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156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156B1
KR100595156B1 KR1019990024343A KR19990024343A KR100595156B1 KR 100595156 B1 KR100595156 B1 KR 100595156B1 KR 1019990024343 A KR1019990024343 A KR 1019990024343A KR 19990024343 A KR19990024343 A KR 19990024343A KR 100595156 B1 KR100595156 B1 KR 10059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ont wheel
vacuum cleaner
wheel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857A (ko
Inventor
양병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1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이동을 보조하면서 방향성을 부여하는 앞바퀴의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뒷바퀴와 앞바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함에 따라 청소시 상기 본체의 이동이 안정된 상태로 행하여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11)의 전면으로 연결관(12)에 의해 흡입호스(13)가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1)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한쌍의 뒷바퀴(16) 및 상기 각 뒷바퀴와 삼각형을 이루는 앞바퀴(17)의 구름운동을 동시에 받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가 흡입호스(13)를 본체(11)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관(12)에 설치된 것이다.
진공청소기, 바퀴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본체 12. 연결관
13. 흡입호스 16. 뒷바퀴
17. 앞바퀴 18. 보조바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시 청소기 본체의 이동이 안정된 상태로 행해지도록 하여 청소중에 상기 본체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쉽게 넘어지거나 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함께 오염물(먼지, 보푸 라기, 종이 등)을 흡입하면서 이 흡입되는 공기중의 오염물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기로서,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흡입수단 및 집진수단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에 연결관(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흡입호스(3)와, 상기 흡입호스에 결합된 흡입관(4)과,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어 외부공기와 함께 오염물이 흡입되는 흡입구체(5)와, 상기 본체(1)의 양측면 외측 후방부에 각각 이동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이동을 원활히 행하는 뒷바퀴(6)와, 상기 본체(1)의 저면에 각 뒷바퀴(6)와 삼각형상을 이룬상태로 원주방향 및 이동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의 이동을 보조하면서 상기 본체의 이동방향성을 부여하는 앞바퀴(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관(4)에 구비된 콘트롤부의 흡입모드를 선택하면 본체(1) 내의 흡입력발생수단이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흡입구체(5)를 오염물이 있는 곳에 가까이 대면 상기 오염물이 외부 공기와 함께 흡입구체(5)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공기 및 오염물은 계속해서 흡입관(4)과 흡입호스(3)를 통해 본체(1) 내로 들어간다.
상기 본체(1) 내로 들어간 공기 및 오염물은 본체 내에 구비되어 있는 집진수단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염물이 집진수단에 걸러져 집진되고, 공기는 집진수단을 빠져나가 공기배출공(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결국 오염물이 집진되면서 청소가 행하여 진다.
한편 청소를 행하는 도중에는 본체(1)를 여러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상기 본체에 이동력이 부여될 경우에는 본체(1)는 양측면 외측 후방부에 각각 이동방 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뒷바퀴(6)가 지면과 접촉되면서 회전함과 함께 상기 본체(1)의 저면에 원주방향 및 이동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7)가 지면과 접촉되면서 회전하므로 결국 본체(1)의 이동이 각 뒷바퀴(6) 및 앞바퀴(7)의 구름운동에 의해 원활히 행하여 짐은 이해 가능하고, 상기 본체(1)가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앞바퀴(7)가 계속 원주방향으로 정,역회전하면서 본체(1)에 이동방향성을 부여하므로 상기 본체는 청소가 행하여 지는 동안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원활히 이동을 하게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이동을 보조하면서 방향성을 부여하는 앞바퀴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2와 같이 바퀴와 앞바퀴 간의 간격(B1)이 매우 짧아지고, 이에따라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안정을 이루지 못하고 흔들거리거나 심할 경우 자주 넘어지므로 사용자에 의한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진공청소기는 갈수록 본체가 작아지는 추세에 있으므로 상기한 문제점이 더욱 크게 대두되고는 있지만 이렇다할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 못함에 따라 현시점에서는 소비자의 불만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의 이동을 보조하면서 방향성을 부여하는 앞바퀴의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뒷바퀴와 앞바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함에 따라 청소시 상기 본체의 이동이 안정된 상태로 행하여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의 전면으로 연결관에 의해 흡입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한쌍의 뒷바퀴 및 상기 각 뒷바퀴와 삼각형을 이루는 앞바퀴의 구름운동을 동시에 받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가 흡입호스를 본체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관에 설치된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나타낸 저면도로서, 본 발명은 흡입수단 및 집진수단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본체(11)와, 상기 본체에 연결관(1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흡입호스(13)와, 상기 흡입호스에 결합된 흡입관(14)과,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어 외부공기와 함께 오염물이 흡입되는 흡입구체(15)와, 상기 본체(11)의 양측면 외측 후방부에 각각 이동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1)의 이동을 원활히 행하는 뒷바퀴(16)와, 상기 연결관(12)에 각 뒷바퀴(16)와 삼각형상을 이룬상태로 원주방향 및 이동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1)의 이동을 보조하면서 상기 본체의 이동방향성을 부여하는 앞바퀴(1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의 저면에는 뒷바퀴(16)와 앞바퀴(17)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보조바퀴(1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진공청소기에 의해 오염물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청 소과정은 종래 진공청소기에서 설명된 과정을 참고하면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청소시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앞바퀴(17)와 보조바퀴(18)의 작용 상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과정에서 본체(11)가 이동하면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각 뒷바퀴(16)와 흡입호스(13)의 연결관(12)에 설치된 앞바퀴(17)가 지면과의 접촉에 의해 구름운동을 하는데, 도 4와 같이 상기 앞바퀴가 흡입호스(13)를 본체(11)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관(12)에 설치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뒷바퀴(16)와 앞바퀴(17) 사이의 간격(B2)이 종래에 비해 상당이 넓어짐은 이해 가능하고, 이에따라 본체(11)가 각 뒷바퀴(16) 및 앞바퀴(17)의 구름운동을 받으면서 원활하게 이동된다.
한편 청소를 행하는 도중에는 본체(11)가 각 뒷바퀴(16) 및 앞바퀴(17)의 구름운동을 받으면서 실내의 문턱을 넘나드는 경우가 자주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기 설명된 바와같이 뒷바퀴(16)와 앞바퀴(17)의 간격이 넓은 상태이므로 상기 앞바퀴가 먼저 문턱을 넘었다고 가정할 때 본체(11)가 자중에 의해 문턱에 심하게 부딪히리라 생각되겠지만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뒷바퀴(16)와 앞바퀴(17)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보조바퀴(18)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결국 앞바퀴(17)가 먼저 문턱을 넘었더라도 보조바퀴(18)가 도 5와 같이 계속해서 문턱에 걸려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결국 본체(11)가 상기 문턱에 직접 부딪히는 일은 없게되고, 이로인해 본체(11)가 파손되거나 문턱이 파손되거나 하지는 않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체의 이동을 원활히 하는 역할을 하는 뒷바퀴와 앞바 퀴의 간격이 종래 진공청소기에 비해 훨씬 멀어지게되므로 사용중에 본체의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행하여 지고, 이에따라 본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넘어지거나 하지는 않게되어 사용자에 의한 제품의 신뢰도가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오염물을 청소기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흡입호스;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호스와 청소기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구름운동을 행하는 한 쌍의 뒷바퀴; 그리고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며, 상기 뒷바퀴와 함께 구름운동을 행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앞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와 앞바퀴 사이에 구비되어, 구름운동을 행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의 외주면은,
    상기 뒷바퀴와 앞바퀴에 의해 청소기 본체가 안착되는 지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지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는,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19990024343A 1999-06-25 1999-06-25 진공청소기 KR10059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43A KR100595156B1 (ko) 1999-06-25 1999-06-25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43A KR100595156B1 (ko) 1999-06-25 1999-06-25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857A KR20010003857A (ko) 2001-01-15
KR100595156B1 true KR100595156B1 (ko) 2006-07-03

Family

ID=1959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343A KR100595156B1 (ko) 1999-06-25 1999-06-25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1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577A (ja) * 1991-12-24 1993-07-02 Hitachi Ltd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577A (ja) * 1991-12-24 1993-07-02 Hitachi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857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7603B1 (en) Vacuum cleaner
AU2004243467B2 (en) A cleaning appliance
JP2005323999A (ja) ロボット掃除機
KR101148095B1 (ko)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JP4913879B2 (ja) 床用ツール
CN101044964A (zh) 立式清洁装置
JP497822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147913B2 (ja) 電気掃除機
KR100595156B1 (ko) 진공청소기
KR10053975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파워 스위치 장치
KR101457959B1 (ko) 로봇청소기의 흡입구 지지장치
KR1999000348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0779193B1 (ko) 로봇청소기 및 로봇청소기 제어방법
JP200114928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629300B1 (ko) 진공청소기
WO2001076444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JP2001149282A (ja)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100556487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20090096198A (ko) 로봇 청소기
KR10053951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 연결장치
KR20070092495A (ko) 청소기 로봇
JP3205890B2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
KR960004010B1 (ko) 진공청소기 흡입구의 송풍장치
KR200299353Y1 (ko) 공기 분출식 청소기
KR100517941B1 (ko) 로봇 청소기의 장애물 선별제거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