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424Y1 - 열교환기용 방열핀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방열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424Y1
KR200172424Y1 KR2019990021003U KR19990021003U KR200172424Y1 KR 200172424 Y1 KR200172424 Y1 KR 200172424Y1 KR 2019990021003 U KR2019990021003 U KR 2019990021003U KR 19990021003 U KR19990021003 U KR 19990021003U KR 200172424 Y1 KR200172424 Y1 KR 200172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heat
air
tub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1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4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콘등의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공기와 접촉하면서 냉매순환용 튜브에서 전달된 열을 방열하도록 된 방열핀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을 상기 튜브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설치하고 이 방열핀의 각 굴곡부 단부에 공기접촉부를 형성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방열핀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용 방열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냉매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유입된 냉매가 순환한 뒤 이를 배출시키는 유출관으로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유입,유출관과 내통되며 복수의 냉매유로를 폭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튜브(1)를 설치하고 이 튜브(1)들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에 의한 열을 방출시키고 공기에 열을 전달하면서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열핀(2)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2)에 다수의 방열공(3)을 형성하여 이를 상기 튜브(1)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방열핀(2)의 굴곡부 공기 유입부에는 공기접촉부(4)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용 방열핀 {Radiation fin for heat exchanger}
본 고안은 에어콘등의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공기와 접촉하면서 냉매순환용 튜브에서 전달된 열을 방열하도록 된 방열핀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을 상기 튜브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설치하고 이 방열핀의 각 굴곡부 단부에 공기접촉부를 형성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방열핀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용 방열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콘등과 같은 열교환기의 응축기는 상호 이격되면서 냉매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유입된 냉매가 순환한 뒤 이를 배출시키는 유출관으로 구성되는 헤더파이프를 설치하고 이 헤더파이프들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유입,유출관과 내통되며 복수의 냉매유로를 폭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튜브를 설치하고 이 튜브들 사이에는 상기 냉매에 의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열핀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종래의 방열핀(201)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튜브(1)들의 사이에 파형상태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열핀(201)의 표면에는 다수의 방열공(301)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열핀(201)의 공기 유입부분은 개방상태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상기 방열핀(20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방열핀(201)의 길이방향으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공기가 방열핀(201)의 개방부(401)로 유입되면서 통과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개방부에서는 공기가 단순히 통과하는 정도에 불과하게 되고 이 통과 되는 공기가 상기 방열공(301)으로 이동되는 량이 적어 그 방열효과가 현저히 저하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방열핀(201)이 튜브(1)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튜브(1)에 하중이 가해징 경우, 상기 방열핀(201)이 쉽게 손상되어 그 방열효율이 저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에어콘등의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공기와 접촉하면서 냉매순환용 튜브에서 전달된 열을 방열하도록 된 방열핀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을 상기 튜브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설치하고 이 방열핀의 각 굴곡부 단부에 공기접촉부를 형성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방열핀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용 방열핀을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방열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방열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방열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튜브
2 : 방열핀
3 : 방열공
4 : 공기접촉부
냉매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유입된 냉매가 순환한 뒤 이를 배출시키는 유출관으로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유입,유출관과 내통되며 복수의 냉매유로를 폭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튜브(1)를 설치하고 이 튜브(1)들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에 의한 열을 방출시키고 공기에 열을 전달하면서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열핀(2)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2)에 다수의 방열공(3)을 형성하여 이를 상기 튜브(1)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방열핀(2)의 굴곡부 공기 유입부에는 공기접촉부(4)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냉매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유입된 냉매가 순환한 뒤 이를 배출시키는 유출관으로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유입,유출관과 내통되며 복수의 냉매유로를 폭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튜브(1)를 설치하고 이 튜브(1)들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에 의한 열을 방출시키고 공기에 열을 전달하면서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열핀(2)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2)에 다수의 방열공(3)을 형성하여 이를 상기 튜브(1)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방열핀(2)의 굴곡부 공기 유입부에는 공기접촉부(4)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방열핀(2)을 수직상태로 설치하므로서 상기 튜브(1)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방열핀(2)에서 상기 하중을 수직으로 받게되어 서포트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방열핀(2)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 상기 방열핀(2)에 다수의 방열공(3)을 형성하되, 그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도 3에서와 같이 대향되는 상태로 형성하고 그 굴곡부에는 공기접촉부(4)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방열핀(2)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이 공기가 그대로 통과하지 않고 상기 방열핀(2)의 전체와 접촉하면서 통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벙열핀(2)의 방열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상기 공기와의 접촉이 많게 되므로 열전달 효율이 높게 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열효율이 크게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튜브(1)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열핀(2)에 상호 대향되게 절개되는 방열공(3)을 형성하고 이의 일방 굴곡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지 않고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공기접촉부(4)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공기와 방열핀(2)의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접촉면적의 확대로 열전달 효율과 열교환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열핀을 튜브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설치하므로서 이 방열핀들이 상기 튜브의 서포트 역할을 하게 되고 방열핀의 손상이 방지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열교환기에 다수의 튜브(1)를 설치하고 이 튜브(1)들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에 의한 열을 방출시키고 공기에 열을 전달하면서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열핀(2)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튜브(1)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열핀(2)에 상호 대향되게 절개되는 방열공(3)을 형성하고 이의 일방 굴곡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지 않고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접촉부(4)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방열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2)을 상기 튜브(1)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설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방열핀.
KR2019990021003U 1999-09-30 1999-09-30 열교환기용 방열핀 KR200172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003U KR200172424Y1 (ko) 1999-09-30 1999-09-30 열교환기용 방열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003U KR200172424Y1 (ko) 1999-09-30 1999-09-30 열교환기용 방열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424Y1 true KR200172424Y1 (ko) 2000-03-15

Family

ID=1959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003U KR200172424Y1 (ko) 1999-09-30 1999-09-30 열교환기용 방열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4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63B1 (ko) * 2003-03-26 2007-10-05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열교환기용 절결 창을 갖는 인너 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63B1 (ko) * 2003-03-26 2007-10-05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열교환기용 절결 창을 갖는 인너 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32582A (ja) 空気調和装置
KR101184208B1 (ko) 열교환기
US6334326B1 (en) Fin tube type evaporator in air conditioner
JP4068312B2 (ja) 炭酸ガス用放熱器
KR200172424Y1 (ko) 열교환기용 방열핀
KR19980071122A (ko) 일체형 열교환기
KR100363318B1 (ko) 열교환기의 방열핀
KR100740697B1 (ko) 열교환기용 방열핀
KR100368664B1 (ko) 열교환기의 냉매튜브
KR100344993B1 (ko) 열교환기용 콘덴서
US1198245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electric control box
KR101186552B1 (ko) 열교환기
KR100357131B1 (ko) 세경관형 열교환기
KR100420515B1 (ko) 열교환기
KR20070064957A (ko) 열교환기용 방열핀
KR20050047849A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344994B1 (ko) 열교환기용 적층형 증발기의 유로
KR100375609B1 (ko) 열교환기의 냉매튜브
KR100368665B1 (ko) 이중 콘덴서형 열교환기
KR100318229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20030063980A (ko) 평행유동형 열교환기
KR200359804Y1 (ko) 열교환기의 배플 고정구조
KR20150127954A (ko) 열교환기용 루버 핀 및 이를 구비하는 루버 핀형 열교환기
KR200225638Y1 (ko) 차량용 열교환기
KR200274143Y1 (ko) 열교환기의 냉매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