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315Y1 -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 Google Patents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315Y1
KR200360315Y1 KR20040016411U KR20040016411U KR200360315Y1 KR 200360315 Y1 KR200360315 Y1 KR 200360315Y1 KR 20040016411 U KR20040016411 U KR 20040016411U KR 20040016411 U KR20040016411 U KR 20040016411U KR 200360315 Y1 KR200360315 Y1 KR 200360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tating shaft
base
sea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16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환 filed Critical 김선환
Priority to KR20040016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3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앉는 씨트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사용자의 신체 형태에 따라 간편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대향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씨트; 상기 한 쌍의 씨트의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어 대향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판;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이 대향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해 주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원주면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은 넓고 타단은 좁게 한 쌍의 유도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중간에 장착된 간격 조절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 상기 간격 조절부에 형성된 한 쌍의 유도홈에 각각 그 일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간격 조절부의 유도홈에 대응되는 이동판의 대응 위치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연결부; 상기 이동판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해 주는 안내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Seat Apparatus Having Variable Gap}
본 고안은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사용자가 앉는 씨트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사용자의 신체 형태에 따라 씨트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장시간 동안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는 미추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상기 미추통은 요추의 끝에 붙어있는 꼬리뼈(尾骨)에 발생되는 통증을 말한다.
또한, 치질 증세가 있는 사람의 경우에도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이와 같이 미추통이나 치질 증세가 있는 사람들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의자로써,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60631호 등록된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60631호에 개시된 고안은 씨트부에 장착된 씨트의 간격이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의 간격으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씨트의 하부면에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연동부가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의자는 사용 도중에 씨트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씨트부에서 일어난 상태에서 고정부를 통하여 고정 상태를 해제한 후에 어느 한쪽의 씨트를 당기거나 밀어서 간격을 조절한 후에, 다시 고정부를 통하여 씨트를 고정시켜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씨트의 간격 조정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 1고정 구멍과 제 2고정 구멍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세한 간격조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 중에 씨트의 간격 조절이 간편하고, 조절 간격을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로 자유롭게 유지할 수 있으며, 씨트의 쿠션성을 높여서 착석을 편안하게 해 주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심부가 분할된 씨트의 간격 조절이 간편하며, 원하는 조절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중심부의 분할된 공간을 통하여 송풍 기능을 가지고 자동차용 씨트로 이용할 수 있는 씨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a∼도 2c는 본 고안에서 씨트가 좁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도 3c는 본 고안에서 씨트가 넓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서 씨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등받이 20 : 좌대
50 : 받침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대향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씨트; 상기 한 쌍의 씨트의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어 대향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판;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이 대향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해 주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원주면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은 넓고 타단은 좁게 한 쌍의 유도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중간에 장착된 간격 조절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 상기 간격 조절부에 형성된 한 쌍의 유도홈에 각각 그 일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간격 조절부의 유도홈에 대응되는 이동판의 대응 위치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연결부; 상기 이동판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해 주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축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유도홈에한 쌍의 연결부가 결합된 한 쌍의 이동판 및 씨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내 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상단면이 상기 각 이동판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블록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각 이동판의 이동 경로를 상기 축방향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롤러 홈과 상기 롤러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각 이동판의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전후단에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이동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의 전단 및 후단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씨트를 더 포함하는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한 쌍의 씨트와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의 각 외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한 쌍의 씨트와 상기 한 쌍의 이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완충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충 수단은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독립적으로 대향 이동이 가능한 2쌍의 씨트; 상기 2쌍의 씨트의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어 독립적으로 대향 이동하는 2쌍의 이동판; 상기 2쌍의 이동판이 독립적으로 대향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해 주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회전축; 원주면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은넓고 타단은 좁게 한 쌍의 유도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중간에 각각 장착된 2개의 간격 조절부; 상기 2개의 회전축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각 회전축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는 2개의 구동 수단; 상기 2개의 간격 조절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유도홈에 각각 그 일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2개의 간격 조절부의 각 유도홈에 각각 대응되는 각 이동판의 대응 위치에 고정되는 2쌍의 연결부; 상기 2쌍의 이동판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해 주는 2개의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를 아울러 제공한다.
상기 2개의 안내 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각 회전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상단면이 상기 각 이동판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블록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각 이동판의 이동 경로를 상기 축방향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축방향과 평행하게 2쌍의 롤러 홈이 형성되고 상기 2쌍의 롤러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각 이동판의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를 구비한 의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0) 및 받침부(50)가 장착된 일반적인 의자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10)나 팔걸이(15)는 용도 및 사용 환경에 따라서 장착되지 않은 의자이거나, 다른 구조의 받침부로 된 의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도 2a∼도 2c 및 도 3a∼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대(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씨트(21)가 옆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에 따라 씨트(2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한 쌍의 씨트(21)는 각각 한 쌍의 이동판(24)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판(24)의 상단 전후단에는 씨트 고정을 위한 고정판(33)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33)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하여 나사못 등으로 서로 고정된다.
상기 이동판(24)의 내측단 중앙에는 간격 조절부(27)의 한 쌍의 유도홈(27a)에 결합되는 연결부(30)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24)의 하부면의 전후에는 한 쌍의 지지판(31)이 부착되고, 상기 지지판(31)의 일측면 양단에는 각각 2개의 롤러(3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32)는 아래에 설명하는 베이스(23)의 내측면 전후에 옆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대향한 한 쌍의 롤러 홈(23b)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한다.
상기 롤러(32)는 상기 롤러 홈(23b)과의 결합에 의하여 직선 상에서 이동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이동판(24)이 이동하는 중에 베이스(23)에 대하여 밑으로 휘어지지 않게 지지해 주는 역할을 겸한다.
또한, 상기 이동판(24)은 상기 지지판(31) 및 롤러(3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23)에 대하여 공간을 두고 결합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옆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 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전후단에 제 1판(24a)이 형성되고, 각각의 측단에는 제 2판(24b)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이동판(24)이 옆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해 주는 베이스(23)는 그 전후단에 상기 제 1판(24a)과 대응하여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켜 주는 제 3판(23a)이 형성되고, 상기 제 3판(23a)의 각 중앙에는 상기 이동판(24)이 벌어질 경우에 발생되는 개구면을 막기 위한 차단판(34)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3)의 중앙 양단에는 한 쌍의 축받침(29)이 설치되고, 상기 축받침(29)에는 회전축(26)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26)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30)가 그 유도홈(27a)에 결합되는 간격 조절부(27)가 고정되는데, 상기 간격 조절부(27)는 원주면 상으로 이루어져, 앞부분은 간격이 좁게 뒷부분은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간격 조절부(27)의 상기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도홈(27a)의 간격도 앞부분에서는 좁고, 뒷부분에서는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 조절부(27)는 도 2c 또는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26)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연장부(27b)를 통하여 회전축(26)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6)에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지지블록(28)이 다수(실시예에서는 양쪽에 각각 2개씩) 장착되어, 상기 이동판(24)의 중앙 부분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회전축(26)을 따라 이동암으로써 직선 이동을 가이드해 주는역할도 겸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블록(28)의 상단 높이는 상기 이동판(24)의 내측면 높이와 같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간격 조절부(27)의 유도홈(27a)에 상기 이동판(24)의 연결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26)이 레버(25)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회전되면, 간격 조절부(27)도 같이 회전하므로, 유도홈(27a)에 결합되는 연결부(30)의 간격이 상기 간격 조절부(27)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화한다.
즉, 간격 조절부(27)에 형성된 유도홈(27a)의 가장 좁은 부분이 연결부(30)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최단 거리를 유지하므로 상기 이동판(24)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씨트(21) 역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2a∼도 2c 참조).
반대로, 상기 유도홈(27a)의 가장 넓은 부분이 연결부(30)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최장 거리를 유지하므로 상기 씨트(21)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도 3a∼도 3c).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25)를 이용하여 회전축(26)을 상방향으로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씨트(21)의 간격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정지하면, 조절된 상태로 씨트(21)의 간격이 유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26)을 회전시켜 주는 구동 수단으로 레버(25)를 사용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 조절부(27)에 형성된 유도홈(27a)에 의한 간격 조절은 한 쪽이 0∼25mm씩 이루어져, 양쪽을 합하여 0∼50mm 정도의 범위 내에서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지만, 보다 넓거나 좁은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26)에 지지블록(28)을 장착한 다음에 축받침(29)을 이용하여 베이스(23)의 상부면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26)의 일단에는 레버(25)가 연결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24)의 내측단 중앙에 고정된 연결부(30)를 상기 간격 조절부(27)의 유도홈(27a)에 삽입하고, 상기 지지블록(28)의 상단을 이동판(24)에 형성된 결합 구멍을 통하여 나사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판(24)을 조립하면, 도 2c 또는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러(32)가 롤러 홈(23b)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판(24)을 베이스(23)에 장착한 상태에서 차단판(34)을 베이스(23)의 전면 및 후면 중앙에 나사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24)의 고정판(33)에 씨트(21)를 나사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23)의 하부면의 중앙에 받침부(50)의 상단을 조립하고, 베이스(23)의 양측단에는 팔걸이(15)의 하단부를 고정시키고, 베이스(23)의 후단에는 등받이(10)의 하단부를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베이스(23)의 양측단에 고정되는 팔걸이(15)는 상기 이동판(24)의 이동 거리를 감안하여 적당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의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구성 요소 중에서 등받이(10)와 받침부(50), 팔걸이(15)를 제외한 좌대(20)와 자동차용으로 제조된 별도의 등받이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씨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에 따른 좌대(20)를 자동차용 씨트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씨트 레일에 상기 좌대(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슬라이드 결합 수단을 상기 베이스(23)의 하부면에 장착하여, 자동차 씨트 레일에 장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좌대 구조에 운전 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좌대(20)의 구성 요소 중에서 차단판(34)을 제거한 후에 송풍 기능을 가지는 송풍기나, 송풍 덕트를 상기 씨트(21)의 중간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씨트의 구조를 2개로 분리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씨트를 4개로 구성하여, 2쌍의 씨트(21a, 21b)가 별도의 간격 조절부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2쌍의 씨트(21a, 21b)에 대응하도록 이동판, 지지판, 롤러, 회전축, 레버, 간격 조절부, 지지블록, 롤러 홈 등의 구성 요소도 2벌씩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옆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씨트(21c)를 중심으로, 그 전후에 전후방으로 이동하거나 고정되는 전방 씨트(21d)와 후방 씨트(21e)를 각각 장착한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의 실시예 경우에 전방 씨트(21d)와 후방 씨트(21e)가 동시에 이동할 필요는 없으므로 각각을 이동시켜 주는 별도의 이동 수단으로 각각 구성한다.
이에 적합한 이동 수단으로 전방 씨트(21d) 및 후방 씨트(21e)가 장착된 이동판을 베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결합 수단으로 구현하면 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구성하기 위해서는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부가 옆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를 구성하는 구조 외에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여야 한다. 물론, 상기 전방 씨트(21d) 및 후방 씨트(21e)가 단순하게 고정된 경우에는 씨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브래킷을 베이스의 전단 및 후단에 추가적으로 부착해 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실시예들은 이동판에 2개 내지 4개의 씨트를 고정시킨 것들에 대한 설명이었으나, 본 고안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2개로 이루어진 씨트(90)를 이동판(75)에 대하여 상하 완충 작용을 하도록 하여 앉은 자세가 좀더 편안해지도록 하였다.
아울러, 베이스(70)와 이동판(75)간의 상호 슬라이딩 결합 방식도 다르게 하였다. 이와 같은 실시예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70)는 상기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받침부(50)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70)는 정면을 기준으로 전단과 후단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상기 실시예들(도 1∼도 6)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축받침(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받침(72)에는 회전축(80)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80)의 중간 부위에는 씨트(90)를 옆 방향으로 왕복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조절부(81)가 장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조절부(81)는 상기 실시예들(도 1∼도 6)에서 설명한 조절부(27)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70)의 위에는 한 쌍의 이동판(75)이 장착되는데, 상기 각 이동판(75)의 전후단 내측면에는 각각 한 쌍의 롤러(7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70)의 전후단에 형성된 레일(71) 상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동판(75)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 즉, 상기 조절부(81)의 상부 위치 부분에는 상기 조절부(81)에 형성된 유도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76)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이동판(75)이 벌어져 틈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베이스(70)와 이동판(75)간의 내부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95)이 상기 이동판(75)의 이동에 장애를 초래하지 않게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75)이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하여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 이동판(75)의 내측면에는 지지블록(73)이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블록(73)의 일단은 상기 축(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도 1∼도 6)에서는 씨트를 이동판에 고정한 것에 대한 실시예였으나,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씨트를 형성하는 소재의 쿠션성만 제공하는기술적인 한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씨트(90)를 이동판(75)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쿠션성을 보완하였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씨트(90)의 일단 하부와 이동판(75)의 일단 상부에 각각 힌지(91)를 형성하여 서로 힌지 결합시키고, 씨트(90)와 이동판(75) 사이에 완충 수단을 장착하였다.
상기 완충 수단은 도 7의 경우에는 판 스프링(92), 도 8의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93)을 적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씨트(90)의 각 일단을 힌지 결합한 상태에서 그 내측단에 완충성을 부여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씨트(90)에 앉으면, 씨트(90)의 중앙 부위가 사용자의 골반 및 대퇴부의 구조에 맞게 조정되면서 아래로 내려않기 때문에 좀더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좌우 골반의 각도를 치골궁이라고 하는데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남성은 약 65도이고 여성은 약 85도를 유지한다.
그런데, 상기 치골궁은 잘못된 생활습관이나 나쁜 자세, 여성의 출산 등으로 인하여 넓어질 수 있으며, 치골궁의 각도가 넓어져 골반 간격이 넓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골반은 사람이 앉아 있을 때 체중을 지탱하는 뼈이기 때문에 좌우 골반 간격이 넓어지면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골반뼈에 많은 살이 붙어서 엉덩이가 커지면서 하체 비만을 초래한다.
따라서, 벌어진 골반 간격을 줄이거나 골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본 고안은 도 9의 (C)와 같이, 한 쌍의 씨트(90)에 사용자가 앉으면 그 중심부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양쪽의 힌지부(91)에 의하여 상향으로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므로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을 중심으로 모아주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에 반듯한 자세를 계속 유지하면서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업무의 진행 상태에 따라 상체를 비틀거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상태에서도 일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쿠션 기능을 가지는 씨트(90)는 체중의 이동에 따라 씨트의 각도가 자세의 변화에 맞게 변화되어 사용자의 골반 전체에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씨트를 분할하여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엉덩이 중심 부분에 발생된 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함으로써 편안한 좌석 환경을 제공하며, 씨트의 좌우 이동을 간편하게 해 주며, 송풍 기능을 통하여 쾌적한 좌석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을 자동차용 씨트에 적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씨트에 쿠션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골반 위치 변화에 따라 씨트의 각도가 변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대향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씨트;
    상기 한 쌍의 씨트의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어 대향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판;
    상기 한 쌍의 씨트와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의 각 외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한 쌍의 씨트와 상기 한 쌍의 이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완충 수단;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이 대향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해 주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원주면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은 넓고 타단은 좁게 한 쌍의 유도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중간에 장착된 간격 조절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
    상기 간격 조절부에 형성된 한 쌍의 유도홈에 각각 그 일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간격 조절부의 유도홈에 대응되는 이동판의 대응 위치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연결부;
    상기 이동판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해 주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축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유도홈에 한 쌍의 연결부가 결합된 한 쌍의 이동판 및 씨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상단면이 상기 각 이동판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각 이동판의 이동 경로를 상기 축방향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롤러 홈과, 상기 롤러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각 이동판의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전후단에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이동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수단은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KR20040016411U 2004-06-11 2004-06-11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KR200360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6411U KR200360315Y1 (ko) 2004-06-11 2004-06-11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6411U KR200360315Y1 (ko) 2004-06-11 2004-06-11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315Y1 true KR200360315Y1 (ko) 2004-08-25

Family

ID=4113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16411U KR200360315Y1 (ko) 2004-06-11 2004-06-11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3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9970A1 (en) * 2005-09-07 2007-03-15 Dae-Seon Jeong Chair having bifurcate seat and fan device therefor
KR100856576B1 (ko) 2008-01-23 2008-09-04 (주) 퍼펙트 골반 보호용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9970A1 (en) * 2005-09-07 2007-03-15 Dae-Seon Jeong Chair having bifurcate seat and fan device therefor
KR100733517B1 (ko) * 2005-09-07 2007-06-28 정대선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및 그의 송풍장치
KR100856576B1 (ko) 2008-01-23 2008-09-04 (주) 퍼펙트 골반 보호용 의자
WO2009093793A1 (en) * 2008-01-23 2009-07-30 Perfect Co., Ltd. Pelvis protection chair
CN101925318B (zh) * 2008-01-23 2012-12-26 完美有限公司 保护骨盆的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267B1 (ko)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EP1401306B1 (en) Seats
CA2600312C (en) Chair back with lumbar and pelvic supports
JP6795914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アセンブリ
JP2004522547A (ja) 生体機械的車両座席
JP5521662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
JP4943114B2 (ja) 椅子
KR200360315Y1 (ko)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JP3172695U (ja) 調整可能な背もたれパッド
TWM421757U (en) Guiding mechanism of seat cushion of chair
KR101635492B1 (ko) 요추 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CN116548762A (zh) 座椅和椅
KR20040106184A (ko) 간격 조절이 가능한 씨트 장치
CN108771587B (zh) 一种电动轮椅背部自动调节机构
JP4448098B2 (ja) 着座家具及び/又は横臥家具
JP7300223B1 (ja) カスタムクッション式シートバック
KR102458967B1 (ko) 허리 밀착 의자
JPH11266964A (ja) 座席装置
KR20120116732A (ko) 의자의 아암 레스트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JPH059868Y2 (ko)
RU46720U1 (ru) Спинка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482304Y1 (ko) 의자용 등받이
JPH11253268A (ja) 車両用シート
JPS6122502Y2 (ko)
JP2907674B2 (ja) 車両用シートのランバサポ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