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126Y1 - 파쇄기용 치즐 - Google Patents

파쇄기용 치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126Y1
KR200170126Y1 KR2019990018298U KR19990018298U KR200170126Y1 KR 200170126 Y1 KR200170126 Y1 KR 200170126Y1 KR 2019990018298 U KR2019990018298 U KR 2019990018298U KR 19990018298 U KR19990018298 U KR 19990018298U KR 200170126 Y1 KR200170126 Y1 KR 200170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chisel
crushing
rock
auxiliar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근
Original Assignee
윤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광근 filed Critical 윤광근
Priority to KR2019990018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26Chisels or other cutting tools not mentioned bef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이 출원 고안은 굳은 땅이나 딱딱한 암반을 파쇄하는 데 사용하는 유압 파쇄기나 굴삭기에 장착하여 암반 등을 파쇄하는 데 사용하는 파쇄기용 치즐(chisel)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은 사용함에 따라 끝단이 뭉툭해지기 때문에 자주 단조를 해주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반해,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은 파쇄기에 장착 가능하고 파쇄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하단의 파쇄부와 파쇄부 위쪽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파쇄부 보조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파쇄부 보조홈으로 인해 자주 단조를 해주지 않아도 되고, 또 종래의 것 보다 상대적으로 뾰족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암반 등의 파쇄성능도 우수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쇄기용 치즐{breaker chisel}
이 출원 고안은 파쇄기용 치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굳은 땅이나 딱딱한 암반을 파쇄하는 데 사용하는 유압 파쇄기나 굴삭기에 장착하여 암반 등을 파쇄하는 데 사용하는 파쇄기용 치즐(chise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파쇄기는 봉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데, 그 선단부는 원뿔모양 또는 다각뿔 모양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단부는 파쇄기 등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용 홈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치즐은 파쇄기 등의 아암 끝부분에 장착되어 암반 파쇄, 굴착작업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 로드가 상하 반복운동을 하면서 치즐의 상단부를 계속 타격하므로 써 발생되는 충격력으로 암반 등을 파쇄한다.
도 1은 종래 파쇄기용 치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파쇄기용 치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파쇄기용 치즐(10)은 봉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단에는 파쇄기 등의 아암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목부(12)에는 파쇄기나 굴삭기 등의 암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용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목부(12)의 형상은 파쇄기나 굴착기 암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이다. 목부(12) 위쪽으로는 파쇄기 등의 피스톤 로드가 타격하는 타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타격부(14)에는 충격을 받더라도 쉽게 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충격성 즉, 강한 인성이 요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즐(10)의 하단에는 뾰족하게 형성된 파쇄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쇄부(16)는 파쇄하고자 하는 암반 등에 직접 충격을 주는 부분으로 여타의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아야 한다. 이 파쇄부(1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뿔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뿔 모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파쇄기나 굴삭기 등에 사용되는 치즐에서는 파쇄부(16)가 가장 큰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부분으로 암반 등과 직접 부딪히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마모되어 그 끝단이 뭉툭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파쇄기 등의 암반굴착성능이 떨어진다. 또, 상단의 타격부는 피스톤 로드의 타격을 계속 받기 때문에 충격에 견딜 수 있는 큰 내충격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종래에는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등의 원소가 소량 첨가된 SCM440계의 합금강으로 담금질과 뜨임 열처리하여 파쇄부(16)는 그 경도를 높이고, 타격부(14)는 인성을 높였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SCM440계 강재에 탄소(C), 규소(Si)의 성분을 증가시키고 니켈(Ni), 알루미늄(Al) 등을 첨가시키므로써 인성, 피로강도, 피로강도,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방식만으로 치즐을 만드는 경우 그 사용기간에 한계가 따른다. 즉,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뭉툭해진 끝단을 다시 단조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데, 종래의 치즐은 한 사이클의 사용기간이 짧기 때문에 자주 단조를 해주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출원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것보다 자주 단조를 해주지 않아도 되고 파쇄성능도 뛰어난 파쇄기용 치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파쇄기용 치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파쇄기용 치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 치즐의 파쇄부 보조홈 부위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치즐의 파쇄부 보조홈 부위의 정면도,
도 7은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을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파쇄기용 치즐 22 : 목부
23 : 고정용 홈 24 : 타격부
26 : 파쇄부 28 : 파쇄부 보조홈
이 출원 고안의 목적은 파쇄기용 치즐에 있어서, 파쇄기에 장착 가능하고 파쇄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하단의 파쇄부와 파쇄부 위쪽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파쇄부 보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치즐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파쇄부 보조홈은 직경의 대략 1/4 정도 깊이와 폭을 갖고 직경의 대략 5배 정도의 길이로 아래쪽 끝단 부근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3∼6개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파쇄기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의 목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출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20)은 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목부(22)는 파쇄기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 부근에 마주보고 고정용 홈(23)을 형성하여 구성하면 된다. 이 목부(22) 위쪽으로 타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타격부(24)는 파쇄기 등의 실린더 로더에 의한 타격을 받는 부분으로 뜨임 등의 열처리로 인성을 강하게 하여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즐(20)의 하단에는 파쇄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쇄부(26)는 암반 등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내마모성을 키우기 위해 담금질 등의 열처리를 하는 부분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뿔 형태로 하거나 아니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뿔 등의 모양으로 하여도 된다.
도 3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20)은 파쇄부 보조홈(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파쇄부 보조홈(28)은 이 출원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파쇄부(26) 위쪽 외주면을 따라 3∼6개 정도 형성하여 두는 것이 좋다. 아 파쇄부 보조홈(28)의 깊이와 폭은 치즐(20) 직경의 1/4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좋고, 길이는 치즐(20) 직경의 4배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파쇄부 보조홈(28)은 파쇄부(26)가 닳아서 없어지는 경우 그 끝단을 뾰족하게 하기 위해서 자주 단조를 해주지 않아도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치즐(20)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파쇄부(26)가 파쇄부 보조홈(28)의 하단까지 닳게되면 파쇄부 보조홈(28)과의 경계부위는 여타의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날카롭게되고, 그 부분은 여타의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빨리 닳게된다. 즉, 치즐(20)의 중심보다는 가장자리 부근이 상대적으로 빨리 닳게되고 그에 따라 치즐(20)은 계속 그 끝단이 뾰족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3 치즐의 파쇄부 보조홈 부위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치즐의 파쇄부 보조홈 부위의 정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파쇄부 보조홈(28)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깊이와 폭은 치즐(20) 직경의 1/4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길이는 치즐(20) 직경의 4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파쇄부 보조홈(28)의 상, 하 양 끝단은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치 않도록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파쇄부 보조홈(28)은 아래쪽 끝단 부위를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은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을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20)은 장기간 사용에 따라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파쇄부(26)가 점점 닳아서 파쇄부 보조홈(28)까지 도달하면 원주면 부근 경계부위에 날카로운 부분이 생기게 되고, 이 날카로운 부분이 있는 원주면 부근은 중심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빨리 닳게되고, 그에 따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끝단이 뾰족한 상태로 되게 된다. 따라서 자주 단조를 해주지 않아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파쇄기용 치즐을 이용하는 경우 파쇄부 보조홈으로 인해 자주 단조를 해주지 않아도 되고, 또 종래의 것 보다 상대적으로 뾰족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암반 등의 파쇄성능도 우수하다.

Claims (2)

  1. 파쇄기용 치즐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에 장착 가능하고 파쇄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하단의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 위쪽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파쇄부 보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치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 보조홈은 직경의 대략 1/4 정도 깊이와 폭을 갖고 직경 대략 5배 정도의 길이로 아래쪽 끝단 부근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3∼6개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파쇄기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의 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치즐.
KR2019990018298U 1999-08-31 1999-08-31 파쇄기용 치즐 KR200170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298U KR200170126Y1 (ko) 1999-08-31 1999-08-31 파쇄기용 치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298U KR200170126Y1 (ko) 1999-08-31 1999-08-31 파쇄기용 치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397A Division KR20010051858A (ko) 2000-11-22 2000-11-22 파쇄기용 치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126Y1 true KR200170126Y1 (ko) 2000-02-15

Family

ID=1958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298U KR200170126Y1 (ko) 1999-08-31 1999-08-31 파쇄기용 치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1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858A (ko) * 2000-11-22 2001-06-25 윤광근 파쇄기용 치즐
KR20150131503A (ko) * 2014-05-15 2015-11-25 서재연 나선홈 및 유로가 구비된 회전식 저마찰 브레이커용 치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858A (ko) * 2000-11-22 2001-06-25 윤광근 파쇄기용 치즐
KR20150131503A (ko) * 2014-05-15 2015-11-25 서재연 나선홈 및 유로가 구비된 회전식 저마찰 브레이커용 치즐
KR101627152B1 (ko) 2014-05-15 2016-06-03 서재연 나선홈 및 유로가 구비된 회전식 저마찰 브레이커용 치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448A (en) Drill bit having a plurality of teeth
US7490912B2 (en) Round shaft chisel
JP4011880B2 (ja) 破砕装置および工具
WO1997040965A1 (en) A tool for a demolition hammer or the like
KR200170126Y1 (ko) 파쇄기용 치즐
KR20010051858A (ko) 파쇄기용 치즐
CN205379931U (zh) 一种破碎机转子
CN203862318U (zh) 一种新型钎焊wc硬质合金的高耐磨锤头
US20210301361A1 (en) Tool for a hydraulic hammer
KR100218746B1 (ko) 브레이커용 치즐
CN211303249U (zh) 一种粉碎机的锤片
CN203862319U (zh) 一种新型焊接wc硬质合金耐磨块的高耐磨锤头
US2224283A (en) Handle
KR200360983Y1 (ko) 브레이커 툴
KR20220000510U (ko) 노면파쇄기의 파쇄 드럼용 파쇄부
US4762188A (en) Drill bit
CN108405075A (zh) 一种三角形环锤
CN208928287U (zh) 一种复合材料环锤式破碎机环锤
JP3182810U (ja) 油圧ブレーカ用チゼル
CN216727527U (zh) 一种锤头及破碎锤
JPH0420504Y2 (ko)
CN211412199U (zh) 一种建筑废料破碎机的锤头结构
CN210646638U (zh) 复合合金偏心锤
US5899535A (en) Self-powered portable rock crusher
CN108686771A (zh) 一种环锤式破碎机圆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