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985Y1 -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985Y1
KR200360985Y1 KR20-2004-0016117U KR20040016117U KR200360985Y1 KR 200360985 Y1 KR200360985 Y1 KR 200360985Y1 KR 20040016117 U KR20040016117 U KR 20040016117U KR 200360985 Y1 KR200360985 Y1 KR 200360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er
incinerator
incineration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식
Original Assignee
(주)미래씨엔씨
정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씨엔씨, 정경식 filed Critical (주)미래씨엔씨
Priority to KR20-2004-0016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9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너에 의해 지정온도로 가열유지되어 슬러지 및 오염공기를 소각시키는 소각기(40)와; 상기 소각기(40)의 잔류열량을 이송받아 지정온도로 유지되며, 슬러지 건조에 의해 발생된 오염공기가 상기 소각기(40)로 배출되는 제2건조기(30)와; 상기 제2건조기(30)의 잔류열량을 이송받아 지정온도로 유지되고, 슬러지 건조에 의해 발생된 오염공기가 상기 소각기(40)로 배출되는 제1건조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가 상기 소각기(40)에 제공되는 열량만으로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 소각기(40)를 순차적으로 거쳐 건조 및 소각처리되며, 상기 제1건조기(20)로 투입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10)와, 상기 소각기(40)에서 배출된 소각잔재를 보관 및 포장하는 포장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러지의 탈수, 건조, 소각, 포장이 연속적으로 처리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각 공정마다 슬러지 운반과정이 별도로 수행될 필요없이 연속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소각기의 잔류열량에 의해 일차, 재차로 건조기를 가열 및 고온유지시킴에 따라 열회수율이 높고, 각 구성요소마다 슬러지량, 온도, 공기압의 체크밸브 및 센서를 설치해 전공정 모니터링 및 1인 자동제어가 가능하여 인력과 시간소요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a trash burner for sludge to posssible continuous process}
본 고안은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가 탈수기, 제1건조기, 제2건조기, 소각기, 포장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연속적으로 탈수, 건조, 소각, 포장처리되며, 상기 제1건조기, 제2건조기는 소각기에서 제공되는 잔류열량에 의해 가열 및 고온유지되고, 소각기의 잔류열량이 상기 제1건조기까지 거치면서 식혀짐에 따라 가열 및 냉각에 소요되는 연료비가 절감되며, 각 구성요소마다 슬러지량, 온도, 공기압의 체크밸브 및 센서를 설치해 전공정 모니터링 및 1인 자동제어가 가능한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일반쓰레기 및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쓰레기는 수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손쉽게 소각처리시킨 후 매립시키나, 하수처리에서 발생된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는 다량함유되어 있는 수분으로 인해 소각이 어려워 이러한 슬러지의 탈수, 건조, 소각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슬러지 소각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수슬러지를 수분함량이 75%이하로 되도록 탈수시킨 후, 충분한 노출상태 및 건조시간을 제공하는 이송경로를 구비한 건조로를 통과시켜 지정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키고, 건조된 슬러지를 소각로에서 소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슬러지의 소각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수분을 다량함유한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탈수기 구조와, 건조와 소각공정을 연속처리하는 구조가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으나, 상기 탈수기는 종래에 원심회전이나 수분흡입의 원리를 이용함에 따라 대용량의 수용조, 회전기, 흡입기 등이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건조기 및 소각기는 슬러지의 충분한 수분증발 및 완전소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는 이송경로가 구비되어야하므로, 탈수기, 건조 및 소각기 각각의 기기만으로도 설치규모가 비대해 하나의 공간부상에 병립설치하기도 어려웠다.
충분히 탈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슬러지를 건조 및 소각기로 투입하여 처리할 시 열량소모가 현격하게 증가되므로, 기존에는 탈수기로 탈수처리한 슬러지를 무게나 부피단위로 운반하여 건조 및 소각시키고 다시 포장기로 운반하여 포장처리하는 과정을 거침에 따라, 탈수, 건조, 소각공정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뿐만 아니라 각 공정사이 슬러지의 수거 및 운반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포함하여 유지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건조 및 소각기는 소각기의 잔류열량을 이용하여 전(前)건조시킨 후 소각처리하도록 하는 일차적인 열량이용구조가 제시되어 있으나, 건조기나 소각기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소각시키기 위한 공기소각로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했으며, 건조기내 고온의 잔류열량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현격한 온도차로 강제냉각시켜야했다.
그리고, 상기 건조 및 소각기는 충분한 이송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일정너비이상의 설치면적을 필연적으로 구비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소각시키고자하는 슬러지량의 대소에 따라서도 유연한 축소 및 확대변형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열변형에 의해 잦은 손상이 발생되는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의 유지보수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탈수, 건조 및 소각공정마다 슬러지 운반과정이 별도로 수행될 필요없이 연속적으로 탈수, 건조, 소각, 포장처리될 수 있어 시간과 인력소요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구조의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각기의 잔류열량에 의해 일차, 재차로 건조기를 가열 및 고온유지시키고, 소각기의 잔류열량이 상기 제1건조기까지 거치면서 배출온도에 가까워짐에 따라 가열 및 냉각에 소요되는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구조의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슬러지의 고온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 및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제거 및 정화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체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간효율적인 구성을 가지며, 유지보수가 간편한 탈수기, 소각기, 건조기를 제공하는 구조의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 탈수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 도 1의 제1건조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 - 도 1의 제2건조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의 이실시예를 도시한 요부개략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탈수기 11 : 실린더
12 : 유압피스톤 20 : 제1건조기
21 : 회전판부 22 : 회오리형 이송경로
30 : 제2건조기 40 : 소각기
41 : 분리부 42 : 수직프레임부
43 : 하방이송부 43a : 하방이송스크류
44: 배출부 50 : 포장기
61 : 쿨링타워 62 : 백필터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버너에 의해 지정온도로 가열유지되어 슬러지 및 오염공기를 소각시키는 소각기(40)와; 상기 소각기(40)의 잔류열량을 이송받아 지정온도로 유지되며, 슬러지 건조에 의해 발생된 오염공기가 상기 소각기(40)로 배출되는 제2건조기(30)와; 상기 제2건조기(30)의 잔류열량을 이송받아 지정온도로 유지되고, 슬러지 건조에 의해 발생된 오염공기가 상기 소각기(40)로 배출되는 제1건조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가 상기 소각기(40)에 제공되는 열량만으로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 소각기(40)를 순차적으로 거쳐 건조 및 소각처리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는, 상기 제1건조기(20)로 투입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10)와, 상기 소각기(40)에서 배출된 소각잔재를 보관 및 포장하는 포장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러지의 탈수, 건조, 소각, 포장이 연속적으로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는, 상기 제1건조기(20) 외부로 배출되는 잔류열량을 지정온도 이하로 하강시키는 쿨링타워(61)와, 상기 제1건조기(20)의 잔류열량과 함께 배출되는 비산먼지를 제거하는 백필터(62)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 소각기(40)는, 선택적으로, 인입된 슬러지가 다수의 이송통로로 분할 및 이격되는 분리부(41)와; 상기 분리부(41)의 이격된 분할통로 각각에 연속형성되고 상하로 연통된 수직프레임부(42)와; 상기 수직프레임부(42)으로 공급된 슬러지를 하방으로 스크류이송시키는 하방이송스크류(43a)가 구비되며, 상기 하방이송스크류(43a)를 통과한 슬러지가 자유낙하되는 하방이송부(43)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방이송부(43) 하측에 적재되는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기(20, 30), 소각기(40), 탈수기(10)에는, 슬러지량, 열량 및 온도, 공기압을 체크하고 개폐제어되는 체크밸브 및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 및 센서에서 체크된 데이타를 모니터링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20, 30), 소각기(40)에는, 온도 상승 및 기존온도 유지를 위한 보조예열버너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기(20, 30), 소각기(40), 탈수기(10), 포장기(50)에는, 슬러지가 전후공정간 연속이송되도록 컨베이어 벨트나 이송스크류가 유입구 및 배출구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탈수기(10)는, 실린더형 공간부(11)로 유입된 슬러지를 유압피스톤(12)에 의해 압착시켜 탈수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건조기(20)는, 원형의 중앙부로 갈수록 하강되는 형상의 회전판부(21) 하면상에 외측으로부터 중앙까지 회오리형상으로 연속형성된 이송경로(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송경로(22) 외측부로 유입된 슬러지가 상기 회전판부(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경로(22)를 따라 중앙으로 이송되면서 건조되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탈수, 건조 및 소각공정마다 슬러지 운반과정이 별도로 수행될 필요없이 연속적으로 탈수, 건조, 소각, 포장처리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각기의 잔류열량에 의해 일차, 재차로 건조기를 가열 및 고온유지시킴에 따라 열회수율이 높고, 소각기의 잔류열량이 상기 제1건조기까지 거치면서 배출온도에 가까워짐에 따라 가열 및 냉각에 소요되는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마다 슬러지량, 온도, 공기압의 체크밸브 및 센서를 설치해 전공정 모니터링 및 1인 자동제어가 가능하여 인력과 시간소요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또한, 슬러지의 고온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 및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제거 및 정화배출시킬 수 있는 건조기 및 소각기의 연계구조를 제공한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자체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간효율적인 구성에 의해 설치면적을 종래에 비해 현격히 감소시키며, 유지보수가 간편한 구조의 탈수기, 소각기, 건조기를 제공한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또한, 건조기 및 소각기의 설치규모가 적어 전반으로의 열량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재가동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탈수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건조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건조기 및 소각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의 이실시예를 도시한 요부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는 크게 탈수기(10),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 소각기(40), 포장기(5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탈수기(10)는 실린더(11)로 유입된 슬러지를 유압피스톤(12)에 의해 압착시켜 탈수시키고, 상기 제1건조기(20)는 상기 제2건조기(30)의 잔류열량에 의해 가열유지되며, 상기 제2건조기(30)는 상기 소각기(40)의 잔류열량 의해 가열유지되고, 상기 소각기(40)는 버너에 의해 지정온도로 가열유지되어, 슬러지가 순차적으로 거쳐 1, 2차 건조 및 소각된 후 상기 포장기(50)에서 보관 및 포장처리된다.
먼저 상기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 소각기(40)의 연계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슬러지는 상기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 소각기(4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건조 및 소각되는데, 상기 소각기(40)는 버너에 의해 지정온도로 가열유지되고, 상기 제2건조기(30)와 제1건조기(20)는 각각 상기 소각기(40)와 제2건조기(30)로부터 잔류열량을 이송받아 지정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는 후공정의 잔류열량에 의해 지정온도를 유지함에 따라 전공정일수록 지정온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는 상기 소각기(40)내의 잔류열량이 제2건조기(30)와 제1건조기(2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점차 소비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실험적인 예로써, 상기 소각기(40)의 가열지정온도를 슬러지와 공기를 소각시키기에 충분한 850℃로 하고, 잔류열량을 상기 제2건조기(30)와 제1건조기(20)로 역제공한 결과,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를 각각 300~400℃, 550~600℃로 가열 및 유지시킬 수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소각기(40)에서 발생되는 열량을 일차, 재차로 사용함에 따라 열회수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소각기(4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잔류열량이 상기 제2건조기(30)와 제1건조기(20)를 거치면서 배출온도에 보다 가깝게 자연히 낮아지게됨에 따라 배출공기를 냉각시키는 데 소요되는 연료비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건조기(20)와 제2건조기(30)에서 슬러지를 고온처리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악취, 수증기와 같은 오염공기는 상기 소각기(40)로 배출되며, 상기 소각기(40)는 지정가열온도로 유지됨에 따라 자체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포함해, 상기 제1건조기(20)와 제2건조기(30)로부터 제공되는 오염공기까지 함께 소각처리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탈수기(10) 및 포장기(50)를 포함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연계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탈수기(10)는 후공정에서 수분증발에 소요될 열량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분을 다량 함유한 슬러지를 탈수처리하여 수분함유율을 50%정도로 낮추는 장치이며, 상기 포장기(50)는 상기 소각기(40)로부너 완전소각되어 배출되는 소각잔재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적재보관하고 일정하중이나 부피단위로 포장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기(10), 건조기(20, 30), 소각기(40), 포장기(50)에는 각각의 장치내에서 처리된 슬러지를 다음 공정으로 연속이송시키거나, 이전 공정으로부터 슬러지를 제공받기 용이하도록 컨베이어 벨트나 이송스크류가 유입구 및 배출구에 설치되어 슬러지의 탈수, 건조, 소각, 포장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건조기(20)까지 제공된 잔류열량은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잔류열량을 외부환경으로 배출시키기 적합한 지정온도로 하강시키는 쿨링타워(61)가 상기 제1건조기(20)의 잔류열량배출경로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건조기(20)의 잔류열량과 함께 배출되는 비산먼지를 제거 및 정화시키는 백필터(62)도 상기 제1건조기(20)의 잔류열량 배출경로상에 설치된다.
상기 건조기(20, 30)에는 상기 소각기(40)에 의해 자연유지되는 온도보다 지정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온도공차에 의해 지정온도 이하로 온도가 하강될 시에 이를 보조하기 위해 보조예열버너가 구비되며, 상기 소각기(40)에도 메인버너 외에 상기 보조예열버너가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탈수기(10), 건조기(20, 30), 소각기(40)에는 각 구성요소의 인입부로 인입되거나 내부에 적재되는 슬러지량에 따라 개폐제어되는 하중체크밸브, 열량 및 온도에 따라 개폐제어되는 열량체크밸브, 내부의 팽창된 공기압을 체크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체크밸브 및 센서에서 체크된 데이타에 의해 전공정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전공정 모니터링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탈수기(10), 건조기(20, 30), 소각기(40)를 포함한 각 구성요소의 처리 및 운반상태, 온도상태, 압력상태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밸브 및 센서의 작동을 디지털화하면, 탈수, 건조, 소각, 포장의 전공정에 걸쳐 슬러지량, 열량배출량, 공압을 자동제어할 수 있으므로 1인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를 들어 상기 탈수기(10), 건조기(20, 30), 소각기(4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탈수기(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수용공간부를 구비한 실린더(11) 내부로 일정량의 슬러지가 적재되면 상기 실린더(11) 상측으로부터 유압피스톤(12)이 하강하여 상기 실린더(11) 하면과의 압착에 의해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작동원리로, 슬러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에 해당되는 최소한의 설치면적만이 소요될 수 있는 공간효율적인 구조다.
상기 실린더(11) 및 유압피스톤(12)에 의해 압착되어 케익화된 슬러지는 분쇄기를 거쳐 건조 및 소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상태로 분산되어 상기 제1건조기(20)측으로 이송된다.
도 1, 3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건조기(20)는 원형의 중앙부로 갈수록 하강되는 팽이의 하면부와 같은 형상의 회전판부(21)와, 상기 회전판부(21) 하면상에 외측으로부터 중앙까지 회오리형상으로 연속형성된 이송경로(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건조기(20)로부터 상기 이송경로(22) 하측에 형성된 지지판부 하측으로 잔류열량이 제공되어, 상기 회전판부(21)가 모터에 연동회전되면 상기 이송경로(22)의 외측부로 유입된 슬러지가 상기 회오리형 이송경로(22)를 따라 중앙으로 이송되는동안 건조처리된다.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건조기(20)는 인입된 슬러지를 다수의 이송통로로 분산시켜 수직경로로 하강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키는 작동원리로, 인입된 슬러지가 다수의 이송통로로 분할 및 이격되는 분리부(41)와, 상기 분리부(41)의 이격된 분할경로 각각에 상하로 연통형성된 원통형 수직프레임부(42)와, 상기 수직프레임부(42)로 공급된 슬러지를 하방이송스크류(43a)에 의해 하방이송시키고, 상기 하방이송스크류(43a)를 통과한 슬러지가 자유낙하 및 하측으로부터 적재되는 하방이송부(43)와, 상기 하방이송부(43) 하측에 적재되는 슬러지가 배출되는 호퍼형상의 배출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러지의 건조 및 소각상태에 따라 상기 하방이송스크류(43a)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열에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측방으로의 이송경로 없이 슬러지를 수직경로로만 하방이송시키면서 건조 및 소각시킴에 따라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각하고자하는 슬러지양이나 설치환경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부(42)의 갯수를 조절하여 규모를 확대 또는 축소 제작하기 용이하다.
상기 제1건조기(20)는 소각처리하고자하는 슬러지량이나 설치조건에 따라 상기 일,이실시예 중에서 택일하여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나,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서 상기 제2건조기(30) 상기 이실시예에 따른 제1건조기(2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소각기(40) 또한 상기 제2건조기(3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상기제2건조기(30)와 비교하여 상기 수직프레임(42) 외측으로 상향형성된 공기배출구의 외측단부가 하나의 공기배출통로로 연결형성되지 않은 차이를 가진다.
상기 제2건조기(30)에서 오염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와 공기배출통로를 통해 상기 소각기(40)로 배출되며, 상기 소각기(40)는 상기 공기배출구가 외부프레임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시켜 오염된 공기를 상기 수직프레임부(42) 내의 슬러지와 분리시키면서 고열의 버너에 보다 직접적으로 소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방이송부(43)는 열팽창에 민감함에 따라 가장 손상되기 쉬운 상기 하방이송스크류(43a)나 기타 구성요소를 프레임부를 개폐시킬 필요없이 상기 수직프레임부(42) 상측 개방부를 통해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상기 일, 이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는 상기 탈수기(10), 소각기(20, 30), 건조기(40) 전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각각의 구성요소가 자체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간효율적인 구성을 가짐에 따라 기존의 탈수기(10)나 소각 및 건조기의 설치면적에 비해 수배나 현격히 감소되며, 상기 건조기(20, 30), 소각기(40)의 설치규모가 축소됨에 따라 전반으로의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재가동에 걸리는 시간과 건조 및 소각처리에 소용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탈수, 건조 및 소각공정마다 슬러지 운반과정이 별도로 수행될 필요없이 연속적으로 탈수, 건조, 소각, 포장처리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각기의 잔류열량에 의해 일차, 재차로 건조기를 가열 및 고온유지시킴에 따라 열회수율이 높고, 소각기의 잔류열량이 상기 제1건조기까지 거치면서 배출온도에 가까워짐에 따라 가열 및 냉각에 소요되는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마다 슬러지량, 온도, 공기압의 체크밸브 및 센서를 설치해 전공정 모니터링 및 1인 자동제어가 가능하여 인력과 시간소요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슬러지의 고온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 및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제거 및 정화배출시킬 수 있는 건조기 및 소각기의 연계구조를 제공한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체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간효율적인 구성에 의해 설치면적을 종래에 비해 현격히 감소시키며, 유지보수가 간편한 구조의 탈수기, 소각기, 건조기를 제공한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기 및 소각기의 설치규모가 적어 전반으로의 열량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재가동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버너에 의해 지정온도로 가열유지되어 슬러지 및 오염공기를 소각시키는 소각기(40)와;
    상기 소각기(40)의 잔류열량을 이송받아 지정온도로 유지되며, 슬러지 건조에 의해 발생된 오염공기가 상기 소각기(40)로 배출되는 제2건조기(30)와;
    상기 제2건조기(30)의 잔류열량을 이송받아 지정온도로 유지되고, 슬러지 건조에 의해 발생된 오염공기가 상기 소각기(40)로 배출되는 제1건조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가 상기 소각기(40)에 제공되는 열량만으로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 소각기(40)를 순차적으로 거쳐 건조 및 소각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는,
    상기 제1건조기(20)로 투입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10)와, 상기 소각기(40)에서 배출된 소각잔재를 보관 및 포장하는 포장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러지의 탈수, 건조, 소각, 포장이 연속적으로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는,
    상기 제1건조기(20) 외부로 배출되는 잔류열량을 지정온도 이하로 하강시키는 쿨링타워(61)와, 상기 제1건조기(20)의 잔류열량과 함께 배출되는 비산먼지를 제거하는 백필터(6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건조기(20), 제2건조기(30), 소각기(40)는, 선택적으로,
    인입된 슬러지가 다수의 이송통로로 분할 및 이격되는 분리부(41)와; 상기 분리부(41)의 이격된 분할통로 각각에 연속형성되고 상하로 연통된 수직프레임부(42)와; 상기 수직프레임부(42)으로 공급된 슬러지를 하방으로 스크류이송시키는 하방이송스크류(43a)가 구비되며, 상기 하방이송스크류(43a)를 통과한 슬러지가 자유낙하되는 하방이송부(43)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방이송부(43) 하측에 적재되는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20, 30), 소각기(40), 탈수기(10)에는,
    슬러지량, 열량 및 온도, 공기압을 체크하고 개폐제어되는 체크밸브 및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 및 센서에서 체크된 데이타를 모니터링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20, 30), 소각기(40)에는,
    온도 상승 및 기존온도 유지를 위한 보조예열버너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20, 30), 소각기(40), 탈수기(10), 포장기(50)에는,
    슬러지가 전후공정간 연속이송되도록 컨베이어 벨트나 이송스크류가 유입구 및 배출구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10)는,
    실린더형 공간부(11)로 유입된 슬러지를 유압피스톤(12)에 의해 압착시켜 탈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건조기(20)는,
    원형의 중앙부로 갈수록 하강되는 형상의 회전판부(21) 하면상에 외측으로부터 중앙까지 회오리형상으로 연속형성된 이송경로(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송경로(22) 외측부로 유입된 슬러지가 상기 회전판부(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경로(22)를 따라 중앙으로 이송되면서 건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KR20-2004-0016117U 2004-06-09 2004-06-09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KR200360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17U KR200360985Y1 (ko) 2004-06-09 2004-06-09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17U KR200360985Y1 (ko) 2004-06-09 2004-06-09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088A Division KR100589526B1 (ko) 2004-06-09 2004-06-09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985Y1 true KR200360985Y1 (ko) 2004-09-07

Family

ID=4943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17U KR200360985Y1 (ko) 2004-06-09 2004-06-09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9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967B1 (ko) 바이오매스 반탄화 시스템 및 방법
JPH04227463A (ja) 有害物放出のない胴型乾燥装置による物質の乾燥方法
US6173508B1 (en) Sewage organic waste compaction and incineration system integrated optionally with a gas turbine power driver exhaust and/or other separate heat source
ZA200402411B (en) Improved waste treatment.
KR100267141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 방법 및 장치
RU23318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ей продукции перегретым паром
RO117646B1 (ro) Procedeu si instalatie pentru deshidratarea materialelor granulare
KR200420688Y1 (ko) 유기성 건조폐기물의 재활용 시스템
US5245762A (en) Sludge dr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89526B1 (ko)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KR101276139B1 (ko) 연속 투입식 필터용 활성탄의 직화식 재생장치
KR200360985Y1 (ko) 슬러지 연속 소각처리장치
JP6718400B2 (ja) 脱水装置、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US5375344A (en) Apparatus for removing moisture from a wet material using a radiant heat source
KR1003417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 재생처리장치
KR100645494B1 (ko) 냉온식 슬러지 건조장치
KR100292122B1 (ko) 도시쓰레기 소각로에서의 하수 슬러지 소각장치 및 소각방법
KR101748572B1 (ko) 진공력을 이용한 폐슬러지 밀폐 이송 정량 공급 시스템
KR100430073B1 (ko) 오폐수슬러지 건조장치
KR20040026156A (ko) 유기폐기물 처리장치
KR20010103331A (ko) 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2873A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JP2003065675A (ja) 有機物連続乾燥機
JPH0942642A (ja) 処理設備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465813B1 (ko) 소각열을 이용하는 슬러지 처리장치를 구비한 폐기물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