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366Y1 -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 Google Patents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366Y1
KR200360366Y1 KR20-2004-0013760U KR20040013760U KR200360366Y1 KR 200360366 Y1 KR200360366 Y1 KR 200360366Y1 KR 20040013760 U KR20040013760 U KR 20040013760U KR 200360366 Y1 KR200360366 Y1 KR 200360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liders
hand
slid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인수
Original Assignee
채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인수 filed Critical 채인수
Priority to KR20-2004-0013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정면이 소정의 각도(60°~80°)로 경사진 ""형의 동체와, 상기 동체의 정면 경사면에 설치되며 좌우 한 쌍의 핸드슬라이더(hand slider)및 풋슬라이더(foot slider)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좌우 한 쌍의 LM가이드와, 상기 좌우 한쌍으로 구비된 LM가이드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이송하며 텐션장치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유지되면서 핸드슬라이더 및 풋 슬라이더를 하향이송시키는 좌우 한 쌍의 체인,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핸드 슬라이더와 풋 슬라이더에 각각 연결되어 핸드 슬라이더 및 풋 슬라이더가 상승할 때 보다 수월하게 상승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하강을 제어하는 인장스프링과 와이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핸드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 및 풋 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핸드 슬라이더 및 풋 슬라이더에는 상승시에는 통과하고 하강시에는 걸리도록 클러치베어링을 이용한 체인휠이 장착되어 핸드 슬라이더 및 풋 슬라이더를 사용자가 끌어올리는 만큼 상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하고, 더불어 각각의 핸드 슬라이더와 풋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조작가능하게 되어 마치 암벽 등반을 할 때처럼 자연스럽게 클라이밍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클라이밍 장치에 따르면, 한 쌍의 핸드 슬라이더와 또 다른 한 쌍의 풋 슬라이더가 각각 개별적으로 승강작동하게 되어 사용자의 습관, 또는 체력이나 신장 등에 따라 최적의 운동을 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고, 동체의 정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이 안정적일 뿐 아니라 어린 아동은 물론 노약자 들도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좁은 공간에도 설치사용할 수 있어 사용및 보관이 용이한 등의 이점이 따르는 클라이밍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the climbing device for health}
본 고안은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치 암벽 등반을 하듯이 팔 다리를 이동시켜 가면서 매우 자연스럽게 등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남녀노소 누구라도 자신의 체력에 맞춰 손쉽게 조절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클라이밍 장치는 헬스장과 같은 실내에서 마치 암벽을 타고 올라가듯이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말하며, 통상 천정높이가 한정된 실내에서 운동하게 됨에 따라 대부분의 클라이밍장치는 항상 등반하는 자세로 팔다리를 움직여 가며 사용하게 되지만, 거의 제자리에서 등반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위와 같이 암벽 등반과 같은 등반운동을 하게 되면, 팔과 다리, 어깨, 그리고 허리와 목 등 전신의 근력이 고루 발달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전신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매우 건강하고 단단한 신체를 가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근자에 와서는 위와 같은 등반운동을 러닝머신 처럼 한정된 공간내에서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클라이밍 장치가 선출원 공개(특허 공개번호 2003-0092172호, 2003.12.6 공개)되어 있다.
상기 선출원 공개된 고안을 살펴보면, 이는 두개의 가이드봉이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수직으로 설치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봉 상하단에는 풀리가 설치되어 벨트가 가이드 봉을 감싼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일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봉에는 가이드 봉을 타고 승강가능한 핸드 슬라이더와 풋슬라이더가 장착되며 상기 핸드 슬라이더의 선단과 풋 슬라이더의 선단에는 "ㄱ"자 형태로 되어 수직면에 톱니형의 돌부가 형성된 핸들 및 발판이 유설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클라이밍장치는 사용시 발판에 발을 얹어 끼우고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마치 암벽을 등반할 때의 자세로 팔을 뻗어 올리면 핸들이 힌지부분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게 되어 돌부가 벨트의 표면에서 떨어지게 됨으로서 핸드 슬라이더가 가이드 봉을 타고 상승하고 핸들을 잡아당기면 돌부가 벨트 표면에 밀착되어 핸드 슬라이더 자체가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을 핸드 슬라이더 뿐 아니라 풋 슬라이더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게 끔 구성함으로서, 핸드 슬라이더의 핸들과 풋슬라이더의 발판을 각각 손과 발로 잡고 밟은 상태에서 암벽등반시의 자세와 행동을 취하게 되면 거의 제자리에서 등반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한정된 공간내에서도 효율적으로 전신운동이 이루어지게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공개된 종래의 고안은 구조적 특성상 다음과 같은 폐단이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
첫째, 전술한 종래 클라이밍 장치는 가이드봉을 비롯화여 벨트 등 모든 구조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어서 초보자를 비롯하여 노약자들의 사용이 매우 힘들고 어려운 폐단이 따르고,
둘째, 핸들 및 발판의 구조가 "ㄱ"자 형태로 되어 있는 데다가 수직면에 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론상으로는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팔을 뻗어 올리거나 발을 끼운상태에서 발판을 들어올리면 핸드슬라이더 및 풋 슬라이더가 가이드봉을 타고 상승하게 된다고 하는 취지에서 개발되어 있지만, 실제 이를 사용할 때는 의도적으로 핸들 및 발판이 상방향으로 제껴지게끔하여야만 상승이 가능하게 되고, 또, 위와 같이 의도적으로 조작한다 하더라도 핸들의 경우는 팔목을 수직면의 끝단이 치게 되고, 발판의 경우는 발을 소정의 각도로 꺽어올려주어야만 작동될 수 있는 구성이어서 매우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듦은 물론, 자칫하면 손목 및 발을 다치거나 또는 변형이 야기될 수 있는 등의 폐단도 따른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클라이밍장치는 부피가 제법크고, 또, 단순히 베이스를다소 넓게 하여 지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라이밍 운동시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넘어질 위험성도 크며, 따라서 이는 벽면이나 바닥에 고정시켜주어야만 하는 폐단도 따른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클라이밍 장치는 핸드슬라이더와 풋슬라이더를 사용자의 힘으로만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핸들 및 발판이 완전하게 벌어지도록 들어올리지 못한 경우에는 벨트에 걸려 오히려 벨트와 함께 하강하게 되기 때문에 간혹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따르게 되며, 더불어 핸드 슬라이더와 풋 슬라이더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지 못하고 서로 맞붙게 되는 경우도 자주발생할수 밖에 없는 등의 폐단도 따른다 하겠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특히 동체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끔 구성하여 매우 안정적인 등반운동이 가능하게 하고, LM가이드 및 체인을 이용하여 핸드 슬라이더및 풋슬라이더가 매우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작용할 수 있게 하며, 더불어 상기 핸드슬라이더와 풋슬라이더에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지는 클러치베어링을 장착구성하고 핸드 슬라이더와 풋슬라이더에 인장스프링과 와이어 등으로 구성된 핸드 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와 풋 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를 설치하여 자연스러운 자세와 행동으로 마치 암벽 등반시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려는 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예시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예시도로서 정면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사시도.
손발을 이용하여 마치 암벽을 등반할 때와 같은 전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라이밍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정면이 소정의 각도(60°~80°)로 경사진 ""형의 동체(1)와,
상기 동체(1)의 정면 경사면(1')에 설치되며 좌우 한 쌍의 핸드 슬라이더(hand slider)및 풋 슬라이더(foot slider)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좌우 한 쌍의 LM가이드(2)(2')와,
상기 LM가이드(2)(2')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모터(5) 및 감속기(5')에 의해 선택된 회전수로 저속회전함으로서 한쌍의 체인(4)(4')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는 상하 두쌍으로 구비된 풀리(3)(3')와,
상기 체인(4)(4') 각각에 장력을 유지시켜 주도록 후방에 설치되는 텐션장치(6)와,
일측에 핸들(71) 또는 발등커버(71')를 가진 발판(71a)이 장착되고, 체인(4)(4')에 의해 하강하면서 LM가이드(2)(2')에 의해 흔들림없이 승강 가능하며 내부에 체인(4)(4')을 타고 회전하는 체인휠(72)에 클러치베어링(73)을 장착 구성하여 상승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하강은 제어되도록 한 한 쌍의 핸드슬라이더(7) 및 풋 슬라이더(7a)와,
상기 한 쌍의 핸드 슬라이더(7)와 풋 슬라이더(7a)에 각각 연결되어 핸드 슬라이더(7) 및 풋 슬라이더(7a)가 상승할 때 견인하는 작용을 하여 보다 수월하게 상승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공회전시 하강을 제어하는 인장스프링(74)과 와이어(75)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핸드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 및 풋 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a)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8은 안전난간이고, 9는 정면커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동체(1)의 정면을 소정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였기에 종래 수직 구성에 비하면 매우 자연스럽게 등반하는 효과가 따르게 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에는 동체가 수직으로 구성되어 가이드봉을 비롯한 제반 구성이 수직으로 설치 구성될 수 밖에 없고, 또, 클라이밍 역시 수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기에 체력적으로 약한 노약자의 경우는 사용이 매우 어려운 결점이 따랐던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동체의 정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경사에 맞춰 제반구성이 갖춰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등반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 한 쌍의 핸드슬라이더(7)와 풋 슬라이더(7a)는 체인(4)(4')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동시에 LM가이드(2)(2')를 타고 승하강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핸드 슬라이더(7)와 풋 슬라이더(7a)에는 상기 LM가이드(2)(2')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LM베어링(77)이 당연히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핸드슬라이더(7)와 풋 슬라이더(7a)가 승강할 때 매우 부드럽고 정숙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핸드슬라이더(7)와 풋 슬라이더(7a)에 장착되어 체인(4)(4')에 작용하게 되는 체인휠(72)에 힘 또는 하중이 하측으로 작용할 때는 브레이크작용이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밀어올릴 때는 부드럽게 굴러가도록 클러치베어링(73)을 설치하였으므로 클러치베어링(73)의 특성에 의해 클라이밍 작용시에만 매우 부드럽고 원활하게 밀어올릴수 있게 되고, 당길 때는 전혀 미끄러짐이 발생될 염려가 없어 안정적인 등반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드슬라이더(7) 및 풋슬라이더(7a)에는 인장스프링(74)과 와이어()로 구성된 핸드 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 및 풋 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a)가 연결 장착되어 있고, 또, 상기 핸드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 및 풋 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a)를 구성하는 와이어(75)는 가이드롤러(78)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핸드슬라이더(7) 및 풋슬라이더(7a)는 체인(4)(4')이 하향 회전하는 과정에서도 핸드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와 풋 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a)에 의해 항상 견인되어 소정의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기 핸드슬라이더(7) 및 탄성견인장치(76)(76a')가 바닥면에 부딪힌다거나 서로 만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전술한 탄성견인장치(76)(76a)는 등반운동시 팔을 뻣거나 발을 들어올려 핸드슬라이더(7) 및 풋 슬라이더(7a)를 상승시킬때 상방향으로 당겨주는 작용을 하게되어 무리없이 팔을 뻣거나 발을 올릴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핸들(71)을 손으로 잡고 발판(71a)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 암벽을 등반할 때의 자세를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한 쌍의 핸드슬라이더(7) 및 풋 슬라이더(7a)가 한대의 모터(5) 및 감속기(5'), 그리고 체인(4)(4')에 의해 작용하면서도 각각이 개별적으로 이송및 조작가능하여 마치 암벽등반을 할 때와 같이 매우 자연스러운 자세로 등반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클라이밍장치를 이용하여 등반운동을 하고자 할 때는 먼저 한 쌍의 풋 슬라이더(7a) 각각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된 발판(71a)에 양쪽발을 하나씩 올려<마치 슬리퍼를 신듯이 발을 끼워 넣어 발등커버(71')가 발등을 감싸게 끔 하면 됨>놓으면서 한 쌍의 핸드 슬라이더(7)를 양 손으로 각각 잡은 상태에서 암벽 등반을 하듯이 번갈아 가며 발을 올려가면서 동시에 번갈아 가면 손을 뻗어 오르는 자세를 취하게 되면 풋 슬라이더(7a)와 핸드 슬라이더(7)가 모터(5)및 감속기(5')에 의해 구동하는 체인(4)(4')에 의해 균일한 속도로 저속 하강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핸들(71)을 잡은 손을 뻗어 올리면서 발 또한 올리면 핸드 슬라이더(7)에 내장된 체인휠(72) 및 클러치베어링(73)의 작용에 의해 체인(4)(4')의 구동방향과 관계없이 부드럽게 핸드 슬라이더(7)가 상승하게 되고 풋 슬라이더(7a) 역시 발등커버(71')에 발이 걸려 상승하게 됨으로서 부드럽게 발이 올라가는 위치까지 따라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핸드 슬라이더(7)및 풋 슬라이더(7a)가 상승할 때는 물론 체인에 의해 저속으로 하강할 때 LM가이드(2)(2')와 LM베어링(77)에 의해 전혀 요동없이 부드러우면서도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매우 안정적이면서 정숙하게 또, 매우 자연스러운 자세로서 등반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체인(4)(4')을 회전시켜주는 모터(5) 및 감속기(5')의 속도제어는 매우 일반적인 방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속도의 변화를 주는 등의 기술수단은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해당되는 보편적인 기술이라 할 것이며, 탄성견인장치(76)(76a)를 구성하는 인장스프링(74) 및 와이어(75)를 신축성과 인성이 강한 탄성재질의 다른 물질로 변형시켜 설치 사용하는 등의 구성 또한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해당되는 것이라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 쌍의 핸드 슬라이더(7)와 또 다른 한 쌍의 풋 슬라이더(7a)가 각각 개별적으로 승강작동하게 되어 사용자의 습관, 또는 체력이나 신장 등에 따라 최적의 운동을 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고, 구동이 매우 부드럽고 정숙하게 이루어지며, 동체(1)의 정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이 안정적일 뿐 아니라 어린 아동은 물론 노약자 들도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좁은 공간에도 설치 사용할 수 있어 사용및 보관이 용이한 등의 이점이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손발을 이용하여 마치 암벽을 등반할 때와 같은 전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라이밍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동체(1)의 정면에 설치되며 좌우 한 쌍의 핸드슬라이더(hand slider)및 풋슬라이더(foot slider)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좌우 한 쌍의 LM가이드(2)(2');와,
    상기 LM가이드(2)(2')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모터(5) 및 감속기(5')에 의해 선택된 회전수로 저속회전함으로서 한쌍의 체인(4)(4')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는 상하 두 쌍으로 구비된 풀리(3)(3');와,
    상기 체인(4)(4') 각각에 장력을 유지시켜 주도록 후방에 설치되는 텐션장치(6);와,
    일측에 핸들(71) 또는 발등커버(71')를 가진 발판(71a)이 장착되고, 체인(4)(4')에 의해 하강하면서 LM가이드(2)(2')에 의해 흔들림없이 승강 가능하며 내부에 체인(4)(4')을 타고 회전하는 체인휠(72)에 클러치베어링(73)을 장착 구성하여 상승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하강은 제어되도록 한 한 쌍의 핸드슬라이더(7) 및 풋 슬라이더(7a);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핸드 슬라이더(7)와 풋 슬라이더(7a)에 각각 연결되어 핸드 슬라이더(7) 및 풋 슬라이더(7a)가 상승할 때 견인하는 작용을 하게 하여 보다 수월하게 상승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공회전시 하강을 제어하도록 인장스프링(74)과 와이어(75)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핸드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 및 풋 슬라이더 탄성견인장치(76a)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동체(1)의 정면이 60~80°의 경사면(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클라이밍장치.
KR20-2004-0013760U 2004-05-18 2004-05-18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KR200360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60U KR200360366Y1 (ko) 2004-05-18 2004-05-18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60U KR200360366Y1 (ko) 2004-05-18 2004-05-18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062A Division KR20050110721A (ko) 2004-05-18 2004-05-18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366Y1 true KR200360366Y1 (ko) 2004-08-30

Family

ID=4943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760U KR200360366Y1 (ko) 2004-05-18 2004-05-18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3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8326U (ja) トレッドミル
US6926646B1 (en) Exercise apparatus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US20070054784A1 (en) Suspension system for walk training
CN209984863U (zh) 一种骨科康复护理用活动器
US4195834A (en) Vertical shoulder and lateral shoulder exercise machine
US20220395735A1 (en) Climbing Machine
TWI693088B (zh) 攀爬訓練器
KR100755787B1 (ko) 트레이닝기구
KR200360366Y1 (ko)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CN211158426U (zh) 一种具备侧拉伸展及垂直伸展功能的拉腿健身器
KR20050110721A (ko)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KR101018283B1 (ko)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CN211050816U (zh) 具有手部拉引式训练结构的跑步机
CN205460688U (zh) 一种带有拉绳器的脚踏健身车
KR101018286B1 (ko) 지각 기반 운동형 보행운동기구
CN108525224B (zh) 一种亲子互动户外推举落球装置
CN106563255A (zh) 一种用于锻炼的健身装置
KR101074849B1 (ko) 종아리 근육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기구
CN114100064B (zh) 一种踏步攀岩机
TWI551282B (zh) Traction rehabilitation device
CN212817828U (zh) 平板登山机
CN204106975U (zh) 带动力的倒立行走健身器
CN110694234B (zh) 一种多功能体能训练装置
EP1514582A1 (en) Improved device for slimming d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