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856Y1 -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856Y1
KR200361856Y1 KR20-2004-0017008U KR20040017008U KR200361856Y1 KR 200361856 Y1 KR200361856 Y1 KR 200361856Y1 KR 20040017008 U KR20040017008 U KR 20040017008U KR 200361856 Y1 KR200361856 Y1 KR 200361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vacuum cleaner
roller
hol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건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7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8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8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외주면에 돌기가 구비된 진공청소기의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캐스터는 진공청소기의 하부몸체(21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동하는 홀더(120)와, 상기 홀더(120)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롤러(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롤러(12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청소 수행시 상기 캐스터가 전선등의 장애물과 접촉하더라도 걸림이나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게 넘을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Caster For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돌기가 구비된 롤러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미도시)이 내장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노즐(6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흡입수단(미도시)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몸체(22)와 상기 하부몸체(22)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가 내장되는 상부몸체(24)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본체(2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20)의 후방 양측면에는 후방바퀴(26)가 체결되고, 하부몸체(22) 저면의 전방에는 캐스터(1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20)와 흡입노즐(60)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0)와, 상기 흡입호스(30)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40), 상기조작부(40)와 흡입노즐(60)을 연장하는 연장관(50)등이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 캐스터의 저면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터(10)는 본체(20)의 저면에 위치하고,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홀더(15)와, 상기 홀더(15)에 체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는 롤러(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5)는, 롤러(11)가 장착되기 위한 삽입홀(14)과, 상기 삽입홀(14)을 구비한 리브(13), 그리고 하부몸체(22) 저면에 돌출 성형된 체결후크(29)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26)로 구성된다.
상기 리브(13)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홀(14)과 결합되어 상기 롤러(11)의 회동축 역할을 하게 되는 삽입축(12)이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본체(20)에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을 통하여 전기가 인가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40)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20)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호스(30)및 연장관(50)을 거쳐 흡입노즐(60)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60)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집진통(미도시)에 서 미세한 먼지가 분리된 후 깨끗한 공기는 토출부(미도시)를 통하여 본체(20)외부로 토출시키는 과정을 거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청소 수행시 청소기 조작부(40)를 잡고 청소 영역으로 이동하면 흡입호스(30)를 통해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본체(20)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은 주로 후방바퀴(26)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방향전환은 상기 캐스터(10)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캐스터(10)의 작동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체결후크(29)는 홀더(15)의 체결홀(16)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후크(29) 단부에 형성된 걸이부(252)는 체결홀(16)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홀더(15)가 하부몸체(22)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후크(29)는 상기 홀더(15)의 회전축 역할을 하여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11)는 지면에 선접촉되고 구름작용함으로써 청소기 본체(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실시한 진공청소기의 캐스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원주면에 돌기가 없는 롤러를 구비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미끄러짐 발생으로 인하여 장애물을 쉽게 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가 직접 손잡이(28)를 잡고 본체(20)를 들어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본체(20)를 직접 들어 옮김으로써 육체적 피로 및 시간적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주면에 돌기와 홈이 규칙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롤러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캐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 캐스터의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 캐스터의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캐스터가 하부몸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캐스터 110: 롤러
112: 삽입축 114: 돌기
116: 홈 120: 홀더
122: 체결홀 124: 리브
126: 삽입홀 200: 본체
210: 하부몸체 220: 상부몸체
230: 손잡이 240: 후방바퀴
250: 체결후크 252: 걸이부
300: 흡입호스 320: 조작부
340: 연장관 360: 흡입노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캐스터는, 하부몸체 일측에서 돌출 지지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하부일측에 체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구름작용을 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반복적으로 돌출 성형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는 청소기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성형되어 바닥면과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에 의하여 장애물을 걸림없이 용이하게 넘을 수 있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캐스터(100)가 적용된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서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미도시)이 내장된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노즐(36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흡입수단(미도시)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10)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가 내장되는 상부몸체(220)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본체(20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200)의 후방 양측면에 후방바퀴(240)가 체결되고, 하부몸체(210) 저면의 전방에는 캐스터(10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와 흡입노즐(360)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00)와, 상기 흡입호스(3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320), 상기 조작부(320)와 흡입노즐(360)을 연장하는 연장관(340)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20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36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캐스터(100)를 도시된 도면을 보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 캐스터의 저면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캐스터가 하부몸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캐스터(100)는 외주면에 돌기(114)를 구비한 롤러(110)와, 상기 롤러(110)와 체결되고 상기 하부몸체(210) 저면에 구비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동하는 홀더(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후크(250)는 진공청소기의 하부몸체(210) 저면에서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연장 성형되고, 상기 체결후크(250) 단부에는 캐스터(100)와 체결 후 상기 캐스터(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이부(25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후크(250)는 상기 캐스터(100)의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캐스터(100)의 대략 중심에 내삽되어 체결된다.
상기 홀더(120)의 하부에는 상기 롤러(110)가 내삽되기 위한 리브(124)와, 상기 리브(124)를 관통하여 구성된 삽입홀(126)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110)의 대략 중심에는 상기 체결후크(250)와 체결하기 위해 관통 성형된 1개의 체결홀(122)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롤러(110)는 다양한 외경 크기로 성형 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112)에 삽입되기 위해 양측방으로 1개씩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 성형된 삽입축(122)과, 미끄럼 방지를 위해 외주면에 성형된 돌기(114)와 홈(116)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본체(200)에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을 통하여 전기가 인가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320)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200)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호스(300)및 연장관(340)을 거쳐 흡입노즐(360)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360)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집진통(미도시)에 의하여 미세한 먼지가 분리되고 깨끗한 공기는 토출부(미도시)를 통하여 본체(200)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청소 수행시 청소기 조작부(320)를 잡고 청소 영역으로 이동하면 흡입호스(300)를 통해서 본체(200)에 전해지게 되고 하부몸체(210) 저면에 위치한 캐스터(100)가 지면에 대해서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하면서 청소기 본체(200)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캐스터(10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청소 수행시 청소기 조작부(320)를 잡고 청소 영역으로 이동하면 흡입호스(300)를 통해서 본체(200)에 전해지게 되고 상기 본체(200)가 청소기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이동함에 따라 하부몸체(210) 저면에 위치한 캐스터(100)가 지면에 대해서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체결후크(250)는 걸이부(252)에 의해 구속되어 장착된 홀더(120)의 회전축 역할을 하여 상기 홀더(120)가 청소기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후크(250)의 구조는 하부몸체(210) 저면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 성형되어 있어서 청소 수행중에 발생되는 장애물과의 접촉에 대하여 전단력이 작용하므로 일정한 충격강도를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120)는 하부몸체(210)의 저면에 위치하는 체결후크(250)를 회전축으로 지면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며, 체결된 후에는 걸이부(252)에 의한 구속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20)의 삽입홀(126)은 상기 롤러(110)의 삽입 돌기(112)와 체결된 후에는 일정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롤러(110)가 탈거되지 않는다.
상기 롤러(110)는 다양한 크기로 성형 될 수 있고,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114)와 홈(116)에 의해서 미끄럼이 방지되며, 상기 롤러(110)의 삽입축(112)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캐스터의 적용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진공청소기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캐스터를 이용하여 롤러가 지면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어떠한 형태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진공청소기의 캐스터는 돌기와 홈을 포함하는 롤러를 적용함으로써, 청소 수행시 전선 등의 장애물과 접촉시에 걸림이나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게 넘을 수 있는 이동의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에 걸렸을 때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청소기의 본체를 직접 들어 옮김으로써 발생되는 육체적 피로 및 시간적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진공청소기의 하부몸체(21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동하는 홀더(120)와,
    상기 홀더(120)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롤러(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롤러(12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14)는 상기 롤러(12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돌출 성형되어 바닥면과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KR20-2004-0017008U 2004-06-17 2004-06-17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KR200361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08U KR200361856Y1 (ko) 2004-06-17 2004-06-17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08U KR200361856Y1 (ko) 2004-06-17 2004-06-17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856Y1 true KR200361856Y1 (ko) 2004-09-13

Family

ID=4943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008U KR200361856Y1 (ko) 2004-06-17 2004-06-17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8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43467B2 (en) A cleaning appliance
AU2005246940B2 (en) Vacuum cleaner with sterilizing system
CA2342428A1 (en) A floor mopp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EP1323369A3 (en) Vacuum cleaner
KR20040023285A (ko) 진공청소기용 캐스터 및 그것을 이용한 진공청소기
EP3763274B1 (en) Cleaning robot
KR200361856Y1 (ko) 진공청소기의 캐스터
JP5135182B2 (ja) 電気掃除機
JP2018140003A (ja) 電気掃除機の寝具用吸込口体
KR20090058923A (ko) 코드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H1133510A (ja) 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KR100779193B1 (ko) 로봇청소기 및 로봇청소기 제어방법
KR20060018016A (ko) 진공청소기용 캐스터
JP2011055906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0023710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
KR200426129Y1 (ko) 탈/부착 가능한 크리닝부를 갖는 청소로봇
KR950002042B1 (ko) 진공청소기용 회전식 물걸레 흡입기
KR102286412B1 (ko) 전기 청소기
KR100766050B1 (ko) 계단멈춤 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JP4129405B2 (ja) 電気掃除機
KR200347628Y1 (ko) 진공청소기
JP4010808B2 (ja)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本体
KR200144822Y1 (ko) 진공청소기의 배출공기를 이용한 바퀴 회전장치
KR100595156B1 (ko) 진공청소기
JP5736019B2 (ja) 吸込ヘッド及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