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834Y1 - 커넥터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834Y1
KR200361834Y1 KR20-2004-0016296U KR20040016296U KR200361834Y1 KR 200361834 Y1 KR200361834 Y1 KR 200361834Y1 KR 20040016296 U KR20040016296 U KR 20040016296U KR 200361834 Y1 KR200361834 Y1 KR 200361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ing ball
locking
female
fe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to KR20-2004-0016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8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6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one or more balls engaging in a hole or a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커넥터 둘레에 내외로 노출설치된 록킹볼과 상기 록킹볼을 수용하는 수커넥터의 잠금홈 및 결합되는 암커넥터의 외부에서 전후로 탄력이동하면서 상기 잠금홈과 대응되는 록킹볼을 제어하는 외통부의 조작에 의해 암,수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넥터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둘레에 내외로 관통된 볼홀에 삽입되어 내부 또는 외부로 제한적으로 유동하는 록킹볼을 구성하고, 상기 수커넥터는 체결시 상기 암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통부와 암커넥터의 외부로 씌워지면서 내설된 스프링에 의해 후퇴시 탄성돌출 되게 설치된 외통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통부 둘레에는 상기 록킹볼이 수용되는 잠금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의 외부에 구성되어 내설된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의 복귀탄력을 갖고 그 내주면에 개구부 쪽은 상기 록킹볼의 유동이 허용되는 넓은 내경을 그 내측부는 상기 잠금홈에 삽입된 록킹볼의 유동을 제한하는 좁은 내경으로된 이중내주면을 갖고 그 사이에 이루어지는 단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커넥터는, 암커넥터의 록킹볼이 수커넥터 내통둘레의 잠금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커넥터의 외통 내주면에 의해 그 유동이 제어되어 암,수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할 뿐만 아니라 그 작동의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의 단순함에 의해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그로인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체결장치{conclusion of connect}
본 고안은 암커넥터 둘레에 내외로 노출설치된 록킹볼과 상기 록킹볼을 수용하는 수커넥터의 잠금홈 및 결합되는 암커넥터의 외부에서 전후로 탄력이동하면서 상기 잠금홈과 대응되는 록킹볼을 제어하는 외통부의 조작에 의해 암,수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넥터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는 핀보호관(17c)의 내부에 핀단자(17a)를 갖는 수커넥터하우징(11)과, 내부에 핀단자(17a)를 삽입하여 접속되는 접속단자(24)를 갖고 외부에 수커넥터(10)를 수용하는 암커넥터하우징(21)을 갖는 암커넥터(20)로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하우징(11)은 내부관체(15)와 그 외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외부관체(12)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관체(12)의 선단은 상기 암커넥터하우징(21)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3)의 둘레에 걸림편수용구멍(14)을 수개 형성하며 상기 내부관체(15)에는 걸림편수용구멍(14)에 대응되는 위치로 길게 절결하여 탄성편(16a)을 형성하고 이 탄성편(16a)의 단부에 외측면이 접속반대방향의 경사면을 이루면서 상기 걸림편수용구멍(14)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걸림턱(16b)을 형성하며, 상기 암커넥터하우징(21)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턱(16b)이 대응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22)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수커넥터(10)의 삽입부(13)를 암커넥터(20)의 하우징 내에 삽입시키면 내부의 핀단자(17a)는 접속단자(24)에 삽입되어 접속되고 삽입부(13)의 걸림편수용구멍(14)에 돌출된 걸림턱(16b)은 암커넥터(20)에 의해 내부로 오무려지면서 삽입되다가 걸림홈(22)의 위치에 오게 되면 탄성편(16a)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빠지지 않게 걸리게 되므로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커넥터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암커넥터(20)를 잡고 수커넥터(10)의 외부관체(12)를 당기게 되면 수커넥터(10)의 외부관체(12)는 후퇴하면서 걸림턱(16b)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탄성편(16a)은 내부로 오무려지게 되므로 결국 걸림턱(16b)은 걸림홈(22)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수커넥터(10)는 암커넥터(20)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는 암커넥터에 체결되는 수커넥터의 내부관체 및 그 선단부에 탄성편을 구성하는 등의 구조가 너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또 상기 내부관체를 제조할 때 탄성편을 구성하기 위한 작업이 난해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그에 따른 가격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커넥터의 체결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완벽한 체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이고 체결 및 분리조작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 커넥터의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체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체결장치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커넥터 32a,32b - 암,수커넥터
34 - 볼홀 35 - 록킹볼
36 - 단자 40 - 내통
42 - 잠금홈 44 - 외통
46a,46b - 내주면 48 - 단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둘레에 내외로 관통된 볼홀에 삽입되어 내부 또는 외부로 제한적으로 유동하는 록킹볼을 구성하며,
상기 수커넥터는 체결시 상기 암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통부와 암커넥터의 외부로 씌워지면서 내설된 스프링에 의해 후퇴시 탄성돌출 되게 설치된 외통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내통부 둘레에는 상기 록킹볼이 수용되는 잠금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의 외부에서 전후로 탄력이동되면서 내주면에 개구부 쪽은 상기록킹볼의 유동이 허용되는 넓은 내경을 그 내측부는 상기 잠금홈에 삽입된 록킹볼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좁은 내경을 갖는 이중내주면을 갖고 그 사이에 단턱을 구비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체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체결장치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0)는 암,수커넥터(32a)(32b)로 구성되어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커넥터(32b)에는 접속핀을 암커넥터(32a)에는 접속핀과 대응되는 핀구멍을 갖는 핀수용부가 있으며, 그 둘레에는 상호간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체결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장치의 일부 구성을 이루는 상기 암커넥터(32a)는 선단 둘레에 내외로 관통된 볼홀(3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홀(34)에는 록킹볼(35)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때 록킹볼(35)은 암커넥터(32a)의 두께보다 직경이 커 설치된 록킹볼(35)은 내부 및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또 록킹볼(35)은 볼홀(34)내에서 빠지지 않을 정도로 유동되는데, 그 유동 범위의 한계는 일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암커넥터(32a)의 표면과 나란하게 되는 시점까지이다. 참조번호 36은 암커넥터(32a)의 단자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와 직각으로 꺾인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 나란한 방향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커넥터(32b)는 체결시 상기 암커넥터(32a)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통(40)과 암커넥터(32a)의 외부로 씌워지면서 내설된 스프링(s)에 의해 후퇴시 다시전방으로 이동 복귀하려는 복귀탄성을 갖는 외통(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통(40) 둘레에는 록킹볼(35)의 내측이 삽입되는 잠금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홈(42)의 위치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커넥터(32b)가 암커넥터(32a)의 내부에 삽입완료시 상기 록킹볼(35)이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잠금홈(4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외통(44)은 암커넥터(32a)의 외부에 씌워지는 내경을 가지고 있으며, 내통(40)부의 외부에서 전후로 탄력이동되면서 내주면에 개구부 쪽은 상기 록킹볼(35)의 유동이 허용되는 넓은 내경을 갖고, 그 내측부는 상기 잠금홈(42)에 삽입된 록킹볼(35)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좁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이중내주면(46a)(46b)으로 그 경계부에는 자연히 단턱(48)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체결장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암,수커넥터(32a)(32b)의 체결을 위해 수커넥터(32b)를 암커넥터(32a)의 내부로 강제 삽입시키게 되면, 수커넥터(32b)의 내통(40)은 암커넥터(32a)의 내부로 삽입되고, 외통(44)은 암커넥터(32a)의 외부로 씌워지게 된다. 이때 외통(44)은 내부의 단턱(48)이 암커넥터(32a)의 록킹볼(35)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후퇴하게 되고 상기 록킹볼(35)이 수커넥터(32b) 내통(40)의 잠금홈(42)에 삽입 이동되어 단턱(48)을 자유롭게 해주게 되면 비로서 전진한다. 이 작동에 의해 지름이 작은 외통(44)의 내주면(46b)이 록킹볼(35)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록킹볼(35)은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잠금홈(42)내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되므로 암,수커넥터(32a)(32b)를 강제로 분리시키더라도 체결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체결되어 있는 암,수커넥터(32a)(32b)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수커넥터(32b)의 외통(44)을 잡고 후퇴시키면 내경이 커 록킹볼(35)의 유동을 허용하는 내주면(46a)이 록킹볼(35)의 둘레로 위치하기 때문에 결국, 록킹볼(35)은 그 유동이 자유롭게 되어 잠금홈(42)으로부터의 이탈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수커넥터(32b)가 암커넥터(32a)로부터의 쉽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커넥터는, 암커넥터의 록킹볼이 수커넥터 내통둘레의 잠금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커넥터의 외통 내주면에 의해 그 유동이 제어되어 암,수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할 뿐만 아니라 그 작동의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의 단순함에 의해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그로인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둘레에 내외로 관통된 볼홀에 삽입되어 내부 또는 외부로 제한적으로 유동하는 록킹볼을 구성하고,
    상기 수커넥터는 체결시 상기 암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통부와 암커넥터의 외부로 씌워지면서 내설된 스프링에 의해 후퇴시 탄성돌출 되게 설치된 외통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통부 둘레에는 상기 록킹볼이 수용되는 잠금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의 외부에 구성되어 내설된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의 복귀탄력을 갖고 그 내주면에 개구부 쪽은 상기 록킹볼의 유동이 허용되는 넓은 내경을 그 내측부는 상기 잠금홈에 삽입된 록킹볼의 유동을 제한하는 좁은 내경으로된 이중내주면을 갖고 그 사이에 이루어지는 단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체결장치.
KR20-2004-0016296U 2004-06-10 2004-06-10 커넥터 체결장치 KR200361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296U KR200361834Y1 (ko) 2004-06-10 2004-06-10 커넥터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296U KR200361834Y1 (ko) 2004-06-10 2004-06-10 커넥터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834Y1 true KR200361834Y1 (ko) 2004-09-14

Family

ID=4943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296U KR200361834Y1 (ko) 2004-06-10 2004-06-10 커넥터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8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964A (ko) * 2016-11-28 2018-06-0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도전성 스프링을 적용한 탄소섬유 차폐 케이블 접속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964A (ko) * 2016-11-28 2018-06-0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도전성 스프링을 적용한 탄소섬유 차폐 케이블 접속재
KR101975674B1 (ko) * 2016-11-28 2019-05-0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도전성 스프링을 적용한 탄소섬유 차폐 케이블 접속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86652A1 (ja) 2ピースクリップ
US4548455A (en)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KR100713768B1 (ko) 끈 고정구
US7828583B2 (en) Connector with an aligner with a flexible deformable arm with a slit
US6039614A (en) Fast coupling automatic latching connector releasable by movement of an external body
US9929504B2 (en) Electrical circular plug-in connector having a push-pull locking mechanism
US955338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950005554B1 (ko) 관 연결구
US11598462B2 (en) Locking mechanism for tubular body
EP0618646B1 (en) Lever-operated connector
CN109716595A (zh) 电连接器
KR200361834Y1 (ko) 커넥터 체결장치
USRE32864E (en)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CA2387867A1 (en) Coupling device for coaxial plug-in connectors
US8435061B2 (en) Connector
CN111567999A (zh) 一种手链锁扣结构
KR100978778B1 (ko) 분리 방지용 콘넥터
JP2002170629A (ja) コネクタ
JP3150647U (ja) ナスカン連結具
JP3225114U (ja) 紐状小物品用端部接続具及びそれを用いた紐状小物品
JP5894507B2 (ja) 連結装置
JP2009059510A (ja) 防水コネクタ
CN219226695U (zh) 电气连接器
KR200173234Y1 (ko) 컨넥터의 록장치
JP7397420B2 (ja) 装身具用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