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475Y1 -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 - Google Patents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475Y1
KR200359475Y1 KR20-2004-0014880U KR20040014880U KR200359475Y1 KR 200359475 Y1 KR200359475 Y1 KR 200359475Y1 KR 20040014880 U KR20040014880 U KR 20040014880U KR 200359475 Y1 KR200359475 Y1 KR 200359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vertical support
rack
support port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덕
Original Assignee
이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덕 filed Critical 이병덕
Priority to KR20-2004-0014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4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에 관한 것으로, 수평으로 긴 수평지지부(110)와, 이의 한 쪽 단부에서 아래로 뻗어 형성된 제1수직지지부(120), 상기 수평지지부(110)의 다른 쪽 단부에서 아래로 뻗어 형성되고 누름부걸이(131)가 그 일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수직지지부(130), 제1수직지지부(120)와 제2수직지지부(130)의 사이에 가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수직지지부(120,130)에 고정되어 있어서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부(140) 및 상기 제1수직지지부(120)에 그 한 쪽 단부가 끼워지도록 걸림쇠(151)가 형성되어 있고 제2수직지지부(130)의 누름부걸이(131)에 걸려져서 상기 받침부(140)에 놓여지는 음식물을 눌러서 고정시키는 누름부(150)로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를 구성하여 용이하고도 간편하며 신속하게 고기를 고기구이기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고기를 굽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많은 양의 고기를 누구나 손쉽게 구울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Meat holder used in apparatus for roasting meat}
본 고안은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이하고 간편하게 고기를 꽂을 수 있도록 고기꽂이를 구성하여 많은 양의 고기를 누구나 신속하게 구을 수 있도록 한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출원인이며 고안자의 명의로 된 실용신안등록 제 347705호에 소개된 종래의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꽂이(230)는 긴 봉으로 되어 있으며 한 쪽 단부는 고기를 꽂을 수 있도록 뾰족하게 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고기꽂이(230)의 손잡이의 앞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꽂이걸이용홈(211)에서 외부와 연통된 곳의 너비(C)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직경(A)에서 출발하여 앞쪽으로 직경이 더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그 후로는 고기꽂이걸이용홈(211)의 너비(C)보다는 크고 구멍의 직경(D)보다는 작은 직경(B)으로 제1회전판(210)의 두께(F)보다 약간 긴 길이(E)로 고기꽂이요부(231)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기꽂이(230)는 이 고기꽂이요부(231)를 통해서만 고기꽂이걸이용홈(211)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양 회전판(210,220) 사이의 거리는 고기꽂이(230)의 뾰족한 단부로부터 고기꽂이요부(231)까지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어서 고기꽂이(230)의 뾰족한 단부를 고기꽂이지지용 구멍(221)에 삽입한 후 고기꽂이요부(231)를 고기꽂이걸이용홈(211)에 끼우고 고기꽂이(230)를 뒤로 잡아당기면 고기꽂이(230)의 뾰족한 단부는 고기꽂이지지용 구멍(2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되고 고기꽂이요부(231)는 고기꽂이걸이용홈(2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되어 고기꽂이(230)가 양 회전판(210,220)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기꽂이(230)를 양 회전판(210,220) 사이에서 빼낼 때에는 위와 반대의 순서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고기꽂이(230)는 양 회전판(210,220) 사이에서 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기꽂이를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경우 고기를 고기꽂이에 꽂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매우 번거로워서 많은 양의 고기를 신속하게 굽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기꽂이에 고기를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기꽂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의 누름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에 고기를 올려놓은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에 고기를 끼워 넣은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를 고기구이기용 회전기구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8은 종래의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기꽂이, 110 ----- 수평지지부,
111 ----- 고리, 120 ----- 제1수직지지부,
130 ----- 제2수직지지부, 131 ----- 누름부걸이,
132 ----- 고리용홈, 133 ----- 받침부용홈,
140 ----- 받침부, 150 ----- 누름부,
151 ----- 걸림쇠, 160 ----- 간격유지대,
170 ----- 고기, 180 ----- 회전기구,
181 ----- 고기꽂이걸이용홈, 190 ----- 회전축.
상기한 목적을 위해서 본 고안의 고기꽂이는 수평으로 긴 수평지지부와; 이의 한 쪽 단부에서 아래로 뻗어 형성된 제1수직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다른 쪽 단부에서 아래로 뻗어 형성되고 누름부걸이가 그 일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수직지지부; 제1수직지지부와 제2수직지지부 사이에 가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수직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받침부; 및 상기 제1수직지지부에 그 한 쪽 단부가 걸려지도록 걸림쇠가 형성되어 있고 제2수직지지부의 누름부걸이에 걸려져서 상기 받침부에 놓여지는 고기나 음식물을 눌러서 고정시키는 누름부; 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걸림쇠는 누름부와 서로 다른 평면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의 한 쪽 단부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수직지지부에는 이 고리에 걸리도록 고리용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고 상기 받침부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는 받침부용홈이 형성되어 받침부의 한 쪽 단부가 삽입되어 이를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누름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간격유지대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기꽂이(100)는 가로로 긴 수평지지부(110)가 있어서 회전지지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의 지지대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지지부(110)의 한 쪽 단부에는 이 단부가 회전 지지될 수 있을 거리만큼 떨어져서 아래로 뻗어 제1수직지지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에는 마찬가지로 회전 지지될 수 있을 거리만큼 떨어져서 아래로 뻗어 제2수직지지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2수직지지부(130)에는 그 일 측에 누름부걸이(131)가 형성되어 있어서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누름부(150)가 이에 걸려지도록 하였다.
상기 제1수직지지부(120)와 제2수직지지부(130)의 사이에는 가로로 길게 받침부(140)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에 고기나 다른 음식물 등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140)는 가로방향으로 긴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예컨대 가로로 긴 판의 형태 등 고기나 다른 음식물 등이 올려질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받침부(140)에 고기나 다른 음식물 등이 올려지면 이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40)와 비슷한 형태이나 그 한 쪽 단부가 상기 제1수직지지부(120)에 끼워지도록 걸림쇠(151)가 형성된 누름부(150)를 사용한다. 걸림쇠(151)를 상기 제1수직지지부(120)에 끼우고 다른 쪽 단부를 상기 제2수직지지부(130)의 누름부걸이(131)에 걸면 받침부(140)에 올려진 고기나 음식물 등을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누름부(150)의 형상은 받침부(140)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받침부(140)와 누름부(150)사이에 놓여진 고기나 음식물을 고정시키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이 누름부(150)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누름부걸이(131)의 형상도 누름부(150)의 한 쪽 단부가 걸려질 수 있도록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누름부(1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50)의 걸림쇠(151)와 누름부(150)가 서로 다른 평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누름부(150)와 걸림쇠(151)가 서로 다른 평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부(150)가 제1수직지지부(120)에 끼워졌을 때 양 평면의 거리만큼 받침부(140)와 누름부(150) 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이 간격만큼 두꺼운 고기나 음식물을 고기꽂이(100)에 걸 수 있게 된다. 걸림쇠(151)가 누름부(150)와 다른 평면에 형성되면 제2수직지지부(130)에 형성된 누름부걸이(131)의 형상도 이에 따라서 달라져야만 한다. 또한, 누름부(150)의 걸림쇠(151) 쪽에 간격유지대(160)를 형성하여서 누름부(150)를 형성하는 2개의 긴 봉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100)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의 고기꽂이(100)는 제1실시예의 고기꽂이와 유사한 구조이나, 그 차이점은 제2수직지지부(130)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선회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받침부(140)의 한 쪽 단부가 제2수직지지부(130)에 의해서 고정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위해서 수평지지부(110)의 제2수직지지부(130)쪽에 고리(111)가 형성되어있고, 이 고리(111)에 걸려지도록 제2수직지지부(130)에는 고리용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수직지지부(130)에는 상기 받침부(140)의 한 쪽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부용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부용홈(133)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받침부(140)의 단부형상에 따라서 달라지며 이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선회 가능한 제2수직지지부(130)는 다 구어진 고기나 음식물을 고기꽂이(100)에서 제거할 때 제1수직지지부(120) 쪽에서 제2수직지지부(130) 쪽으로 받침부(140)위에 올려진 고기나 음식물을 훑으면 제2수직지지부(130)가 선회하면서 받침부(140)가 이에서 해제되므로 제1실시예보다도 간편하게 고기나 음식물을 고기꽂이(100)에서 제거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받침부(140)의 제1수직지지부(120) 쪽에는 전술된 누름부(150)에서와 같이 간격유지대(160)를 형성하여서 받침부(140)의 2개의 긴 봉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한편, 누름부(150)가 제2수직지지부(130) 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도 4내지 도 6은 전술된 제2실시예의 고기꽂이(100)를 사용하여 고기(170)를 굽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로서, 먼저 제2수직지지부(130)를 움직여서 받침부(140)의 한 쪽 단부를 제2수직지지부(130)의 받침부용홈(133)에 삽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40)가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받침부(140)와 누름부(150) 사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맞게 썰어진 고기나 음식물을 받침부(140)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누름부(150)의 걸림쇠(151)를 받침부(140)의 한 쪽 단부에 끼우고 누름부(150)의 한 쪽 단부 즉, 제2수직지지부(130) 쪽의 단부를 제2수직지지부(130)의 누름부걸이(131)에 걸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50)와 받침부(140) 사이에 고기(170)가 걸려서 아래로 빠지지 않고 고정되게된다.
이 고기꽂이(10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의 양 회전기구(180)의 고기꽂이걸이용홈(181)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하면, 회전축(190)이 회전하면서 고기꽂이(100)가 고기(170)가 그 자중에 의해서 항상 아래로 향하도록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서 고기가 골고루 구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알맞게 썰어진 고기나 음식물을 고기꽂이의 받침부에 올려놓고 이에 누름부를 고기가 고정되도록 설치해 주기만 하면 되므로 용이하고도 간편하며 신속하게 고기를 고기구이기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고기를 굽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고기를 누구나 손쉽게 구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평으로 긴 수평지지부(110)와; 이의 한 쪽 단부에서 아래로 뻗어 형성된 제1수직지지부(120); 상기 수평지지부(110)의 다른 쪽 단부에서 아래로 뻗어 형성되고 누름부걸이(131)가 그 일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수직지지부(130); 제1수직지지부(120)와 제2수직지지부(130) 사이에 가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수직지지부(120,130)에 고정되어 있는 받침부(140); 및 상기 제1수직지지부(120)에 그 한 쪽 단부가 걸려지도록 걸림쇠(151)가 형성되어 있고 제2수직지지부(130)의 누름부걸이(131)에 걸려져서 상기 받침부(140)에 놓여지는 고기나 음식물을 눌러서 고정시키는 누름부(150);로 이루어지는 고기꽂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151)는 누름부(150)와 서로 다른 평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꽂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110)의 한 쪽 단부에는 고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수직지지부(130)에는 이 고리(111)에 걸리도록 고리용홈(1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고 상기 받침부(140)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는 받침부용홈(133)이 형성되어 받침부(140)의 한 쪽 단부가 삽입되어 이를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꽂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40)와 누름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 간격유지대(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꽂이.
KR20-2004-0014880U 2004-05-28 2004-05-28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 KR200359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880U KR200359475Y1 (ko) 2004-05-28 2004-05-28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880U KR200359475Y1 (ko) 2004-05-28 2004-05-28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475Y1 true KR200359475Y1 (ko) 2004-08-21

Family

ID=4943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880U KR200359475Y1 (ko) 2004-05-28 2004-05-28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4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363B1 (ko) 2016-12-12 2017-07-13 주식회사 파미고 회전식 숯불구이의 음식물 거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363B1 (ko) 2016-12-12 2017-07-13 주식회사 파미고 회전식 숯불구이의 음식물 거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15638A1 (en) Rotisserie And Grill Cylindrical Tumbler
US8087352B2 (en) Rotisserie spit
US8850966B2 (en) Food retainer for rotary grill
JPH08511695A (ja) 自動カバブ回転器
KR200470999Y1 (ko)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US6367373B2 (en) Rotisserie cradle
KR200359475Y1 (ko) 고기구이기용 고기꽂이
US20080053425A1 (en) Kabob skewer holder
US7234392B1 (en) Open flame rotisserie utensil having spiral wiener receptacle
KR100846307B1 (ko) 롤형 구이불판장치
KR20170001500A (ko) 여러 개의 꼬치를 걸어서 조리할 수 있는 꼬치구이용 회전판 및 그 꼬치구이용 회전판이 구비된 꼬치구이대
KR200433972Y1 (ko) 꼬치봉이 구비된 야외용 바비큐 구이기
WO2007031035A1 (en) Mechanised rotating grill system for grilling foodstuffs
JP3165858B2 (ja) 自動串焼機に用いる焼串
KR101740588B1 (ko)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US20220022696A1 (en) Novel food preparation device for securing food items in place while cooking and the like
KR200359476Y1 (ko) 고기구이기용 회전기구
KR200273837Y1 (ko) 숯불 바베큐기의 구이장치
KR200196879Y1 (ko) 고기 구이 장치
KR101576015B1 (ko) 회전 구이 지지대 구조
KR20180021638A (ko) 자동꼬치구이장치
CN213248298U (zh) 一种均匀受热式燃气焖烤炉
KR200455551Y1 (ko) 바비큐구이기
KR101519722B1 (ko) 휴대용 숯불구이 장치
KR102203805B1 (ko) 조립식 석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