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500Y1 -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500Y1
KR200361500Y1 KR20-2004-0017423U KR20040017423U KR200361500Y1 KR 200361500 Y1 KR200361500 Y1 KR 200361500Y1 KR 20040017423 U KR20040017423 U KR 20040017423U KR 200361500 Y1 KR200361500 Y1 KR 200361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mputer
outlet
control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김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호 filed Critical 김철호
Priority to KR20-2004-0017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5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는 기존 멀티 콘센트(써지오)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PC와 통신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나 주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주변장치들, 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외장모뎀 등의 전원을 차단하고, 컴퓨터 사용시에만 주변장치로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 장치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컴퓨터를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컴퓨터 전원이 꺼져 일정시간 아무 작업도 하지 않을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과 멀티탭콘센트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각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에너지절약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본 고안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용 교류전원을 다수의 전자기기들로 공급 할 수 있도록 전원코드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을 다수의 커넥터로 병렬 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멀티탭 장치가 상용화되어 널리 이용되었다. 이러한 멀티탭 장치는 통상 전원 코드와 복수의 커넥터가 상호 병렬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원 코드로부터 각 커넥터로의 전류 공급을 전체적으로 단속 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본체 이외에도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모뎀 등 다양한 주변기기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제한된 공간 내에 구축하고자 할 때 가옥 또는 건물내에 간헐적으로 설치된 콘센트로부터 각 기기로의 전력을 분기할 수 있는 용도로 멀티탭 장치가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들은 컴퓨터 본체가 동작되어야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 본체가 오프 상태일 때 전원공급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된다. 또한, 절전모드를 지원하는 컴퓨터의 경우 컴퓨터 본체가 켜진 상태에서 마우스와 키보드의 조작신호가 일정시간 입력되지 않으면 소비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절전모드로 동작되지만, 이 경우에도 주변기기들은 전력 공급이 유지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을 완료하였거나 절전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컴퓨터 본체와 접속된 주변기기들을 오프시켜야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억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컴퓨터 시스템을 구동 및 오프시킬 때마다 또는 절전모드로 동작되고 있을 때마다 각 주변 기기의 전원 스위치를 모두 조작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하고,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시 주변기기는 오프 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아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개량된 에너지절약형 멀티탭 콘센트가 공개되고 있지만, 이경우도 컴퓨터에서 나오는 전기적인 신호(전류 또는 전압)를 유에스피(USB)포트나 시리얼포트를 통하여 검출하여 멀티탭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순기능에 머물고 있어 컴퓨터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컴퓨터를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며 컴퓨터를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컴퓨터 전원이 꺼져 일정시간 아무작업도 않을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과 멀티탭 콘센트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각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장치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는 제어용 윈도우프로그램의 출력화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장치의 내부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멀티탭 콘센트 101 : 콘센트
102 : 메인 스위치 103 : 누전차단기
160 : 콘센트부 200 : USB 포트
300 : 컴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는 기존 멀티탭 콘센트(써지오)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도록 구성하여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나 주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주변장치들, 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외장모뎀 등의 전원을 차단하고, 컴퓨터 사용시에만 주변장치로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 장치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제어방법은, 유에스비포트를 통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멀티탭 콘센트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원제어 소자인 릴레이를 제어하여 각 코드삽입구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하며,
윈도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코드삽입구의 전원을 온/오프하며,
윈도우 운영체제의 절전모드 진행시 각 코드삽입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되도록 하며,
각 코드삽입구에 대한 시간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 온/오프되도록 하며,
마우스 또는 키보드에 대한 사용유무를 검출하는 자체 점검기능으로 일정시간 컴퓨터의 사용이 없을시 선택적으로 각 코드삽입구의 전원을 오프되도록 하며,
초기 컴퓨터전원이 온 되었을 때 각 코드삽입구의 전원을 순차적으로 온하여 순간적으로 걸리는 과부하 및 기기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며,
컴퓨터의 다운으로 인해 일정기간 통신이 안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주변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며,
윈도우 운영체제 시작시 프로그램이 램상주형태로 구동되며, 관리기능은 윈도우프로그램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시간 및 컨트롤을 할 콘센트를 지정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 제어장치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컴퓨터를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컴퓨터 전원이 꺼져 일정시간 아무작업도 않을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과 멀티탭 콘센트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각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멀티탭 콘센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장치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멀티탭 콘센트(100)은 상기 멀티탭 콘센트(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101), 멀티탭 콘센트(100)의 주 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 스위치(102), 누전시에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버튼(103), 다수의 전원을 제공하는 콘센트부(160)와 상기 컴퓨터(300)와 통신을 하기위한 USB포트(200)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100) 장치의 적용은, 기존 멀티탭 콘센트(써지오)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컴퓨터(300)와 통신이 가능도록 구성하는 USB포트(200)를 구성하여,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나 주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주변장치들, 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외장모뎀 등의 전원을 차단하고, 컴퓨터 사용시에만 주변장치로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100) 장치의 구성은, 용도에 맞게 수량을 정하여 구비된 코드삽입구(160); 상기의 멀티탭 콘센트(100)와 컴퓨터와 통신을 위한 유에스비포트(200); 멀티탭 콘센트(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101); 멀티탭 콘센트(100)의 주 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 스위치(102); 누전시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 차단 버튼(103);으로 구성되고, 멀티탭 콘센트(100)의 내부에는 전원제어용 반도체소자로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용 릴레이(도 4참조); 컴퓨터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전원제어용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도 4 참조); 컴퓨터에 설치되어 상기 컴퓨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탭 콘센트를 제어하는 GUI체제의 윈도우프로그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릴레이의 구동전원은 컴퓨터의 5V전원을 사용하거나 자체 SMPS를 사용한다.
또한 코드삽입구는 5구, 7구, 9구 등 용도에 맞게 제작되는데, 각각 5구의 코드삽입구를 갖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는 4개의 코드삽입구를 제어하고, 7구의 코드삽입구를 갖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는 6개의 코드삽입구를 제어하고, 9구의 코드삽입구를 갖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는 8개의 코드삽입구를 제어하도록 한다. 즉, 컴퓨터와 연결되는 멀티콘센트의 전원삽입단자는 제어기능에서 제외시킨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를 컴퓨터의 지유아이(GUI)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체크 신호와 상기 신호를 전송받은 멀티탭 콘센트에서 이루어지는 순서를 상호 연계하여 설명한다.
컴퓨터(300)의 GUI(Graphic User Interface)에서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이루어지는 순서는 도 3의 오른쪽에 위치한 흐름도로 S_1, S_2, S_3, S_4, S_5, S_6, S_7, S_8이고, 상기 신호를 전송받아 멀티탭 콘센트에서 이루어지는 순서는 S_10, S_11, S_12, S_13, S_14, S_15, S_16이다.
우선 컴퓨터(300)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신호를 USB포트(200)를 통하여 멀티탭 콘센트에 전원이 인가(S_10)되고, 멀티탭 콘센트(100)의 ROM에 기억된 콘센트의 전원이 온(S_11)된다. 상기의 경우, 즉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될 때 멀티탭의 ROM에 기억되어 콘센트의 전원을 온으로 설정된 것은 최소한 모니터와 연결된 콘센트는 체크됨이 바람직하다.
멀티탭 콘센트(100)에서는 사용자 컴퓨터의 모니터를 통하여 윈도우에서 발생한 신호를 체크하여 해당되는 콘센트를 온/오프(S_12)한다. 상기 온/오프된 상태를 전원제어 포트(ROM)에 저장(S_13)하고, 워치독(Watch-Dog)기능에 의해 상기 워치독의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검색(S_14)하는데 상기 워치독의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을 오프(S_16)하고 경과하지 않았거나 워치독이 체크되지 않았으면 컴퓨터(300)의 종료신호가 있는지 체크(S_15)하여 종료신호가 없으면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기다리고, 종료신호가 있으면 콘센트의 전원을 오프(S_16)한다.
컴퓨터(300)에서는 윈도우 프로그램이 시작(S_2)하고, 콘센트의 전원상태와 저장된 설정에 따라 초기화(S_2)가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의 모니터에 본 고안의 멀티탭 콘센트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혹은 백그라운드에서 작동된다. 본 고안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사용자는 모니터에 나타나는 GUI를 통하여 멀티탭 콘센트의 설정을 제어하게 되는데, 윈도우가 절전모드가 되면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신호(S_3), 마우스/키보드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전원을 차단하는 신호(S_4),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 전원을 직접차단하는 신호(S_5), 컴퓨터의 이상으로 컴퓨터(300)와 멀티탭 콘센트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멀티탭 콘센트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S_6)를 체크하여 멀티탭 콘센트(100)에 상기의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하는 콘센트를 온/오프(S_12)한다.
컴퓨터의 종료신호(S_7)가 있으면 상기의 신호를 멀티탭 콘센트(100)에 전송하여 컨센트의 전원을 오프(S_15)한다.
상기의 사용자의 모니터에 보여지는 프로그램은 멀티탭 콘센트(100)와 별도로 운용이 가능하며, 온라인을 통해서 다운받아서 설치하거나 저장매체를 통하여 탑재(설치)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는 제어용 윈도우프로그램의 출력화면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는 제어용 윈도우프로그램의 출력화면 구성은, 크게 전원관리제어부와 콘센트이름 설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관리제어부(20. 30, 40, 50, 60)는 원도우 시작시에 자동으로 전원을 온(on)하는 모듈(20); 윈도우가 절전모드로 들어가면 전원을 차단할 주변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듈(30)과,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전원을 차단할 주변기기와 그 시간을 지정하는 모듈(40)과, 프로그램의 동작으로 주변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제어모듈(50); 컴퓨터의 다운으로 인해 일정기간 통신이 안 될 때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멀티탭 콘센트의 전원을 오프하는 기능(Watch-Dog)을 선택하는 모듈(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워치독(Watch-Dog)기능은 컴퓨터와 통신이 두절되면 이는 컴퓨터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이며, 상기 워치독 기능에 시간 설정을 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안에 통신이 되지 않으면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는 처음 컴퓨터 온(ON)시 전원을 공급할 주변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듈과, 수동으로 각각의 콘센트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 킬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콘센트 이름설정부(10)는 각 콘센트에 주변기기를 대응시켜 이름을 설정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용 윈도우프로그램은, 유에스비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의 사용자 신호에 따라 멀티탭 콘센트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원제어 소자인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으로, 윈도우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 신호에 따라,
윈도우 시작시에 선택된 콘센트의 전원을 자동으로 전원을 온하도록 하는 기능(20);
윈도우 운영체제의 절전모드 진행시 각 코드삽입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되도록 하는 기능(30);
마우스/키보드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선택된 콘센트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하는 기능(40);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원을 직접 오프하거나 전원을 온하는 기능(50);
컴퓨터의 이상으로 컴퓨터와 멀티탭 콘센트와의 통신이 장시간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멀티탭 콘센트의 전원을 오프하는 기능(60); 등이 포함된다.
윈도우가 절전모드로 들어가면 전원을 차단할 주변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듈(30)과,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전원을 차단할 주변기기와 그 시간을 지정하는 모듈(40)은 사용자의 조작(마우스의 조작, 키보드의 조작 등)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되는 콘센트의 전원을 온으로 설정된다.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전원을 차단할 주변기기와 그 시간을 지정하는 모듈(40)과 컴퓨터의 이상으로 컴퓨터와 멀티탭 콘센트와의 통신이 장시간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멀티탭 콘센트의 전원을 오프하는 기능(60)은 일정 시간을 입력하여 상기의 입력된 시간안에 조작 및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의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하는 콘센트의 전원을 오프한다. 이는 각 컴퓨터에 연결된 각각의 장치들은 그 사용 빈도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컴퓨터에 연결된 스피커 프린터, 스캐너 등은 그 빈도수가 낮아서 되도록이면 시간설정을 적게 함이 바람직하고,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의 경우에는 그 사용빈도수가 많기 때문에 시간설정을 많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의 일실시예 화면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쉽게 변경이 가능하여 상기의 일실시예 화면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컴퓨터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GUI에 의해 멀티탭 콘센트를 제어하는 장치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당연할 것이다.
상기 제어용 윈도우프로그램은, 현재 운용되고 있는 모든 윈도우 혹은 앞으로 개발될 또 다른 운영체제 및 Linux, Unix에서도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컴퓨터의 운영체제는 윈도우98, 윈도우2000, 윈도우XP 등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장치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장치의 내부 회로는, 컴퓨터와 통신을 할 수 있는 USB 부(1), MCU 부(2), 절연부 및 릴레이 구동부(3), 릴레이 구동회로 부(4), 전원연결 부(5)로 나뉜다.
각각의 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USB 부(1): 컴퓨터의 USB포트에서 지원하는 5V 전원을 이용해 MCU 및 릴레이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한다. 컴퓨터의 USB포트에서 나오는 컨트롤 시그널을 이용해 전용 소프트웨어(Power Saver)에서 프로그램 되어진 명령을 멀티탭 콘센트 내부에 있는 MCU에 컨트롤 명령을 내린다. 이 MCU는 컴퓨터의 USB Port로부터 나오는 시그널을 USB접속단자를 통해MCU의 6,8번 핀을 통해 연결이 된다.
MCU 부(2): MCU의 4번과 5번에 연결되어있는 크리스탈(12MHz)은 MCU의 클록으로 사용되며 MCU는 이 클록이 발진 될 때마다 MCU내부에 프로그램 되어진 명령을 실행하게 된다.
MCU의 7, 9, 11, 15, 16, 17,18,19번 핀은 프로그램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포트의 릴레이를 구동하는 시그널을 출력하며, 릴레이 구동회로의 달링턴 트랜지스터 입력 포트인 D0, D1, D2, D3과 연결된다.
절연 및 릴레이 구동 부(3): 릴레이 구동회로의 전단에는 포토커플러를 적용하여 노이즈 및 신호간섭에 대비하기 위한 안정화 회로와 릴레이 구동에 필요한 달링턴 회로는 전용 IC를 사용한다.
전원 연결 부(4): 각 Relay 0 ~ 3까지의 접점(P0 ~ P3)는 멀티탭의 전원결선과 연결되어 MCU에서 시그널을 보내면 릴레이의 접점이 붙어 각 전원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컴퓨터를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컴퓨터 전원이 꺼져 일정시간 아무 작업도 하지 않을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과 멀티탭 콘센트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각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에너지절약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멀티탭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 콘센트는 용도에 맞게 수량을 정하여 구비된 코드삽입구(160);
    상기의 멀티탭 콘센트(100)와 컴퓨터와 통신을 위한 유에스비포트(200);
    멀티탭 콘센트(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101);
    상기 멀티탭 콘센트(100)의 내부에는 전원제어용 반도체소자로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용 릴레이 및 컴퓨터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전원제어용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컴퓨터에 설치되어 상기 컴퓨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탭 콘센트를 제어하는 GUI체제의 윈도우프로그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콘센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탭 콘센트를 제어하는 GUI체제의 윈도우프로그램의 상기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는 출력화면 구성은
    전원관리제어부와 콘센트이름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콘센트 장치
  3. 멀티탭 콘센트와 상기 멀티탭 콘센트에서 컴퓨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의 컴퓨터에서 멀티탭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멀티탭 콘센트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도록 구성하고, 컴퓨터에서 전송된 신호에 해당하는 멀티탭 콘센트의 전원을 온/오프하고,
    상기의 컴퓨터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탭 콘센트를 제어하는 GUI체제의 윈도우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윈도우 운영체제 시작시 멀티탭 제어용 프로그램이 램상주형태로 구동되고, 관리기능이 윈도우프로그램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시간 및 콘센트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전송된 신호에 해당하는 멀티탭 콘센트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장치는
    컴퓨터(300)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신호를 USB포트(200)를 통하여 멀티탭 콘센트에 전원이 인가(S_10)되고, 멀티탭 콘센트(100)의 ROM에 기억된 콘센트의 전원이 온(S_11)되고, 사용자 컴퓨터의 모니터를 통하여 윈도우에서 발생한 신호를 체크하여 해당되는 콘센트를 온/오프(S_12)하고,
    상기 온/오프된 상태를 전원제어 포트(ROM)에 저장(S_13)하고, 워치독(Watch-Dog)기능에 의해 상기 워치독의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검색(S_14)하는데 상기 워치독의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을 오프(S_16)하고 경과하지 않았으면 컴퓨터(300)의 종료신호가 있는지 체크(S_15)하여 종료신호가 없으면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기다리고, 종료신호가 있으면 콘센트의 전원을 오프(S_16)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제어 장치.
KR20-2004-0017423U 2004-06-21 2004-06-2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KR200361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23U KR200361500Y1 (ko) 2004-06-21 2004-06-2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23U KR200361500Y1 (ko) 2004-06-21 2004-06-2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088A Division KR20050119929A (ko) 2004-06-17 2004-06-1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500Y1 true KR200361500Y1 (ko) 2004-09-13

Family

ID=4943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423U KR200361500Y1 (ko) 2004-06-21 2004-06-2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5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35B1 (ko) * 2007-03-20 2009-06-11 김대웅 컴퓨터 및 주변장치의 대기전원 소모를 방지하는 멀티 탭
KR100939234B1 (ko) 2009-01-23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콘센트별로 전원관리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멀티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35B1 (ko) * 2007-03-20 2009-06-11 김대웅 컴퓨터 및 주변장치의 대기전원 소모를 방지하는 멀티 탭
KR100939234B1 (ko) 2009-01-23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콘센트별로 전원관리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멀티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2916B2 (en) Wireless control of power sockets based on host and signal quality
KR101697443B1 (ko) 저전력소모 대기 회로장치, 에어컨 및 에어컨의 제어방법
JP2000284867A (ja) 低消費電力情報システム及び低消費電力周辺機器及び低消費電力IrDAControlドングル
KR20030024068A (ko) 유에스비 전원 제어장치
JP2000105638A (ja) Usbデバイス及びusb接続システム
JP460245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KR20070024993A (ko) 전원제어방법 및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JP3213116U (ja) コンピュータオーバークロックの制御装置
KR100460951B1 (ko)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
KR100588775B1 (ko) 컴퓨터용 멀티탭과 그 제어시스템
JP2001195156A (ja) コンピュータの電源立ち上げ装置
KR100448274B1 (ko) 대기전력 차단 및 절전을 위한 전원공급 제어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절전 시스템
KR200361500Y1 (ko)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KR20050119929A (ko)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94810Y1 (ko) 다기능 멀티 탭
TWI459187B (zh) 電腦系統
CN210836540U (zh) 一种浴霸无线遥控器电路及遥控器
KR200375995Y1 (ko) 컴퓨터용 절전탭
CN108923715B (zh) 振动马达控制系统及电子设备
KR20040009239A (ko) 지능형 절전 멀티탭
KR20080085617A (ko) 컴퓨터 및 주변장치의 대기전원 소모를 방지하는 멀티 탭
KR20110024764A (ko)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KR200375959Y1 (ko) 직렬포트 병렬포트를 이용한 멀티탭
KR200382327Y1 (ko) 멀티 콘센트 제어 장치
KR20100126027A (ko) 전력 절감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