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983Y1 - 브레이커 툴 - Google Patents

브레이커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983Y1
KR200360983Y1 KR20-2004-0016109U KR20040016109U KR200360983Y1 KR 200360983 Y1 KR200360983 Y1 KR 200360983Y1 KR 20040016109 U KR20040016109 U KR 20040016109U KR 200360983 Y1 KR200360983 Y1 KR 200360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breaker tool
shaped
predetermined heigh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우엠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우엠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우엠아이씨
Priority to KR20-2004-0016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2Percussive tool b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2Stone, rock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 파쇄기나 굴삭기에 장착되어 콘크리트, 암반, 경토 등을 파쇄하는데 사용되는 브레이커 툴에 관한 것으로서, 파쇄부 둘레에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형 장홈이 파쇄부에서 그 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레이커 툴{Breaker tool}
본 고안은 유압 파쇄기나 굴삭기에 장착되어 콘크리트, 암반, 경토 등을 파쇄하는데 사용되는 브레이커 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쇄부 둘레에 슬릿형 장홈이 형성되는 브레이커 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커 툴은 파쇄부(3a, 3b, 3c, 3d)의 형상에 따라 크게 도 1a에 도시된 치즐형 브레이커 툴(1a ; chisel breaker tool), 도 1b에 도시된 블런트형 브레이커 툴(blunt breaker tool), 도 1c에 도시된 모일포인트형 브레이커 툴(moil point breaker tool), 도 1d에 도시된 원추형 브레이커 툴(conical breaker tool)으로 분류된다. 상기 파쇄부는 브레이커 툴에서 가장 큰 내마모성이 요구되며, 암반 등과 직접 부딪쳐 시간이 지날수록 마모되어 그 끝단이 뭉툭하게 되기 때문에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등의 원소가 소량 첨가된 SCM440계의 합금강을 열처리하여 경도를 높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만으로 브레이커 툴의 파쇄부를 열처리할 경우,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쇄부의 열처리 깊이가 열처리 깊게 되지 않아 파쇄부가 빨리 마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쇄부 둘레에 슬릿형 장홈이 형성되어 열처리를 수행하면 열처리 깊이가 깊게 형성되므로서, 사용수명이 연장되며, 파쇄성능이 향상되는 브레이커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치즐형, 블런트형, 모일포인트형, 원추형 브레이커 툴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브레이커 툴의 A-A선, B-B선, C-C선,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치즐형, 블런트형, 모일포인트형, 원추형 브레이커 툴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브레이커 툴의 e-e선, f-f선, g-g선, h-h선에 따른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커 툴은 파쇄부 둘레에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형 장홈이 파쇄부에서 그 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된다.
치즐형(chisel), 블런트형(blunt), 모일포인트형(moil point), 원추형(conical) 브레이커 툴의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 도시된 치즐형(chisel) 브레이커 툴(10a)의 경우,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20)이 치즐형 파쇄부(11a)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치즐형 파쇄부(11a)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시작되어 그 위로 소정의 높이(h)만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4개의 슬릿형 장홈(20)이 형성된 치즐형 브레이커 툴(10a)의 치즐형 파쇄부(11a)를 열처리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처리 표면적이 넓어지고, 열처리 깊이(P)가 깊게 형성된다.
도 3b에 도시된 블런트형 브레이커 툴(10b)의 경우,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20)이 블런트 파쇄부(11b)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서 소정의 높이(h)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20)이 형성된 블런트형 브레이커 툴(10b)의 블런트 파쇄부(11b)를 열처리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처리 표면적이 넓어지고, 열처리 깊이(h)가 깊게 형성된다.
도 3c에 도시된 모일포인트형 브레이커 툴(10c)의 경우,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20)이 모일포인트형 파쇄부(11c)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며, 모일포인트형 파쇄부(11c)의 하단부에서 소정의 높이(h)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20)이 형성된 모일포인트형 브레이커 툴(10c)의 모일포인트형 파쇄부(11c)를 열처리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처리 표면적이 넓어지고, 열처리 깊이(h)가 깊게 형성된다.
도 3d에 도시된 원추형 브레이커 툴(10d)의 경우,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20)이 모일포인트형 파쇄부(11c)의 원추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원추면의 하단부에서 소정의 높이(h)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20)이 형성된원추형 브레이커 툴(10d)의 모일포인트형 파쇄부(11d)를 열처리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처리 표면적이 넓어지고, 열처리 깊이(h)가 깊게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커 툴은 파쇄부 둘레에 슬릿형 장홈이 형성되어 열처리를 수행하면 열처리 깊이가 깊게 형성되므로서, 사용수명이 연장되며, 파쇄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파쇄부 둘레에 복수개의 슬릿형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형 장홈이 파쇄부에서 그 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장홈은 치즐형 파쇄부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치즐형 파쇄부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시작되어 그 위로 소정의 높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장홈은 복수개가 블런트 파쇄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장홈은 모일포인트형 파쇄부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며, 모일포인트형 파쇄부의 하단부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장홈은 모일포인트형 파쇄부의 원추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원추면의 하단부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툴.
KR20-2004-0016109U 2004-06-09 2004-06-09 브레이커 툴 KR200360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09U KR200360983Y1 (ko) 2004-06-09 2004-06-09 브레이커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09U KR200360983Y1 (ko) 2004-06-09 2004-06-09 브레이커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983Y1 true KR200360983Y1 (ko) 2004-09-07

Family

ID=4943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09U KR200360983Y1 (ko) 2004-06-09 2004-06-09 브레이커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9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357A (ko) * 2017-10-11 2017-10-23 이찬주 수명 연장 홈 구조의 포인트 치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357A (ko) * 2017-10-11 2017-10-23 이찬주 수명 연장 홈 구조의 포인트 치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33063A1 (en) Tamping tool
CA2424704A1 (en) Fracture resistant carbide snowplow and grader blades
DE10006932A1 (de) Bohrwerkzeug für Gestein
KR20050063791A (ko) 드릴 비트
US6843334B2 (en) Drilling head of a rock drill
WO1997040965A1 (en) A tool for a demolition hammer or the like
KR200360983Y1 (ko) 브레이커 툴
US7314102B2 (en) Percussion or hammer drill
US8186460B2 (en) Hard material insert and core bit
KR200455894Y1 (ko) 코아드릴
US20090108041A1 (en) Breaker Tool
JP7360231B2 (ja) 切削用チップ及びビット
KR100218746B1 (ko) 브레이커용 치즐
RU2184814C1 (ru) Зуб ковша экскаватора
KR200170126Y1 (ko) 파쇄기용 치즐
RU134390U1 (ru) Долото глубокорыхлителя
JP2008231876A (ja) ブレーカーツール(Breakertool)
RU164308U1 (ru) Подбойка
KR200178201Y1 (ko) 브레이커용 치즐
KR200346631Y1 (ko) 유압 브레이커용 드릴날
KR100314964B1 (ko) 내마모,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굴삭기용 브레이크 로드
KR200346630Y1 (ko) 해머드릴용 드릴날
KR101627152B1 (ko) 나선홈 및 유로가 구비된 회전식 저마찰 브레이커용 치즐
KR20150094296A (ko) 내.마모성이 강화된 치즐
US1884601A (en) Detachable drill b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3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90626

Effective date: 2011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