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352Y1 -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 Google Patents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352Y1
KR200361352Y1 KR20-2004-0017079U KR20040017079U KR200361352Y1 KR 200361352 Y1 KR200361352 Y1 KR 200361352Y1 KR 20040017079 U KR20040017079 U KR 20040017079U KR 200361352 Y1 KR200361352 Y1 KR 200361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toilet
main body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창섭
Original Assignee
심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창섭 filed Critical 심창섭
Priority to KR20-2004-0017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3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24F2007/002Junction box, e.g. for ducts from kitchen, toilet or bath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주택의 중앙집중식 환기장치와 연결되는 각 세대의 환기구로 역류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역풍차단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양단이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18)측과 중앙집중식 환기장치(17)측에 각각 직접 또는 덕트(19)로 연결되는 파이프형 본체(2)의 내측에 축 직각방향으로 회전축(3)을 축 설치하여 차단판(4)을 고정하고, 차단판(4)이 고정되는 회전축(3)의 일단을 본체(2) 외부로 도출하여 개폐수단으로 회동되게 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회전축(3)의 단부에 장공(5a)이 형성된 회동판(5)을 고정하고, 본체(2) 외부에 고정되어 있는 솔레노이드(6)의 작동축(6a)을 장공(5a)에 핀(7)으로 결합하며, 작동축(6a)의 후단은 본체(2)와 코일스프링(8)으로 연결하여 송풍팬(18)의 구동과 연계하여 개폐되는 차단판(4)을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6)와 코일스프링(8)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 설치되어 있는 주방 및 화장실 환기장치인 송풍팬(18)과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배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환기장치(17)로부터 전이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A head wind breaker for vent of kitchen and toilet}
본 고안은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주택의 중앙집중식 환기장치와 연결되는 각 세대의 환기구로 역류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역풍차단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다세대가 함께 사는 아파트의 경우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를 건물의 수직방향으로 배관되어 있는 중앙집중식 환기장치에 배관하여 송풍팬을 구동할 시 냄새를 배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 단순히 환기구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개폐기 내장형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서 역풍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구성으로 역풍을 완벽히 차단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으로, 이들 환기구를 통해 이웃의 음식냄새 등이 전이되므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기존 사용하고 있는 송풍팬과 중앙집중식 환기장치 사이에 별도의 역풍차단기를 부가하여 송풍팬이 작동할 때 개방되고, 송풍팬이 멈출 때 차단되게 함으로써 환기장치로부터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2:본체 3:회전축
4:차단판 5:회동판
5a:장공 6:솔레노이드
6a:작동축 7:핀
8:코일스프링 9:모터
10:팬 11:스위치
11a:레버 12:깔때기형 호퍼
13:받침대 14:브라켓
15:정역모터 15a:커플링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코자 하는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측과 중앙집중식 환기장치측에 각각 직접 또는 덕트로 연결되는 파이프형 본체(2)의 내측에 축 직각방향으로 회전축(3)을 축 설치하여 차단판(4)을 고정하고, 차단판(4)이 고정되는 회전축(3)의 일단을 본체(2) 외부로 도출하여 개폐수단으로 회동되게 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도출된 회전축(3)의 단부에는 장공(5a)이 형성된 회동판(5)을 고정하고, 본체(2) 외부에 고정되어 있는 솔레노이드(6)의 작동축(6a)을 장공(5a)에 핀(7)으로 결합하여 솔레노이드(6)에 전원이 인가될 때 차단판(4)을 회전 개방할 수 있게 하고, 작동축(6a)의 후단은 본체(2)와 코일스프링(8)으로 연결하여 솔레노이드(6)의 전원이 차단될 때 작동축(6a)을 원상복원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6)의 전원은 상기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들과 일괄 구동되게 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와 같은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단판(4)의 일측 즉, 환기장치측에 모터(9)에 의해 회전하는 팬(10)을 더 부가하여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측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환기장치로 배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6)에 전원을 별도로 연결하고, 본체(2)에 고정되는 스위치(11)에 의해 제어되게 하되, 상기 스위치(11)의 접점은 본체(2) 내측에 위치되며,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풍력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11a)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다. 레버(11a)의 전후방에는 공급되는 바람을 집진하는 깔때기형 호퍼(12)와 레버(11a)의 작동반경을 제어하는 받침대(13)를 본체(2)에 고정 설치한 구성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단판(4)이 고정되는 회전축(3)의 일단을 본체(2) 외부로 도출하여 개폐수단으로 회동되게 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도출된 회전축(3)의 단부에는 본체(2)에 형성된 브라켓(14)에 고정되는 정역모터(15)와 커플링(15a)으로 연결하여 차단판(4)을 개폐토록 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은 차단판(4)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도시한 것이고, 17은 (중앙집중식) 환기장치 및 이에 형성되는 연결구를 도시한 것이며, 18은 송풍팬, 19는 송풍팬(18)과 본체(2)를 연결하는 덕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1)는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18)측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중앙집중식 환기장치(17)로 배기하고, 환기장치(17)측에서 주방 및 화장실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 해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고안 사용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18)과 중앙집중식 환기장치(17) 사이에 본 고안의 역풍차단기(1)를 설치하고, 차단판(4)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6)의 전원을 송풍팬(18)과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주방 및 화장실 사용을 위해 송풍팬(18)을 구동하면 전원이 솔레노이드(6)에 동시에 인가되어 작동축(6a)을 구동하게 되며, 이때 작동축(6a)과 핀(7)으로 연결되는 회동판(5)이 회동하면서 차단판(4)을 회동시켜 환기장치(17)측으로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한 후 송풍팬(18) 전원을 차단하면 솔레노이드(6) 전원도 차단되는데 이때 솔레노이드(6)의 작동축(6a)은 후단이 본체(2)와 코일스프링(8)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어 작동축(6a)을 후퇴시키게 되므로 상기와는 반대로 차단판(4)이 회동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바, 환기장치(17)로부터 주방이나 화장실측으로 역류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과 같이 차단판(4) 전방으로 모터(9)에 의해 회전하는 팬(10)을 부가할 경우 송풍팬(18) 및 솔레노이드(6)와 모터(9)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바,송풍팬(18)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더욱 신속하게 환기장치(17)로 배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도 4와 같이 구성할 경우는 솔레노이드(6) 구동전원을 별도로 연결한 것으로서, 이는 송풍팬(18)과의 전원연결이 어려운 곳에 매우 유리하면서도 송풍팬(18)의 작동과 연계한 차단판(4)의 개폐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송풍팬(18)을 구동하여 배기 할 때 송풍팬(18)에서 제공되는 풍력의 일부가 깔때기형 호퍼(13)에 의해 집진되어 솔레노이드(6)를 제어하는 스위치(11)의 레버(11a)측에 공급되면서 레버(11a)를 회동시킴으로 해서 스위치(11)를 접점시켜 솔레노이드(6)를 구동되므로 송풍팬(18)에 의해 흡입 배기되는 풍력에 의해 솔레노이드(6)가 송풍팬(18)과 연계 작동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도 5와 같이 구성할 경우 정역모터(15)의 구동에 의해 차단판(4)의 개폐작동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구성을 간소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주방 또는 화장실의 송풍팬(18)이 구동할 때 차단판(4)이 개방되어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지고, 송풍팬(18)이 정지되면 차단판(4)이 폐쇄되어 환기장치(17)로부터의 역류를 차단하게 되므로 환기장치(17)를 통해 전이되는 악취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원활한 배기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고안의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1)는 송풍팬(17)의 구동과 연계하여 개폐되는 차단판(4)을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6)와 코일스프링(8)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정역모터(15)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 설치되어 있는 주방 및 화장실 환기장치인 송풍팬(18)과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역풍차단기(1)를 설치할 경우 배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환기장치(17)로부터 전이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등 기대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양단이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18)측과 중앙집중식 환기장치(17)측에 각각 직접 또는 덕트(19)로 연결되는 파이프형 본체(2)의 내측에 축 직각방향으로 회전축(3)을 축 설치하여 차단판(4)을 고정하고,
    상기 차단판(4)이 고정되는 회전축(3)의 일단을 본체(2) 외부로 도출하여 개폐수단으로 회동되게 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회전축(3)의 단부에 장공(5a)이 형성된 회동판(5)을 고정하고, 본체(2) 외부에 고정되어 있는 솔레노이드(6)의 작동축(6a)을 장공(5a)에 핀(7)으로 결합하며, 작동축(6a)의 후단은 본체(2)와 코일스프링(8)으로 연결하고,
    상기 솔레노이드(6)의 전원은 상기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18)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들과 일괄 구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및 화장실용 역풍 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6)에 전원은 별도로 연결하고, 본체(2)에 고정되는 스위치(11)에 의해 제어하되,
    상기 스위치(11)의 접점은 본체(2) 내측에 위치되며, 주방 및 화장실의 송풍팬(16)으로부터 공급되는 풍력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11a)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11a)의 전후방에는 공급되는 바람을 집진하는 깔때기형 호퍼(12)와 레버(11a)의 작동반경을 제어하는 받침대(13)를 본체(2)에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및 화장실용 역풍 차단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4)의 일측(환기장치(17)측)에는 모터(9)에 의해 회전하는 팬(10)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및 화장실용 역풍 차단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 외부로 도출된 회전축(3)을 회동시키는 개폐수단은 회전축(3)의 단부와 본체(2)에 형성된 브라켓(14)에 고정되는 정역모터(15)와 커플링(15a)으로 연결하고, 정역모터(15)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및 화장실용 역풍 차단기.
KR20-2004-0017079U 2004-06-17 2004-06-17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KR200361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79U KR200361352Y1 (ko) 2004-06-17 2004-06-17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79U KR200361352Y1 (ko) 2004-06-17 2004-06-17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352Y1 true KR200361352Y1 (ko) 2004-09-08

Family

ID=4943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079U KR200361352Y1 (ko) 2004-06-17 2004-06-17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3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430B1 (ko) 2016-01-13 2016-09-21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환기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430B1 (ko) 2016-01-13 2016-09-21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환기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0972B (zh) 通过一个风门切换风向的具有新风功能的双风机取暖器
CN101158489A (zh) 一种沐浴集成电器
KR200361352Y1 (ko)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JP2004245495A (ja) 簡易空調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送風装置
JP4354415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4463704B2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熱交換換気装置
CN105180287B (zh) 贯流风管式空调机组及送风方法
JP4372698B2 (ja) 天井埋込型の熱交換換気装置
KR20090028667A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JP3738630B2 (ja) 多室換気装置
JP4352624B2 (ja) 空調換気装置
CN205351482U (zh) 通过一个风门切换风向的具有新风功能的双风机取暖器
KR200436780Y1 (ko) 후드겸용 통합환기장치
KR200369127Y1 (ko) 주방 및 화장실 송풍팬 및 환기구 역풍차단기
JP2004044866A (ja) 浴室暖房乾燥機
KR200365796Y1 (ko)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JP3427096B2 (ja) サニタリ換気乾燥システム
KR20180036235A (ko)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JP436922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200013835A (ko) 화장실 급기 배기 온열 시스템
JP3932895B2 (ja) 換気装置
KR100366570B1 (ko) 자동차용 냉방장치의 이베퍼레이터 장착 구조
JP4311036B2 (ja) 浴室換気暖房乾燥装置
KR200180286Y1 (ko) 원심 개폐식 환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