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762Y1 -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762Y1
KR200362762Y1 KR20-2004-0016376U KR20040016376U KR200362762Y1 KR 200362762 Y1 KR200362762 Y1 KR 200362762Y1 KR 20040016376 U KR20040016376 U KR 20040016376U KR 200362762 Y1 KR200362762 Y1 KR 200362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member
horizontal bar
formwork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언
Original Assignee
아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인텍(주) filed Critical 아인텍(주)
Priority to KR20-2004-0016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7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에 관것으로서, 특히 거프집 받침 지그와 수평바등의 고정 수단에 관한 것이다. 고정부재(10)의 길이 방향 좌,우측 끝단에 길이가 다른 지지부재를 구성하여 수평바(200)에 고정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지지부재(11,12)와 고정부재(10)의 절곡부(12a)에 다수의 보강돌기13)를 형성하여 고정부재(10)와 지지부재(11,12)를 보강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일측의 지지부재(12)에 깊이가 다르게 밀착돌기(14)를 수직으로 형성하여 고정부재를 고정시 조립편차가 있더라도 강한 밀착력을 갖을 수 있게 하였으며, 고정부재(10)의 폭방향의 앞뒤 끝단에 고정판(15)를 형성하고, 일측에 위치한 고정판(15)에 관통공(15a)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의 고정판(16)에 장공(16a)을 형성하여 고정핀(17)을 삽입 구성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고정핀(17)의 양쪽 끝단을 일정부분 절곡하여 고정핀(17)을 수평바(200)에 삽입 고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고정부재(10)와 고장판(17)의 절곡부(12b)에 다수의 접촉돌기(18)를 구성하여 고정부재(10)를 수평바(200)에 삽입 고정시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분해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였으며, 끼움구(19)를 형성하여 다수의 고정부재(10)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한 콘크리드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A concete building mold support fix material}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에 관것으로서, 특히 거프집 받침 지그와 수평바 등의 고정 수단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는 거푸집 받침 지그와 수평바를 고정하는 것을 거푸집 받침 지그에고정 구성된 고정대를 수평바에 구성된 장공내로 삽입하여 고정대를 회전 고정하는 것이었다. 이는 거푸집 받침 지그에 고정되어 별도의 설치 공정이 필요치 않아 구성이 간단하여 좋았으나, 거푸집 받침 지그에 수평바를 설치 고정시 약간의 편차에도 헐겁게 조립되거나 조립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곤 하였다. 이로인해 작업시 높이나 간격들을 다시 조정하여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늘어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자의 작업숙련도가 좋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상이한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를 보완하여, 별도의 고정부재를 두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 없이 거푸집 받침 지그와 수평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야 하고, 작업 시간의 단축과 거푸집 받침 지그와 수평바의 강한 고정력을 갖을 수 있게 하여야 하며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성하여야 하므로 고정부재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 좌,우측 끝단에 길이가 다른 지지부재을 구성하였으며, 상기 지지부재와 고정부재의 절곡부에 다수의 보강돌기를 형성하여 고정부재와 지지부재를 보강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일측의 지지부재에 깊이가 다르게 밀착돌기를 수직으로 형성하였으며, 고정부재의 폭방향의 앞뒤 끝단에 고정판을 형성하여, 일측에 위치한 고정판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의 고정판에 장공을 형성하여 고정핀을 삽입 구성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고정핀의 양측 끝단을 일정부분 절곡하여 고정핀을 수평바에 삽입 고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고정부재와 고정판의 절곡부에 다수의 접촉돌기를 구성하였으며, 끼움구를 형성하여 보관 및 이동을 준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프집 받침 고정부재를 나따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집 받침 고정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집 받침 고정부재의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10 : 고정부재 11,12 : 지지부재 13 : 보강돌기
14 : 밀착돌기 15,16 : 고정판 17 : 고정핀
18 : 접촉돌기 19 : 끼움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고정부재(10)의 길이 방향 좌,우측 끝단에 길이가 다른 지지부재(11,12)을 구성하여 수평바(200)에 고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지지부재(11,12)와 고정부재(10)의 절곡부(12a)에 다수의 보강돌기(13)을 형성하여 고정부재(10)와 지지부재(11,12)를 보강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일측의 지지부재(12)에 깊이가 다르게 밀착돌기(14)를 수직으로 형성하여 고정부재(10)를 고정시 조립편차가 있더라도 강한 밀착력을 갖을 수 있게 하였으며, 고정부재(1)의 폭방향의 앞뒤 끝단에 고정판(15,16)를 형성하고, 일측에 위치한 고정판(15)에 관통공(15a)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의 고정판(16)에 장공(16a)을 형성하여 고정핀(17)을 삽입 구성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고정핀(17)의 양쪽 끝단을 일정부분 절곡하여 고정핀(17)을 수평바(200)에 삽입 고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고정부재(10)와 고정판(15,16)의 절곡부(12b)에 다수의 접촉돌기(18)를 구성 하였으며, 끼움구(19)를 형성하여 다수의 고정부재(10)의 이동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로서, 본 고안이 거푸집 받침 지그에 조립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를 나타내는측면도로서, 도2에서 도시된 바를 측면에서 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에 다수의 거푸집 받침 지그(100)를 설치 구성하고, 거푸집 받침 지그(100)의 일측에 구성된 지지대(100a) 위에 수평바(200)를 설치 구성하여, 수평바(200)의 일측부에 수평바 지지용 엔드바(300)를 구성하였으며,
상기 수평바(200)의 상단면에 다수의 장공(200a)을 구성하여 장공(200a)의 내측부로 고정부재(10)에 구성된 고정판(15,16)을 삽입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정판(15,16)에 구성된 고정핀(17)을 수평바(200)와 지지대(100a)의 결합부 밑으로 밀어너어 수평바(200)와 거푸집 받침 지그(100)를 간단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10)와 고정판(15,16)의 절곡부(12b)에 다수의 접촉돌기(18)를 구성하여 접촉돌기(18)가 수평바(200)의 장공(200a)면과 접촉하여 고정부재(10)와의 일정 간격을 두게하여 장공(10)면에서 분해가 용이하게 한 것이며, 고정부재(10)의 죄우측 끝단에 지지부재(11,12)를 구성하여 수평바(200)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일측의 지지부재(12)에 깊이가 다른 밀착돌기(14)를 구성하여 고정부재(10)가 수평바(200)에 고정시 일정량의 조립편차가 있더라도 밀착돌기(14)에 의해 강한 고정력을 갖을 수 있게 하였으며, 고정부재의 상단 일측면에 끼움구(19)를 형상하여 고정부재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지지부재에 구성된 밀착돌기에 의해 일정량의 편차가 있더라도 밀착돌기에 의해 강하게 밀착할 수 있게 하였으며, 고정판에 형성된 접촉돌기에 의해 고정부재와 수평바 내의 장공면에 형성된 틈으로 인해 분해시 장공면에 고정부재가 걸려 분해가 잘 안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고정핀을 끼워넣는 형태를 이용하여 작업 숙련도에 관계 없이 조립이 용이하게 하였고, 고정부재를 보강하기 위해 지지부재와 고정부재의 절곡부에 보강돌기를 형성하여 보다 튼튼하게 고정력을 갖게 하였으며, 고정부재의 상단면에 끼움구를 형성하여 다수의 고정부재를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받침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받침대의 수평바(200)와 거푸집 받침 지그(100)를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길이 방향 좌우측 끝단에 길이가 다른 지지부재(11,12)를 구성하여 거푸집 받침 지그(100)와 수평바(200)에 고정 할 수 있게 한 것과, 상기 지지부재(11,12)와 고정부재(10)의 절곡부(12a)에 다수의 보강돌기(13)를 형성하여 고정부재(10)와 지지부재(11,12)를 보강할 수 있게 한 것과, 고정부재(10)의 일측에 구성된 지지부재(12)에 깊이가 다른 밀착돌기(14)를 형성하여 고정부재(10)을 고정시 일정량의 조립편차가 있더라도 강한 밀착력을 갖을 수 있게 한 것과, 고정부재(10)의 폭방향의 앞뒤 끝단에 고정판(15,16)를 형성 한 것과, 상기 고정부재(10)에 형성된 고정판(15)의 일측에 관통공(15a)을 형성 한 것과, 다른 일측의 고정판(16)에 장공(16a)을 형성 한 것과, 상기 고정판(15,16)에 형성된 관통공(15a)과 장공(16a)에 고정핀(17)을 삽입 구성한 것과, 상기 고정핀(17)의 양쪽 끝단을 일정부분 절곡하여 고정핀(17)을 수평바(200)의 장공(200a)에 삽입 고정할 수 있게 한 것과, 수평바(200)에 고정된 고정판(15,16)의 면과 수평바(200)의 장공(200a)면에 일절량의 간격을 주어 분해시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고정부재(10)와 고정판(15,16)의 절곡부(12b)에 다수의 접촉돌기(18)를 형성하여 점접촉을 할 수 있게 한 것과, 고정부재(10)의 상측면에 끼움구(19)를 형성하여 다수의 고정부재(10)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
KR20-2004-0016376U 2004-06-11 2004-06-11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 KR200362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376U KR200362762Y1 (ko) 2004-06-11 2004-06-11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376U KR200362762Y1 (ko) 2004-06-11 2004-06-11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762Y1 true KR200362762Y1 (ko) 2004-09-22

Family

ID=4943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376U KR200362762Y1 (ko) 2004-06-11 2004-06-11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7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27Y1 (ko)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KR20060090975A (ko) 플로어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WO2009035226A2 (en) Method and system for holding yoke on support
KR101163134B1 (ko) 다양한 형태를 갖는 체결패널 및 원터치 방식의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
KR200362762Y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
JP5574316B2 (ja) 組立式収納家具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連結具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100516848B1 (ko) 앵커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 거푸집 체결 구조
KR101379897B1 (ko)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
KR200412766Y1 (ko) 거푸집판 체결부재
KR200433422Y1 (ko) 벽체 배수판
KR200375116Y1 (ko) 천정판 설치용 연결거푸집
KR20200022123A (ko)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KR20200105058A (ko)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KR200336921Y1 (ko) 전원 스위치 박스 연결구조
KR200394623Y1 (ko) 유로폼 보강재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JP4446127B2 (ja) 基礎コンクリート形成用型枠の支持具
KR100742152B1 (ko) 벽체 배수판
CN110273505B (zh) 圈梁模块、圈梁、建筑体及构筑方法
KR200493898Y1 (ko) 유로폼 거푸집의 상단 부재의 체결 기구
JP2006161400A (ja) 基礎構築用の支持具及びその取付構造
KR20180056178A (ko) 벽면 점검 기능을 가지는 벽체 배수판
KR200436397Y1 (ko) 알루미늄폼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KR200288410Y1 (ko)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