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322Y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322Y1
KR200361322Y1 KR20-2004-0016634U KR20040016634U KR200361322Y1 KR 200361322 Y1 KR200361322 Y1 KR 200361322Y1 KR 20040016634 U KR20040016634 U KR 20040016634U KR 200361322 Y1 KR200361322 Y1 KR 200361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control
do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효덕
Original Assignee
남효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효덕 filed Critical 남효덕
Priority to KR20-2004-0016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3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제어장치로 구성되는데,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기능버튼 및 비밀번호 입력에 대응된 원격상세 무선제어에 의거하여, 도어락 원격 RF제어신호를 도어락 RF무선제어 캐리어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전송하고,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기능버튼을 이용한 로컬간편 무선제어에 의거하여, 도어락 잠금해제에 대응된 적외선신호를 전송하며, 도어락 제어장치는; RF무선 수신되는 신호에서 비밀번호를 체크하여 도어잠금장치의 잠금해제 및 원격잠금해제 부저음 발생을 선택적으로 수행함과 함께 도어락 자동 재잠금을 미리 설정된 정상 재잠금시간보다 긴 시간후에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RF무선통보하며, 적외선 수신되는 도어락 잠금해제에 대응된 적외선신호에 의거하여 도어락 잠금장치의 잠금해제 및 로컬잠금해제 부저음 발생을 선택적으로 수행함과 함께 도어락 자동 재잠금을 미리 설정된 정상 재잠금시간보다 짧은 시간후에 수행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DOOR ROCK CONTROL APPARATUS USING MOBILE PHONE}
본 고안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보안성과 사용성이 뛰어난 잠금장치를 많이 사용한다. 기존 기계식이었던 잠금장치는 점차 디지털식이나 더 나아가 지문과 같은 생체인식 가능한 잠금장치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렇게 발전된 잠금장치는 통상 이러한 "도어락(door locker)"이라 칭해진다.
도어락방식에는 비밀번호 입력인식이나 지문인식, 홍채인식, 음성인식 등 다양한 방식들이 있으며, 예컨대 비밀번호 입력과 지문인식 등 두 가지가 결합된 방식으로 도어락에 주로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에는 여러 가지 장점이 많이 있으나, 인터폰과의 연동이 불가능하며, 방문자가 현관문밖에서 초인종을 누를 시에는 실내에 있는 사람이 직접 열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지문인식과 비밀번호와 같은 생체인식을 도어락장치의 입력창에 직접 접촉 내지 입력시켜야만 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락이 장소의 외부인이나 내부인이 간단하게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락 제어기능버튼이 적어도 구비된 키입력부와, RF무선부 및 적외선 송출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도어락을 무선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도어잠금장치, RF무선부, 적외선센서, 및 타이머를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제어에 의해서 상기 도어락을 작동시키는 도어락 제어장치로 구성하는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기능버튼 및 비밀번호 입력에 대응된 원격상세 무선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RF무선부를 통하여 도어락 원격 RF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도어락 RF무선제어 캐리어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전송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기능버튼을 이용한 로컬간편 무선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적외선송출부를 통해 도어락 잠금해제에 대응된 적외선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도어락 제어장치는; 상기 RF무선부를 통해서 RF무선 수신되는 신호에서 비밀번호를 체크하여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잠금해제 및 원격잠금해제 부저음 발생을 선택적으로 수행함과 함께 도어락 자동 재잠금을 상기 타이머를 이용해 미리 설정된 정상 재잠금시간보다 긴 시간후에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RF무선통보하며, 상기 적외선센서를 통해서 수신되는 도어락 잠금해제에 대응된 적외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도어락 잠금장치의 잠금해제 및 로컬잠금해제 부저음 발생을 선택적으로 수행함과 함께 도어락 자동 재잠금을 상기 타이머를 이용해 미리 설정된 정상 재잠금시간보다 짧은 시간후에 수행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도 1의 도어락 제어장치에서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를 이용하여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장치 구성도로서, 도어락 무선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2)와, 이동통신단말기(2)의 무선제어에 의거하여 도어 잠금/잠금해제를 수행하는 도어락 제어장치(4)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를 이용하면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의 외부에서뿐만 아니라 출입문의 내부에서도 도어락을 RF신호나 적외선과 같은 무선으로 잠금해제 또는 잠금제어를 할 수 있다. 출입문 내부에서의 무선 제어는 외부에서의 무선 제어에 비해서 좀더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도 1에서, 이동통신단말기(2)의 구성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2)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도어락의 설치된 출입문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의 도어락 잠금해제 또는 잠금제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0)에서의 도어락 제어는 RF무선부(17)를 통한 RF제어와 적외선 송출부(34)를 이용한 적외선 제어가 있다.
키입력부(12)는 다수의 숫자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키 누름에 대응된 키데이터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키입력부(12)는 이동통신단말의 도어락 제어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도어락 무선제어 기능버튼을 구비한다. 표시부(14)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16)는 이동단말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와 제어부(2)의 동작 제어시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동작 수행중 발생되는 데이터를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RF무선부(17)는 송신부(18), 수신부(22), 주파수 합성기(20), 듀플렉서(2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특히 RF무선부(17)의 주파수 합성기(20)는 제어부(10)의 도어락 무선제어 명령에 따라, 이동통신단말 송수신대역이 아닌 도어락 무선제어를 위한 캐리어 주파수대역인 수십MHz대의 캐리어주파수를 생성시키며, 무선부(17)의 송신부(18)에 의해서 제어부(10)로부터의 도어락 무선제어신호가 RF변조되고 안테나(28)를 통해서 무선 전송된다. 음성처리부(24)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무선부(17)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30)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24)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4)로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송출부(34)는 이동통신단말기(2)를 이용한 사용자의 도어락 해제 요구에 따라,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도어락 해제를 위한 적외선신호를 송출한다.
다음으로, 출입문에 설치된 도 1의 도어락 제어장치(4)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어락 제어장치(4)는 출입문의 실내부분 즉 도어락 후면부에 배치되는 실내측부(42)와, 출입문의 실외부분 즉 도어락 전면부에 배치되는 실외측부(52)가 포함되어 있다. 실내측부(42)의 구성요소로서는, 적외선센서(44), 잠금해제버튼(48)등이 포함되며, 실외측부(52)의 구성요소로서는, 생체 인식부(56), 키패드(58),LED(60) 및 부저(62)가 포함된다.
도 1의 도어락 제어장치(4)에서, 제어부(40)는 이동통신단말기(2)로부터의 도어락 제어신호가 RF형태로 안테나(55), RF무선부(54)를 통해 수신되면, 도어락 무선 제어신호에서 비밀번호를 확인한 후 도어락 잠금해제를 수행한다. 아울러 이동통신단말기(2)로부터의 도어락 제어신호가 적외선형태로 적외선 센서(44)를 통해 수신되면, 바로 도어락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또한 내부에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어, 프로그램 데이터와,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번호 등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RF무선부(54)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RF신호를 송수신한다.
실외측부(52)의 생체 인식부(56)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접촉 또는 입력되는 지문, 홍채, 음성과 같은 생체정보를 감지하며, 키패드(58)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키들 및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키를 구비한다. LED(60) 및 부저(62)는 도어 잠금 및 잠금해제에 관련되어 발광 및 부저음을 발생한다.
실내측부(42)의 구성요소인 적외선 센서(44)는 도어락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출입문의 실내에 있는 사람이 이동통신단말기(2)를 이용하여 로컬(locally)로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적외선신호로 하게 될 때 그 적외선신호를 감지하게된다. 하지만 출입문 실외에서 이동통신단말기(2)로부터 송출된 적외선 신호는 특성상 검출하지 못한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44)의 배치는 실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2)만을 가지고도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무선으로 하게 해준다. 잠금해제버튼(46)은 실내 사용자의 누름에 따른 잠금해제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
도어잠금장치(48)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차량의 도어잠금 또는 도어잠금 해제를 한다.
타이머(50)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긴주기모드(T1)와 짧은 주기모드(T2)로 타어머값이 설정되며 구동된다. 긴주기모드(T1)는 이동통신단말기(2)의 사용자가 실외에서 도어락을 무선 제어할 때 설정되며, 짧은 주기모드(T2)는 이동통신단말기(2)의 사용자가 적외선통신을 통해 실내에서 도어락을 무선 제어할 때 설정된다. 타이머 만료가 되면 제어부(40)는 잠금 해제된 도어락을 다시 잠금 제어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2)에서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도어락 제어장치(4)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2)를 이용하여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을 수백미터에서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에서 내려서 집근처 외부에서 수백미터 떨어진 출입문의 잠금을 미리 해제해 놓을 수도 있다. 또한 방문한 손님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실내에서 아주 간단하게 출입문의 잠금을 바로 해제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의 사용자는 외부나 내부에서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을 원격 RF무선 제어하기 위해, 키입력부(12)의 도어락 제어기능버튼을 1회 누르고 비밀번호 및 전송 요구키를 연이어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내부에서 도어락을 간편하게 로컬 적외선 무선제어하기 위해, 키입력부(12)의 도어락 제어기능 버튼을 2회 연속 입력하면 된다.
먼저 이동통시단말기(2)를 이용한 도어락 원격 RF무선 제어를 위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출입문과 수십미터 떨어진 외부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키입력부(12)에 구비된 도어락 제어 기능버튼을 한번 누르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2)의 제어부(10)는 도 2의 100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도 2의 102단계에서 휴대폰 모드의 이동통신단말기(2)를 도어락 제어모드로 전환시키고, 아울러 표시부(14)를 통해서 도어락 제어모드임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도어락 제어기능 버튼 1회 입력에 이어서 도어락에 설정된 도어락 밀번호 및 전송요구키를 연속해서 입력을 하게 되면, 제어부(10)에서는 104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게 되면 106단계에서 주파수 합성기(20)를 제어하여 도어락 RF제어 캐리어주파수 대역인 수십 메가헤르츠의 캐리어주파수가 발생되게 하다. 그 후 108단계에서는 도어락 비밀번호를 송신부(18)를 통해서 도어락 RF제어 캐리어주파수에 싣고 RF변조해 안테나(28)를 통해 무선 전송한다. 그와 함께 이동통신단말(2)의 표시부(14)의 표시창으로 도어락 RF제어 수행을 표시해준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2)로부터 도어락 RF제어신호가 무선 전송되어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의 무선부(54)를 통해서 수신이 되면 도 3에 도시된 제어 흐름으로 동작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락 제어장치(4)의 제어부(40)는 RF무선부(54)를 통해서 RF제어신호가 수신되면(도 3의 200단계), 도 3의 202단계로 진행한다. 도 3의 202단계에서 제어부(40)는, 무선 수신되는 신호에서 비밀번호를 해독하고 해독된 비밀번호가 내부 메모리에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고, 204단계에서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일치를 하게 되면 도어락 제어장치(4)의 제어부(40)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도어잠금장치(48)를 제어하여 도어락 잠금을 해제시키고 아울러 부저(62)를 통해서 원격잠금 해제 부저음을 발생시킨다. 일 예로, 원격잠금 해제 부저음을 멜로디 형태로 되게 하여 출입문 실내에 있는 사람이 이동통신단말기(2)를 이용한 원격 무선제어를 통해서 잠금 해제 제어함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원격 무선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도어잠금장치(48)의 잠금해제후 자동 재잠금되는 인터벌이 될 수 있는 대로 긴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어부(40)는 도 3의 208단계에서 타이머(50)를 긴 주기모드(T1)로 설정 및 구동한다. 긴 주기모드(T1)라 함은 미리 설정된 잠금해제 후 자동 잠금되는 정상 인터벌보다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의미하는데, 예컨대 정상 인터벌이 10초라면, 긴주기모드(T1)의 인터벌은 30초 내지 3분까지가 될 수 있다.
긴주기모드(T1)로 타이머(50)가 설정이 되면 이동통신단말기(2)의 사용자는 출입문과 다소 떨어져 있어도 자동 재잠금이 이루어지게 전에 출입문을 열고 실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도 3의 210단계의 판단에서 긴주기모드(T1)에 의한 타이머 만료가 되면, 제어부(40)는 도 2의 212단계로 진행하여 도어잠금장치(48)를 제어하여 도어락 잠금을 수행함과 아울러 부저(62)를 통해서 잠금 부저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도 3의 213단계에서 제어부(40)는 RF무선부(54)를 통해서 도어잠금해제 수행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2)로 RF무선 전송을 한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의 제어부(10)는 도 2의 112단계의 판단단계에서 결과통보 수신을 하고선, 114단계로 진행하여 수행 결과를 표시부(14)의 표시창으로 표시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2)의 표시부(14)의 표시창을 통해서 편리하게 도어락 원격작동 수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방문한 손님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실내에서 아주 간단하게 출입문의 잠금을 바로 해제할 수도 있다.
출입문에서 손님이 초인종을 누르거나 문을 열어 달라고 요청을 하게 되면, 실내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2)의 사용자는 키입력부(12)에 구비된 도어락 제어 기능버튼을 2회 연속해서 눌러 출입문을 열 수 있다.
도 1에는 비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초인종에 설치된 카메라모듈이 도어락 제어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어락 제어장치(4)의 제어부(40)는 손님이 초인종을 누름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활성화되어 피사체를 촬영을 하게 되면 이를 무선으로 이동통신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2)의 사용자는 방문한 손님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출입문 인터폰에 RF무선부를 구비하여 이동통신단말기(2)와 무선통신하여 손님이 초인종을 누름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활성화되어 촬영된 피사체화면을 이동통신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2)의 사용자는 방문한 손님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방문한 손님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의 사용자는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키입력부(12)에 구비된 도어락 제어 기능버튼을 2회 연속해서 누르게 된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의 제어부(10)는 도 2의 116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도 2의 118단계로 진행한다. 이동통신단말기(2)의 제어부(10)는 도 2의 118단계에서 적외선 송출부(34)를 제어하여 도어락 잠금 해제에 대응된 적외선신호를 송출한다.
실내에서 송출된 적외선 신호는 직진성을 가지며 수미터 내지 수십미터까지 유효한 신호거리를 형성하므로, 도어락 제어장치(4)의 적외선센서(44)를 통해서 감지가 되며, 도어락 제어장치(4)의 제어부(40)로 인가된다.
도어락 제어장치(4)의 제어부(40)는 적외선 센서(44)를 통해서 도어락 잠금해제에 대응된 적외선신호가 수신되면 도 3의 214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도 3의 216단계로 진행한다.
도 3의 216단계에서 도어락 제어장치(4)의 제어부(40)는, 도어잠금장치(48)를 제어하여 도어락 잠금을 해제시키고 아울러 부저(62)를 통해서 로컬잠금 해제 부저음을 발생시킨다. 일 예로, '삐리릭'과 같은 로컬 잠금해제 부저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로컬 적외선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도어잠금장치(48)의 잠금해제후 자동 재잠금되는 인터벌이 될 수 있는 대로 짧은 이 바람직하므로 제어부(40)는 도 3의 218단계에서 타이머(50)를 짧은 주기모드(T2)로 설정 및 구동한다. 짧은 주기모드(T2)라 함은 미리 설정된 잠금해제 후 자동 잠금되는 정상 인터벌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을 의미하는데, 예컨대 정상 인터벌이 10초라면, 짧은주기모드(T2)의 인터벌은 5초 내지 8초가 될 수 있다.
도어락 잠금이 해제되므로 출입문 외부에 있는 손님은 출입문을 열고 바로 실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되고, 도 3의 220단계의 판단에서 짧은 주기모드(T2)에 의한 타이머 만료가 되면, 제어부(40)는 도 3의 212단계로 진행하여 도어잠금장치(48)를 제어하여 도어락 잠금을 수행함과 아울러 부저(62)를 통해서 잠금 부저음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 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를 이용하면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의 외부에서뿐만 아니라 출입문의 내부에서도 도어락을 RF신호나 적외선과 같은 무선으로 잠금해제 또는 잠금제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문 내부에서의 무선 제어는 외부에서의 무선 제어에 비해서 좀더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을 무선제어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락 제어기능버튼이 적어도 구비된 키입력부와, RF무선부 및 적외선 송출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도어락을 무선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도어잠금장치, RF무선부, 적외선센서, 및 타이머를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제어에 의해서 상기 도어락을 작동시키는 도어락 제어장치로 구성하는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기능버튼 및 비밀번호 입력에 대응된 원격상세 무선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RF무선부를 통하여 도어락 원격 RF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도어락 RF무선제어 캐리어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전송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기능버튼을 이용한 로컬간편 무선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적외선송출부를 통해 도어락 잠금해제에 대응된 적외선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도어락 제어장치는;
    상기 RF무선부를 통해서 RF무선 수신되는 신호에서 비밀번호를 체크하여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잠금해제 및 원격잠금해제 부저음 발생을 선택적으로 수행함과 함께 도어락 자동 재잠금을 상기 타이머를 이용해 미리 설정된 정상 재잠금시간보다 긴 시간후에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RF무선통보하며,
    상기 적외선센서를 통해서 수신되는 도어락 잠금해제에 대응된 적외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도어락 잠금장치의 잠금해제 및 로컬잠금해제 부저음 발생을 선택적으로 수행함과 함께 도어락 자동 재잠금을 상기 타이머를 이용해 미리 설정된 정상 재잠금시간보다 짧은 시간후에 수행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원격상세 제어수행 상태 및 도어락 제어장치에서의 수행 결과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해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KR20-2004-0016634U 2004-06-14 2004-06-1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KR200361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34U KR200361322Y1 (ko) 2004-06-14 2004-06-1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34U KR200361322Y1 (ko) 2004-06-14 2004-06-1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581A Division KR20050118455A (ko) 2004-06-14 2004-06-1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322Y1 true KR200361322Y1 (ko) 2004-09-08

Family

ID=4943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634U KR200361322Y1 (ko) 2004-06-14 2004-06-1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3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07Y1 (ko) * 2015-01-12 2015-05-18 이태권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
KR20210094291A (ko) 2020-01-21 2021-07-29 김수호 Iot 스마트 도어락의 컨트롤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iot 스마트도어락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07Y1 (ko) * 2015-01-12 2015-05-18 이태권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
KR20210094291A (ko) 2020-01-21 2021-07-29 김수호 Iot 스마트 도어락의 컨트롤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iot 스마트도어락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365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KR20140109683A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176749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JP6811428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US20220319261A1 (en) Automatic Door Opening Systems and Methodolgies
KR20150035644A (ko)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61322Y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KR201700244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20020081168A (ko) 전자식 도어록
KR20210094291A (ko) Iot 스마트 도어락의 컨트롤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iot 스마트도어락 제어 시스템
CN207425041U (zh) 一种智能门铃
KR100265416B1 (ko) 지문인식용 전자식 도어록
KR2005011845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KR102227461B1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KR100836366B1 (ko)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US9761105B1 (en) Control system providing a real-time remote alarm
JP4369625B2 (ja) 施錠/解錠システム及び施錠/解錠方法
KR102099298B1 (ko) 출입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292172Y1 (ko) 전자도어락
KR100638025B1 (ko) 잠금 해제 시스템
KR101311444B1 (ko)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
KR10223927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20080082725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0054702A (ja) ドア電気錠連動型インターフォン装置
KR200221626Y1 (ko) 이중 잠금구조를 가지는 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