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665Y1 - 고하중용 축이음 - Google Patents

고하중용 축이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665Y1
KR200362665Y1 KR20-2004-0017418U KR20040017418U KR200362665Y1 KR 200362665 Y1 KR200362665 Y1 KR 200362665Y1 KR 20040017418 U KR20040017418 U KR 20040017418U KR 200362665 Y1 KR200362665 Y1 KR 200362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joint
driven shaft
shafts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배식
Original Assignee
박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배식 filed Critical 박배식
Priority to KR20-2004-0017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이 수시로 변동되는 원동축(1)과 종동축(2)을 연결하는 고하중용 축이음에 관련된다. 구성에 있어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상기 원동축(1)과 종동축(2)의 끝단을 삽입고정하는 체결구멍(10b)(10b')을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 6각 형태로 개방된 이음축홈(10a)(10a')이 형성되는 플랜지(10)(10'); 상기 플랜지(10)(10')의 이음축홈(10a)(10a')상에 삽입되도록 6각볼 형태로 제작되고, 일측에 장착판(22)(22')이 구비되는 이음축(20)(20'); 및 상기 이음축(20)(20')의 장착판(22)(22')이 양단에 장착되고,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제작되는 중간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중장비, 압연기, 제지기, 각종산업기계 등에 설치되어 고하중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동축과 종동축을 축이음함에 있어 2개의 축이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이 수시로 변동되더라도 고하중의 동력전달이 용이함과 더불어 순간적인 회전모멘트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또한 원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거리변화에 대응하도록 축유동을 허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하중용 축이음{The high torque for shaft coupling}
본 고안은 고하중용 축이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장비, 압연기, 제지기, 각종산업기계 등에 설치되어 고하중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동축과 종동축을 축이음함에 있어 2개의 축이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이 수시로 변동되더라도 고하중의 동력전달이 용이함과 더불어 순간적인 회전모멘트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또한 원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거리변화에 대응하도록 축유동을 허용하는 고하중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하중의 회전력을 요구하는 중장비, 압연기, 제지기, 각종 산업기계 등은 감속기를 통하여 모터 또는 엔진의 회전력을 극대화한다. 감속기는 원동축을 통하여 본체의 종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바, 이때 일반 커플링으로는 편심, 편각, 축유동 등을 수용할 수 없는 곳에 유니버설조인트를 설치한다. 유니버설조인트는 원동축과 종동축이 동축상에 설치되지 않더라도 원동축의 동력을 종동축으로 용이하게 전달한다.
일예로서, 평행하는 한 쌍의 롤러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강괴를 판이나 봉으로 자유롭게 가공하는 압연기의 경우 롤러를 개재하는 종동축과 감속기를 통하여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원동축 사이에 한 쌍의 유니버설조인트를 개재하여 중간축을 설치하고, 중간축상에 스플라인조인트를 개재하여 원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거리변화에 대응하도록 축유동을 허용한다.
이어서 압연공정을 수행중에 한 쌍의 롤러사이로 강괴를 진입 시, 그 충격에 의해 롤러를 구동하는 종동축은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감속기를 통하여 고하중의 회전에너지를 가진 원동축은 회전함에 따라 두 축상에 순간적인 회전모멘트 등과같은 간접적인 응력이 가해지고, 이를 견디지 못하고 내구성이 취약한 유니버설조인트가 파손되거나 저널베어링이 손상되는 사례가 허다하게 발생된다.
이와 같이, 고하중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설조인트의 경우 수명이 2개월조차 넘기지 못하고 수시로 파손되어 유지보수를 위해 산업기계의 전체작업라인을 정지시킴에 따라 작업시간의 지연으로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작업인력 및 부품교체비용 손실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따른다. 하지만 파손부품의 교체 외에는 별도의 조치 및 대체방안이 없으므로 어쩔 수 없이 파손과 교체를 반복해야하는 고질적인 문제점이 따른다.
한편, 상기에 전술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유니버설조인트를 대형으로 제작하여 최대 비틀림모멘트를 향상시키는 바, 이는 일반놀이구 등에 개별적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무리가 없지만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압연기 등과 같은 산업기계의 경우 설치장소가 협소하여 사실상 장착이 불가능할 뿐더러 대형으로 제작함에 있어 고가의 비용부담이 가증되는 폐단이 따른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장비, 압연기, 제지기, 각종산업기계 등에 설치되어 고하중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동축과 종동축을 축이음함에 있어 2개의 축이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이 수시로 변동되더라도 고하중의 동력전달이 용이함과 더불어 순간적인 회전모멘트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또한 원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거리변화에 대응하도록 축유동이 허용되는 고하중용 축이음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개의 축을 연결하는 축이음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이음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축이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이음축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10': 플랜지 10a, 10a': 이음축홈
10b, 10b': 체결구멍 20, 20': 이음축
22a, 22a': 장착판 30: 중간축
40, 40': 니플 50, 50': 리데나
52, 52': 고정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이 수시로 변동되는 원동축(1)과 종동축(2)을 연결하는 고하중용 축이음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1)과 종동축(2)의 끝단을 삽입고정하는 체결구멍(10b)(10b')을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 6각 형태로 개방된 이음축홈(10a)(10a')이 형성되는 플랜지(10)(10'); 상기 플랜지(10)(10')의 이음축홈(10a)(10a')상에 삽입되도록 6각볼 형태로 제작되고, 일측에 장착판(22)(22')이 구비되는 이음축(20)(20'); 및 상기 이음축(20)(20')의 장착판(22)(22')이 양단에 장착되고,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제작되는 중간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10)(10')의 일단에 니플(40)(40')을 개재하고, 이음축홈(10a)(10a')의 입구에 리데나(50)(50')와 고정판(52)(52')을 장착하여 이음축홈(10a)(10a')과 이음축(20)(20')사이에 윤활유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플랜지(10)(10')의 이음축홈(10a)(10a') 및 이음축(20)(20')을 8, 10, 12각 등과 같이 다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개의 축을 연결하는 축이음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이음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축이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이 수시로 변동되는 원동축(1)과 종동축(2)을 연결하는 고하중용 축이음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축이음은 원동축(1)과 종동축(2)의 끝단을 삽입고정하는 체결구멍(10b)(10b')을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 6각 형상으로 개방된 이음축홈(10a)(10a')이 형성되는 플랜지(10)(10')와, 플랜지(10)(10')의 이음축홈(10a)(10a')상에 삽입되도록 6각볼 형태로 제작되고, 일측에 장착판(22)(22')이 구비되는 이음축(20)(20')과, 이음축(20)(20')의 장착판(22)(22')이 양단에 장착되고,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제작되는 중간축(30)등을 주요 구성을 한다.
본 고안의 플랜지(10)(10')는 원동축(1)과 종동축(2)의 끝단을 삽입고정하는 체결구멍(10b)(10b')을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 6각 형상으로 개방된 이음축홈(10a)(10a')이 형성된다. 플랜지(10)(10')는 일단에 축 끝단의 단면형상(예컨대, 4각, 6각 등과 같이 다각형)과 동일하게 체결구멍(10b)(10b')이 형성되고, 타단에 6각 형상의 이음축홈(10b)(10b')이 적절한 깊이로 가공된다. 체결구멍(10b)(10b')은 축(1)(2)이 삽입된 상태로 플랜지(10)(10')의 외주면에 개재된 키볼트(10c)(10c')에 의해 고정됨으로 축(1)(2)의 회전력이 손실 없이 플랜지(10)(10')로 정확하게 전달된다.
이때, 이음축홈(10b)(10b')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이음축(20)(20')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정밀공차로 가공되어 이음축홈(10b)(10b')상에서 이음축(20)(20')이 전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됨과 동시에 회전방향으로유격이 방지된다. 따라서 원동축(1)과 종동축(2) 사이의 거리변화에 대응하여 이음축(20)(20')의 유동이 허용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0)(10')의 일단에 니플(40)(40')을 개재하고, 이음축홈(10a)(10a')의 입구에 리데나(50)(50')와 고정판(52)(52')을 장착하여 이음축홈(10a)(10a')과 이음축(20)(20')사이에 윤활유(O)의 공급이 원활하게 된다. 니플(40)(40')은 플랜지(10)(10')의 외주면에서 이음축홈(10a)(10a')의 내부로 관통성형된 통공(40a)(40a')상에 개재되고, 리데나(50)(50')와 고정판(52)(52')은 이음축홈(10a)(10a')상에 이음축(20)(20')을 삽입한 후에 이음축홈(10a)(10a')의 입구에 볼트체결되는 바, 이때 고정판(52)(52')은 이등분으로 분할 제작하여 조립에 있어 편이성을 제공한다. 이에 니플(40)(40')을 통하여 이음축홈(10a)(10a')의 내부로 윤활유(O)의 공급이 원활함은 물론 리데나(50)(50')에 의해 이음축홈(10a)(10a')의 입구가 밀폐됨으로 이음축홈(10a)(10a')과 이음축(20)(20')사이의 윤활작용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음축(20)(20')은 플랜지(10)(10')의 이음축홈(10a)(10a')상에 삽입되도록 6각볼 형상으로 제작되고, 일측에 장착판(22)(22')이 구비된다. 이음축(20)(20')은 6각볼 형상으로 가공되어 이음축홈(10a)(10a')상에 삽입되고, 일측에 장착판(22)(22')이 구비된다. 장착판(22)(22')은 판재형태로서 이음축(20)(20')과 일체로 가공하거나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볼트체결,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이때 장착판(22)(22')은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일정한 등각으로 관통공(22a)(22a')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중간축(30)의 양단에 볼트체결된다.
이에 도 4와 같이 이음축(20)(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6면은 이음축홈(10a)(10a')상에 형성된 6면과 맞닿아 일정거리를 슬라이드이송함과 더불어 볼형태로 제작되어 두축(1)(2)이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이 수시로 변동되더라도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음축홈(10a)(10a')상에 이음축(20)(20')이 삽입 시 6면이 전체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회동됨에 따라 고하중의 동력전달이 용이함과 더불어 순간적인 회전모멘트에 쉽게 파손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간축(30)은 이음축(20)(20')의 장착판(22)(22')이 양단에 장착되고,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제작된다. 중간축(30)은 원동축(1)과 종동축(2) 사이에 설치되어 고하중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바, 이에 중간축(30)은 강한 비틀림 응력을 받으면서 고속으로 회전함으로 이러한 회전모멘트를 견디도록 속이 빈 중공의 강관으로 제작된다. 이때 중간축(30)은 원동축(1)과 종동축(2)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고, 양단에 일정한 등각으로 너트홈(30a)을 형성하여 이음축(20)(20')의 장착판(22)(22')이 각각 볼트체결된다.
도 1 내지 4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이음축의 조립 및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평행선상에 설치된 원동축(1)과 종동축(2)의 끝단에 체결구멍(10b)(10b')을 통하여 플랜지(10)(10')를 끼워 키볼트(10c)(10')로 각각 고정하는 바, 이때 플랜지(10)(10')는 축(1)(2)상에 설치되기 전에 이음축홈(10a)(10a')상에 이음축(20)(20')을 삽입한 상태로 리데나(50)(50')와 고정판(52)(52')이 볼트체결된다. 이어서 이음축(20)(20')의 장착판(22)(22')사이에 중간축(30)을 양단을 각각 볼트체결하여 원동축(1)의 동력을 종동축(2)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원동축(1)의 회전력이 플랜지(10)와 이음축(20)을 통하여 중간축(30)으로 전달되고, 이에 중간축(30)은 또 다른 이음축(20')과 플랜지(10')를 연동시켜 종동축(2)이 회전된다. 이때 원동축(1)과 종동축(2)이 동축상에 설치되지 않고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 및 축간 거리가 수시로 가변되더라도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이음축홈(10a)(10a')상에서 이음축(20)(20')이 슬라이드이송됨에 따라 별도로 스플라인조인트(도시 생략)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축유동이 허용된다.
한편,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10)(10')와 이음축(20)(20')이 한 쌍으로 설치되는 구성은 2개의 축(1)(2)이 일직선상에 설치되지는 않지만 항상 평행이 유지되는 구성에 적합한데 반해, 평행선상에 설치되지 않는 2개의 축(도시 생략)이 어느 각도를 이루어 교차할 시 상기의 플랜지(10)와 이음축(20)의 구성을 하나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이음축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플랜지(10)(10')의 이음축홈(10a)(10a') 및 이음축(20)(20')을 8, 10, 12각 등과 같이 다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a는 플랜지(10)(10')의 이음축홈(10a)(10a')과 이음축(20)(20')이 8각 형상으로 가공된 구성을 도시하고, 도 5b는 10각 형상으로 가공된 이음축홈(10a)(10a')과 이음축(20)(20')을 나타내며, 도 5c는 이음축홈(10a)(10a')과 이음축(20)(20')이 12각 형상으로 제작된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와 같이 이음축홈(10a)(10a') 및 이음축(20)(20')의 형상이 도 1 내지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6각에 국한되지 않고, 8, 10, 12각 등과 같이 다각으로 제작가능하다.
한편, 이음축홈(10a)(10a') 및 이음축(20)(20')의 각이 증가할수록 회전력은 부드럽게 전달되지만 고하중의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 순간적인 회전모멘트에 헛도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장치의 특성과 회전력의 강도를 고려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중장비, 압연기, 제지기, 각종산업기계 등에 설치되어 고하중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동축과 종동축을 축이음함에 있어 2개의 축이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이 수시로 변동되더라도 고하중의 동력전달이 용이함과 더불어 순간적인 회전모멘트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또한 원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거리변화에 대응하도록 축유동을 허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 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회전중에 교차각이 수시로 변동되는 원동축(1)과 종동축(2)을 연결하는 고하중용 축이음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1)과 종동축(2)의 끝단을 삽입고정하는 체결구멍(10b)(10b')을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 6각 형태로 개방된 이음축홈(10a)(10a')이 형성되는 플랜지(10)(10');
    상기 플랜지(10)(10')의 이음축홈(10a)(10a')상에 삽입되도록 6각볼 형태로 제작되고, 일측에 장착판(22)(22')이 구비되는 이음축(20)(20'); 및
    상기 이음축(20)(20')의 장착판(22)(22')이 양단에 장착되고,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제작되는 중간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용 축이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0)(10')의 일단에 니플(40)(40')을 개재하고, 이음축홈(10a)(10a')의 입구에 리데나(50)(50')와 고정판(52)(52')을 장착하여 이음축홈(10a)(10a')과 이음축(20)(20')사이에 윤활유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용 축이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0)(10')의 이음축홈(10a)(10a') 및 이음축(20)(20')을 8, 10, 12각 등과 같이 다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용 축이음.
KR20-2004-0017418U 2004-06-21 2004-06-21 고하중용 축이음 KR200362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18U KR200362665Y1 (ko) 2004-06-21 2004-06-21 고하중용 축이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18U KR200362665Y1 (ko) 2004-06-21 2004-06-21 고하중용 축이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949 Division 2004-06-21 2004-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665Y1 true KR200362665Y1 (ko) 2004-09-21

Family

ID=4935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418U KR200362665Y1 (ko) 2004-06-21 2004-06-21 고하중용 축이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6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8316A1 (en) Stepped shaft
CN102661327A (zh) 可伸缩滚珠花键式十字轴万向传动装置
CN202545620U (zh) 可伸缩滚珠花键式十字轴万向传动装置
CN201739370U (zh) 整体轴头且带顶杆的球笼联轴器
KR200362665Y1 (ko) 고하중용 축이음
CN211599318U (zh) 一种偏心距可调的偏心联轴器
KR100656886B1 (ko) 고하중용 축이음
CN109915496B (zh) 一种swc-bh型整体叉头十字轴式伸缩焊接式万向联轴器
CN103775520A (zh) 联轴机构及其万向联轴器
CN107387730B (zh) 组合结构的人字齿轮及其加工方法
CN201826776U (zh) 三圆弧等距型面联接的钻机推进机构
CN210509995U (zh) 锥套联轴器
CN211139450U (zh) 一种轮式工程机械用液压转向驱动前桥及轮式工程机械
CN2615424Y (zh) 便于拆卸的齿式联轴器
CN212775221U (zh) 一种扭矩传动法兰结构及具有该法兰结构的零部件
CN217682911U (zh) 一种双头定位的十字轴万向联轴器
CN2607472Y (zh) 贯通式鼓形齿联轴器
CN209818578U (zh) 可变应力的弹性柱销联轴器
CN110994878A (zh) 一种电动机转轴结构及电动机与负载的连接方法
CN218118390U (zh) 一种多级泵用万向联轴器连接机构
CN220081977U (zh) 一种基于矫直机设计的分体式万向联轴器
CN216241915U (zh) 一种梅花联轴器
CN221097252U (zh) 一种梅花联轴器
CN201687868U (zh) 十字万向轴错位结构
CN212643358U (zh) 冶金用角度可调式联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