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647Y1 - 인덕션 식탁 - Google Patents

인덕션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647Y1
KR200359647Y1 KR20-2004-0015911U KR20040015911U KR200359647Y1 KR 200359647 Y1 KR200359647 Y1 KR 200359647Y1 KR 20040015911 U KR20040015911 U KR 20040015911U KR 200359647 Y1 KR200359647 Y1 KR 200359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glass layer
ceramic layer
lay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덕
Original Assignee
김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덕 filed Critical 김병덕
Priority to KR20-2004-0015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47B2200/0009Plate and dish warming plates embedded in table top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 유리, 대리석, 아크릴 계열의 소재를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와 동일한 열효율로 음식을 조리를 할 수 있으며, 식탁 본체에 이중턱을 형성하지 않아서 인덕션 식탁의 가공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인덕션의 코일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수리할 경우, 인덕션 세라믹층이 접합된 일체형의 유리층 만을 들어낸 후 바로 수리를 실시 할 수 있는 인덕션 식탁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식탁은, 상판에 소정 형상을 갖으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식탁 본체(30)와; 상기 제1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한 개 이상의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유리층(31)과; 상기 제2 개구부에 각각 접합되는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 중에서 선택되는 인덕션 상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유리층(31)과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의 상부 표면이 수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덕션 식탁{Induction Food Table}
본 고안은 인덕션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탁 상판에 유리를 설치할 수 있는 인덕션 식탁에 관한 것이다.
유도가열기술(誘導加熱技術)을 이용한 인덕션 렌지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첨단화된 유도가열 조리기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유도가열(IH, Induction Heating)이란, 가열하려는 대상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유도 전류가 흐르게 하는 기술이다.
인덕션 렌지는 불꽃은 물론 연기 등 오염물질이 없을 뿐 아니라, 자석이 붙을 수 있는 용기만을 직접 가열하므로 화재와 화상의 위험이 적어 콘도, 호텔의 객실, 오피스빌딩내 사무실, 원룸 가구, 대규모 상업용 빌딩내 음식점 등을 중심으로 기존의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조리기를 점진적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도가열조리기는 코일(구리선 등을 감은 것)에 전기를 흘리면 코일인근 공간에 자력선(磁力線)이 형성되고, 이 자력선 공간 내에 자석이 붙는 재질의 용기를 두고, 직접 가열하여 열이 발생하게 되는 유도가열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즉, 가열하려는 물질 자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유도전류를 흐르도록 유도해 열을 발생하게 하는 기술이다.
도 1은 종래의 인덕션 식탁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인덕션 식탁은 상판에 소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식탁 본체(10)와; 상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인덕션 세라믹층(11)과;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는 인덕션(13)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 인덕션 세라믹층(11)의 높이는 식탁 본체(10)와 수평을 이루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인덕션(20)의 상부에 위치한 코일의 높이도 적절하게 조절되어야하며, 인덕션(20)은 이 조절된 위치에 상응하게 식탁 본체(10)의 하단부에 피스나 그 밖의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1a 및 11b는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인덕션 세라믹층을 각각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세라믹층(11)을 식탁 본체(10)의 상판에 설치하는 경우, 인덕션 세라믹층(11)을 이중턱이 형성된 식탁 본체(10)의 상판 개구부에 위치시키고, 인덕션 세라믹층(11)과 식탁 본체(10)의 접합부위(12a,12b)를 실리콘을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덕션 식탁은 인덕션 세라믹층(11)이 접합하는 식탁 본체(10)의 개구부를 이중턱을 만들어 가공을 함으로써, 인덕션 식탁의 제조공정을 일반 식탁보다 복잡하게 만들었다.
또한, 상기 접합부(12a,12b)를 실리콘을 사용하여 접합하였는데,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인덕션 조리용기에서 발생하는 열과, 음식물을 흘리거나, 식탁을 닦아내는 과정 등으로 인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실리콘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덕션 식탁의 상판에는 유리를 설치하면 인덕션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이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요리를 할 수가 없어서 유리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또한, 뜨거운 용기나 냄비 등을 나무 재질의 인덕션 식탁의 상판에 올려놓거나, 음식물을 흘려서 인덕션 식탁의 상판이 쉽게 변질되기가 쉬웠으며, 이로 인해인덕션 식탁의 내구성도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세라믹층(11)을 식탁 본체(10)의 하단부에 고정하기 때문에 인덕션(20)에 문제가 생겨 수리를 할 경우에는 수리 기사가 인덕션 식탁 밑부분에 들어가서 인덕션(20)을 식탁 본체(10)의 하단부에서 먼저 분해한 후 수리해야만 하였다.
또한, 인덕션의 불량으로 인덕션을 교체해야 할 경우에도, 인덕션 세라믹상판(11)과 도 1에 보인 인덕션의 코일(41)과의 간격을 정확히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만일 인덕션 세라믹층과 인덕션의 코일과의 간격을 정확히 맞추지 못하는 경우, 열 효율을 올리기 위해 인덕션(20)을 식탁 본체(10)의 하단부에서 분해하는 작업을 반복해야만 하였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업체에서 인덕션 식탁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에 유리를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와 동일한 열효율로 음식을 조리를 할 수 있는 인덕션 식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식탁 본체에 이중턱을 형성하치 않아서 인덕션 식탁의 가공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는 인덕션 식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인덕션의 코일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수리할 경우, 인덕션 식탁의 상판에 형성된 인덕션 세라믹층이 접합되어있는 유리층 만을 들어낸 후 바로 수리를 실시 할 수 있는 인덕션 식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인덕션 식탁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인덕션 식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식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인덕션 식탁의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인덕션 식탁의 밑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식탁 본체 31 : 유리층
32 : 세라믹층 34a-34g : 클립
35 : 전선 코드 40 : 인덕션
41 : 인덕션 코일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식탁은, 상판에 소정 형상을 갖으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식탁 본체(30)와; 상기 제1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한 개 이상의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유리층(31)과; 상기 제2 개구부에 각각 접합되는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 중에서 선택되는 인덕션 상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유리층(31)과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의 상부 표면이 수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유리층(3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으며,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과 접합되는 상기 제1 유리층의 소정 부분에는 상기 인덕션 식탁 내부에 설치된 인덕션을 보이지 않도록 상기 식탁 본체의 상판과 동일한 계일의 색상의 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식탁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식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인덕션 식탁은, 상판에 소정 형상을 갖으며 한개 이상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식탁 본체(30)와; 제1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한 개이상의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유리층(31)과; 제2 개구부에 각각 접합되는 인덕션 세라믹층(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유리층(31)과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의 상부 표면이 수평이 되도록 제1 유리층(31)과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이 일체형이 되도록 통상의 접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덕션 세라믹층(32)의 두께는 유리층(31)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며, 인덕션 세라믹층(32)는 인덕션 세라믹층(32)이 유리층(31)에 형성된 각각의 제2 개구부로 접합되는 경우, 유리층(31)의 상부표면과 인덕션 세라믹층(32)의 상부표면이 서로 수평을 이루는 위치까지만 접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인덕션 세라믹층(32)은 인덕션 상판을 이루는 것으로, 일반 세라믹소재, 유리, 강화유리, 세라믹 계열의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유리층과 접합되는 상기 제1 유리층의 경계 부분(33a,33b)에는 인덕션 식탁 내부에 설치된 인덕션(40)을 보이지 않도록 식탁 본체(30)의 상판과 동일한 계일의 색상의 테이프가 부착되거나, 페인트칠을 하거나, 식탁 본체(30)의 상판과 동일한 계일의 스폰지 등의 재질을 삽입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식탁 상판에 형성되는 인덕션 세라믹 층의 모양은 원형이나 사각형 그밖에 어떤 형상도 무방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식탁의 밑면에는 전선을 정리하기 위한 클립(34a-34g) 이나 고리를 다수개 형성시켰기 때문에 전선 코드(35)가 어느 방향에 있더라도 미관상 깨끗하게 전선을 정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인덕션 식탁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종래에 나무재질의 식탁 본체에 이중턱을 만들어 인덕션 세라믹층을 얹는 방식 대신에 유리층에 인덕션 세라믹층을 접합시켜 일체형의 유리층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인덕션 식탁의 가공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인덕션 식탁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식탁 본체를 덮고 있는 유리층에 인덕션 세라믹층이 일체형의 유리층이 되도록 접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인덕션 식탁의 하단부에 위치한 인덕션의 코일 높이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덕션의 수리시에도 인덕션을 식탁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이 인덕션 세라믹층이 접합된 일체형의 유리층에서 들어낸 후에 종래의 인덕션 식탁 보다도 용이하게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세째, 인덕션 식탁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리층에 인덕션 세라믹층을 직접 접합한 인덕션 식탁을 제공함으로서, 종래 나무 재질의 식탁이 갖고 있었던 여러 가지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네째, 인덕션 세라믹층을 종래와 같이 실리콘을 사용하여 접합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접합이 약해지거나 접합된 곳에 음식물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Claims (3)

  1. 상판에 소정 형상을 갖으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식탁본체(30)와;
    상기 제1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한 개 이상의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유리층(31)과;
    상기 제2 개구부에 각각 접합되는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 중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인덕션 상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유리층(31)과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의 상부 표면이 수평이 되도록 제1 유리층(31)과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이 일체형이 되도록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식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 유리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유리층(3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식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세라믹층(32) 또는 제2유리층과 접합되는 상기 제1 유리층의 소정 부분에는 상기 인덕션 식탁 내부에 설치된 인덕션을 보이지 않도록 상기 식탁 본체의 상판과 동일한 계일의 색상의 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식탁.
KR20-2004-0015911U 2004-06-07 2004-06-07 인덕션 식탁 KR200359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11U KR200359647Y1 (ko) 2004-06-07 2004-06-07 인덕션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11U KR200359647Y1 (ko) 2004-06-07 2004-06-07 인덕션 식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647Y1 true KR200359647Y1 (ko) 2004-08-21

Family

ID=4943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911U KR200359647Y1 (ko) 2004-06-07 2004-06-07 인덕션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6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6671A (ja) * 2012-03-28 2013-10-07 Panasonic Corp 食卓組込型誘導加熱調理器
WO2015167127A1 (ko) * 2014-04-30 2015-11-05 (주)슈퍼지티코리아 테이블의 상판 하단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인덕션 렌지
KR101736034B1 (ko) * 2015-09-03 2017-05-16 (주) 윤영 아이엔티 전기레인지 빌트인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6671A (ja) * 2012-03-28 2013-10-07 Panasonic Corp 食卓組込型誘導加熱調理器
WO2015167127A1 (ko) * 2014-04-30 2015-11-05 (주)슈퍼지티코리아 테이블의 상판 하단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인덕션 렌지
KR101736034B1 (ko) * 2015-09-03 2017-05-16 (주) 윤영 아이엔티 전기레인지 빌트인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8426B (zh) 感应烹饪-顶部设备
KR101632742B1 (ko) 인덕션 조리기
US20140124501A1 (en) Induction cooktop appliance
KR200359647Y1 (ko) 인덕션 식탁
EP0969253A2 (en) Cooker kit assembly
US20050006379A1 (en) Invisable stove top
JP4251155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086062B1 (ko) 전기 레인지의 컨트롤 케이스 지지구조체
CN2699159Y (zh) 台嵌双型组合电气炉灶
JP2005334351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鍋
KR101854835B1 (ko)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
JP5846326B1 (ja) 加熱調理装置
KR101617800B1 (ko)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
KR102237245B1 (ko) 조리용 렌지의 덮개기구
KR102100395B1 (ko) 전기 레인지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KR101600954B1 (ko) 모듈식 전기 레인지
CN208312461U (zh) 一种一体式电磁电陶炉
WO1999040825A1 (en) A cooking vessel
TWM610989U (zh) 電磁爐用鍋具固定架結構
CN205048490U (zh) 一种节能煲仔炉
CN110631060A (zh) 一种超薄隐身可自由组合水洗电磁炉
KR20220114718A (ko) 렌지용 덮개
JP2003135281A (ja) 料理保温盆
CN116592403A (zh) 一种基于独立机芯结构的电磁炉及其应用方法
KR200282863Y1 (ko) 가스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