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593Y1 -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593Y1
KR200359593Y1 KR20-2004-0014209U KR20040014209U KR200359593Y1 KR 200359593 Y1 KR200359593 Y1 KR 200359593Y1 KR 20040014209 U KR20040014209 U KR 20040014209U KR 200359593 Y1 KR200359593 Y1 KR 200359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pipe
latent heat
connection structu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구
전세균
이헌재
조규상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4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소가스가 하향식으로 배출되게 설치되는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난방수로 제공하며 몸체 일측부로는 입수파이프(11)가 형성되는 메인 열교환기(10)와;
메인 열교환기(10)의 하부로 설치되어 난방수와 직수를 응축잠열을 이용하여 온수로 제공하며 몸체 일측부로는 토출파이프(21)가 형성되는 잠열 열교환기(20)와;
상기 메인 열교환기(10)의 입수파이프(11)와 잠열 열교환기(20)의 토출파이프(21) 사이에 설치되어 상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은 몸체 변형이 용이한 연질의 연결파이프(50)와;
상기 연결파이프(50)의 상,하로 위치되어 장착된 상태를 단속 및 고정시키는 클램프(40)로 구성되므로, 본 고안인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는 종래와 같이 금속재의 연결부재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형상 변형이 용이한 연질의 연결파이프(50)를 통해서 열교화부인 잠열 열교환기(20)와 메인 열교환기(10)의 토출파이프(21)와 입수파이프(11)를 연결시킨 후 클램프(40)를 통해서 단속 고정시키므로 작업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a heat exchanging portion in a condensing boiler}
본 고안은 콘덴싱 보일러의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덴싱 가스 보일러의 잠열열교환기의 토출파이프와 메인열교환기의 입수파이프간의 상호연결을 연질의 고무재 호스를 이용한 구성으로 연결시켜 작업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덴싱 보일러는 열교환기의 윗면 또는 측면에 버너를 설치하여 연소가스 흐름을 하향식으로 하고 그 온도를 노점온도 이하로 하여 응축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보일러이다.
이와 같은 콘덴싱 보일러(열흡수형 보일러)는 분젠식 보일러와 달리 다공 또는 메탈 파이버 버너의 예혼합 방식을 채택하고 화염면 직후에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질소화합물(Nox) 발생을 억제하고 일산화탄소(CO)의 배출량도 적어 환경 친화적인 보일러라 할 수 있는데, 그 원리는 1차로 현열을 흡수하고 2차로 배기가스로 배출되는 잠열을 흡수하는 형태를 가지므로써 일반 보일러의 배기가스 온도가 150 ~ 260oC 인데 비해 잠열흡수형 보일러는 50 ~ 100oC 정도로 열을 회수하여 87% 이상의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구성에서 잠열 열교환기와 메인열교환기의 토출부와 입수부 상호 연결은 열교환 과정의 기밀성 및 조립성 그리구 내구성 등을 감안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콘덴싱 보일러의 구성에서 잠열 열교환기와 메인 열교환기의 토출 및 입수 파이프간의 연결은 통상 금속재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키는 구성이므로 사용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결부재를 토출 및 입구 파이프사이에 접속시키는 구성이 금속재질의 연결관을 사용하는 관계로 작업성이나 조립성은 물론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금속재의 연결관을 통해서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연결부재가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관계로 조립성과 작업성이 저하되며 열교환 과정에서 기밀효율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덴싱 가스 보일러의 잠열열교환기의 토출파이프와 메인열교환기의 입수파이프간의 상호연결을 연질의 고무재 호스를 이용한 구성으로 연결시켜 작업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통한 열교환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열교환기 11 - 입수파이프
20 - 잠열 열교환기 21 - 토출파이프
30 - 연결수단 40 - 클램프
50 - 연결파이프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소가스가 하향식으로 배출되게 설치되는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난방수로제공하며 몸체 일측부로는 입수파이프(11)가 형성되는 메인 열교환기(10)와;
메인 열교환기(10)의 하부로 설치되어 난방수와 직수를 응축잠열을 이용하여 온수로 제공하며 몸체 일측부로는 토출파이프(21)가 형성되는 잠열 열교환기(20)와;
상기 메인 열교환기(10)의 입수파이프(11)와 잠열 열교환기(20)의 토출파이프(21) 사이에 설치되어 상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은 몸체 변형이 용이한 연질의 연결파이프(50)와;
상기 연결파이프(50)의 상,하로 위치되어 장착된 상태를 단속 및 고정시키는 클램프(4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는 종래와 같이 금속재의 연결부재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형상 변형이 용이한 연질의 연결파이프(50)를 통해서 열교화부인 잠열 열교환기(20)와 메인 열교환기(10)의 토출파이프(21)와 입수파이프(11)를 연결시킨 후 클램프(40)를 통해서 단속 고정시키므로 작업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체결력 및 조립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을 통한 열교환부의 연결상태를 요부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는 잠열 열교환기(20)의 토출파이프(21)와 메인 열교환기(10)의 입수파이프(11) 연결부재로 연질이면서 형상변형이 용이한 연결파이프(50)와 클램프(40)를 이용해서 단속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잠열 열교환기(20)의 토출파이프(21)와 메인 열교환기(10)의 입수파이프(11)의 사이에는 현상변형이 용이하면서 연질구성의 연결파이프(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파이프(50)는 고무재질로서 변형성이 용이하면서도 열에 대한 내구성이 좋은 재질을 적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50)를 본 고안에서와 같이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하는 이유는 잠열 열교환기(20)와 메인 열교환기(10)기의 상호 연결작업시 보다 용이한 작업성을 위하여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의 연결파이프가 아닌 연질의 고무재를 이용한 연결파이프(50)를 적용시켜 사용하므로 써, 열변형에 따른 내구성은 물론 작업성 및 기밀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파이프(50)의 상,하부로는 토출파이프(21) 및 입수파이프(11)에
연결파이프(50)를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클램프(40)가 설치된다.
즉, 종래 금속재질의 연결파이프를 적용시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연질의 고무재질의 연결파이프(50)를 적용시켜 사용하는 구성이므로, 클램프(40) 방식으로 연결파이프(50)의 상,하부를 단속 및 위치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기존 금속재질의 연결부재가 아닌 연질의 고무재를 이용하여 형상변형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좋은 연결파이프(50)를 적용시켜 사용하고, 상,하 단속은 클램프(40)를 적용시켜 사용하므로, 작업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잠열 열교환기의 토출 파이프와 메인 열교환기의 입수파이프 사이의 연결을 금속재질인 아닌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클램프를 통해 고정시켜 사용하므로 써, 제품의 작업성 및 내구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연소가스가 하향식으로 배출되게 설치되는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난방수로 제공하며 몸체 일측부로는 입수파이프(11)가 형성되는 메인 열교환기(10)와;
    메인 열교환기(10)의 하부로 설치되어 난방수와 직수를 응축잠열을 이용하여 온수로 제공하며 몸체 일측부로는 토출파이프(21)가 형성되는 잠열 열교환기(20)와;
    상기 메인 열교환기(10)의 입수파이프(11)와 잠열 열교환기(20)의 토출파이프(21) 사이에 설치되어 상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은 몸체 변형이 용이한 연질의 연결파이프(50)와;
    상기 연결파이프(50)의 상,하로 위치되어 장착된 상태를 단속 및 고정시키는 클램프(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
KR20-2004-0014209U 2004-05-21 2004-05-21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 KR200359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209U KR200359593Y1 (ko) 2004-05-21 2004-05-21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209U KR200359593Y1 (ko) 2004-05-21 2004-05-21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593Y1 true KR200359593Y1 (ko) 2004-08-21

Family

ID=4943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209U KR200359593Y1 (ko) 2004-05-21 2004-05-21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5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122B1 (ko) * 2016-06-28 2017-12-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콘덴싱 보일러의 잠열 열교환기 바디와 연결 플랜지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122B1 (ko) * 2016-06-28 2017-12-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콘덴싱 보일러의 잠열 열교환기 바디와 연결 플랜지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291B1 (ko) 보일러/급탕기용 공용열교환기
KR100390521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기
KR101810122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잠열 열교환기 바디와 연결 플랜지 조립방법
KR200359593Y1 (ko)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부 연결구조
JP4148803B2 (ja) 熱交換器
KR20100054383A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잠열 열교환기
KR20050036152A (ko)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받이와 배기덕트 조립구조
TWI275755B (en) Hot-water supplying machine
KR20040017448A (ko) 콘덴싱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110019174A (ko) 보일러의 응축형 열교환기
KR100570290B1 (ko) 콘덴싱 열교환장치
KR20180034775A (ko) 콘덴싱 보일러의 잠열 열교환기
CN204574098U (zh) 空预器及其冷端径向或轴向的密封结构
KR200449056Y1 (ko)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
CN216114653U (zh) 一种采暖供热水装置
KR200359592Y1 (ko) 콘덴싱 보일러의 팽창탱크 조립구조
CN218544816U (zh) 一种带雨水收集功能的二次换热器及燃气采暖热水炉
KR200359591Y1 (ko)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기 조립구조
KR100570288B1 (ko) 보일러/급탕기용 열교환기
CN216205596U (zh) 一种阻火扰流式换热器
KR200362832Y1 (ko) 콘덴싱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0255210Y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조
JP2011179704A (ja) 排気トップと熱交換器との組み合わせ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た温水装置
KR20070071475A (ko)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KR920008472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