Heizdecke
JP2009099740A (ja) 筐体の冷却装置
KR20100004724A (ko) 열교환기
KR200362894Y1 (ko) 유브이인쇄용 다이
JP2000213889A (ja) 熱交換器のチュ―ブプレ―ト
KR101293598B1 (ko) 수냉 및 공냉식 구조의 저중량 냉각패널을 갖는 진공 성형장치용 금형 냉각장치
BR0318023A (pt) Trocador de calor, especialmente refrigeradora a gás
KR100532689B1 (ko) 슬림형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컴퓨터의 수냉식 냉각장치 및 에어컨디셔너
CN209120571U (zh) 一种散热器
US20150180311A1 (en) Motor controller with cooling function and cooling method for cooling a motor controller
CN218916035U (zh) 一种板式换热器
JP2003181837A (ja) 冷却機構を有する加熱盤
CN209546209U (zh) 一种分布式自然对流散热机柜
CN2506175Y (zh) 一种散热装置的传热水箱
CN211843093U (zh) 一种pvc管材加工用快速冷却装置
CN210336789U (zh) 一种自动化芳杂环高分子薄膜热定型装置
KR20090006320U (ko) 폐열회수장치의 핀플레이트
KR200254326Y1 (ko) 온풍기
KR200172424Y1 (ko) 열교환기용 방열핀
JP2006202800A (ja) 半導体素子の冷却装置
KR100638909B1 (ko) 플라스틱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