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084Y1 -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084Y1
KR200359084Y1 KR20-2004-0014331U KR20040014331U KR200359084Y1 KR 200359084 Y1 KR200359084 Y1 KR 200359084Y1 KR 20040014331 U KR20040014331 U KR 20040014331U KR 200359084 Y1 KR200359084 Y1 KR 200359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aft
tube
tubes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윤 김
Original Assignee
재 윤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윤 김 filed Critical 재 윤 김
Priority to KR20-2004-0014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0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40Fluid power drive; Fluid supply element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상 제품을 권취하는 지관을 결합하는 에어샤프트의 공유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튜브 중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어도 다른 튜브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에어주입밸브를 통해 유입된 에어를 다수개의 튜브로 나누어 공급하는 에어분배기의 분지통로의 입구부분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설치되어 튜브로 에어를 공급하고, 튜브로 공급된 에어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니플과; 상기 에어니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에어주입밸브와 연결된 유동축의 끝단에 에어니플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누름판이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수개의 튜브 중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어도 다른 튜브는 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권취설비를 정지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An Air Distribution Structure for Air Shaft}
본 고안은 시트상 제품을 권취하는 지관을 결합하는 에어샤프트의 공유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가 공급되면 각각 팽창하여 각각의 러그를 그 중심에서 외주방향으로 밀어주어 러그가 지관을 압착하도록 하는 튜브 중 어느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어도 다른 튜브에는 영향을 못 미치어 에어샤프트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샤프트의 공유기 구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지관은 중공심재라고도 불리며, 그 내부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축 형상물로서, 이것은 인쇄용지, 라미네이트, 부직포, 금속성호일, 각종 테이프 및 필름, 비닐지와 같은 시트상 제품을 권취할 때 중심공을 제공하는 물품이다.
그리고, 상기 지관은 권취설비에 장착되어 일정 속도로 회전하며 시트상 제품을 그 외주면에 감게 된다. 이때, 상기 지관은 스스로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슬리터 등에 장착될 때에 에어샤프트를 통해 고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에어샤프트는 상기 지관을 착탈 가능하게 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게 된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5-8032호의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 후 권취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어샤프트는 축의 일단부로 접속되는 공압라인을 통해 압축공기를 급송하여 생기는 내부압력을 이용하여 러그를 외주방으로 돌출시켜 지관을 고정시키고, 반대로 압축공기를 배기시키면 지관이 해방되게 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종래 에어샤프트용 러그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샤프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러그(2)가 결합된 에어샤프트(1)의 외주연부로 지관(미도시)이 결합되고, 상기 에어샤프트(1)는 권취설비(미도시)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에어샤프트(1)에 압축공기를 급송하게 되면 에어샤프트(1)에 결합된 다수개의 러그(2)는 그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게 되고, 이에 러그(2)와 지관의 내면이 접촉하며 에어의 압력으로 러그(2)와 지관이 압지되며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권취설비가 작동되면 지관의 외면에 시트상 제품이 감기게 된다.
도 2는 종래 에어분배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에어분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샤프트(1)는, 중심관체(40)의 양단을 폐쇄하는 에어분배기(30) 및 마감부재(10)와, 상기 마감부재(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에어통로(11)와, 상기 에어통로(11)에 설치되어 외부로 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주입밸브(20)와, 상기 에어주입밸브(20)와 연결된 유동축(21)과, 상기 마감부재(10)와 에어분배기(30)의 결합면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부(31)와, 상기 공간부(31)에 유입된 에어가 분리되어 통과하는 분지통로(32)와, 상기 분지통로(32)와 연결되는 중심관체(40)에 형성된 에어유로(41)와, 상기 에어유로(41)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동작하는 튜브(3)와, 상기 튜브(3)의 상면에 결합되어 튜브(3)의 팽창 및수축동작에 따라 에어샤프트(1)의 외주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동작하는 러그(2)와, 상기 에어분배기(30)와 결합되어 튜브(3)의 양단을 피복 보호하는 튜브리테너(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에어샤프트(1)는 외부에서 에어주입밸브(20)를 밀며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에어는 마감부재(10)의 에어통로(11)를 통과하여 에어분배기(30)의 공간부(31)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31)에 공급된 에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분지통로(32)로 분배되어 공급되고, 상기 분지통로(32)를 통과한 에어는 중심관체(40)의 에어유로(41)를 지나 각각의 튜브(3)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튜브(3)는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하게 되고, 이에 러그(2)는 그 외주방향으로 돌출하여 지관의 내면을 압지하여 지관과 에어샤프트(1)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에어샤프트(1)를 권취설비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도중, 다수개의 튜브(3) 중 하나의 튜브(3)가 파손되면 그 파손된 튜브(3)에 의해 모든 튜브(3)의 에어압력이 손실되며, 에어샤프트(1)의 설치목적인 지관을 압지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하지 못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튜브(3)는 에어유로(41)와 분지통로(32) 및 공간부(31)를 공유하며 에어의 압력을 받게되므로, 하나의 튜브(3)가 파손되면 그 튜브(3)로 에어가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튜브(3)가 파손되어도 에어샤프트(1)를 사용하지 못하고, 권취설비의 동작을 멈추고 에어샤프트(1)를 분해하여 파손된 튜브(3)를 교체하거나, 에어샤프트(1)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체작업으로 인해 권취설비가 정지되어 그 생산성이 매우 떨어질 뿐 아니라, 그에 따르는 생산비용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다수개의 튜브 중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어도 에어샤프트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어도 에어샤프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부품 교체에 따르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샤프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에어분배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에어분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분배 구조를 보인 요부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분배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니플의 구조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니플의 동작을 보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샤프트 2 - 러그
3 - 튜브 10 - 마감부재
20 - 에어주입밸브 30 - 에어분배기
40 - 중심관체 100 - 에어니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포장지, 직물지, 비닐지, 종이, 합성수지필름 등의 시트재 생산설비에 제조된 시트재를 감아두는 지관을 압지하여 슬리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도록 다수개의 러그를 각각의 외주방향으로 밀어주는 다수개의 튜브가 결합된 통상의 에어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튜브 중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어도 다른 튜브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에어주입밸브를 통해 유입된 에어를 다수개의 튜브로 나누어 공급하는 에어분배기의 분지통로의 입구부분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설치되어 튜브로 에어를 공급하고, 튜브로 공급된 에어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니플과; 상기 에어니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에어주입밸브와 연결된 유동축의 끝단에 에어니플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누름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니플은, 그 중심부의 내측 끝부분에 배출홀이 구비된 에어공급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과 접촉되는 머리부가 형성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외주연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홀로 에어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누름판의 누름동작에 의해 작동축을 좌·우로 이동시키며 튜브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에어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의 걸림턱과 작동축의 걸림턱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출홀은, 누름판에 의해 작동축의 머리부가 밀리게 되었을때 몸체의 경사면과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니플이 에어분배기의 결합홈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결합홈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몸체에 형성되는 나사부를 더 형성시키고, 상기 누름판에 의해 작동축이 밀릴 때 에어공급유로로 에어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누름판에 다수개의 에어니플의 에어공급유로와 대응하는 관통부를 더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고안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분배 구조를 보인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분배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분배기(1)의 분지통로(32) 입구에 결합홈(3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33)에 나사부(34)를 형성함과 아울러, 몸체(110)에 나사부(113)가 형성된 에어니플(100)을 결합홈(33)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에어니플(100)의 머리부(123)와 접하도록 유동축(21)의 끝단에 관통부(23)가 형성된 누름판(22)을 형성시켜 결합시킨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니플의 구조를 보인 요부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니플의 동작을 보인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니플(100)은 작동축(120)과 몸체(110)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작동축(120)은 그 중심부의 내측 끝부분에 배출홀(121)이 구비된 에어공급유로(122)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22)과 접촉되는 머리부(1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는 작동축(120)의 외주연부에 설치되고, 그 끝단부에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배출홀(121)로 에어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110)의 걸림턱(112)과 작동축(120)의 걸림턱(124) 사이에 탄성부재(140)가 설치되어 몸체(110)의 내부에서 누름판(22)의 누름동작에 의해 작동축(120)을 좌·우로이동시키며 튜브(3)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에어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마감부재(10)의 에어주입밸브(20)로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에어주입밸브(20)를 누르게 되면, 에어주입밸브(20)와 유동축(21)으로 연결된 누름판(22)이 밀리며 에어니플(100)의 작동축(120) 머리부(123)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123)가 눌리면 작동축(120)이 몸체(110)로 부터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배출홀(121)이 몸체(110)의 경사면(111)에 위치하며 에어가 배출홀(121)을 통해 경사면(111)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상기 에어주입밸브(20)로 급송된 에어는 마감부재(10)의 에어통로(11)를 통해 에어분배기(30)의 공간부(31)에 공급되고, 상기 공간부(31)에 공급된 에어는 누름판(22)의 관통부(23)를 지나 작동축(120)의 에어공급유로(122)를 통해 배출홀(121)을 지나 경사면(111)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11)을 지난 에어는 분지통로(32)와 중심관체(40)의 에어유로(41)를 통해 각각의 튜브(3)로 공급되어 튜브(3)를 팽창시켜 각각의 러그(2)를 외주방향으로 밀어서 지관의 내면과 압지시키며 지관과 에어샤프트(1)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지관과 에어샤프트(1)가 견고하게 고정되면 외부에서 에어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어 상기 에어주입밸브(20)를 누르던 힘이 없어지면서 유동축(21)과 함께 누름판(22)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에어니플(100)의 작동축(120)도 누름판(22)이 누르던 힘이 없어져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축(120)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배출홀(121)은 경사면(111)에 위치하지 않을 뿐 아니라, 몸체(110)의 경사면(111)에 작동축(120)의 밀폐링(130)이 접촉되어 튜브(3)로 공급된 에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는 튜브(3)가 5개 이상으로 결합된 에어샤프트(1)에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는, 튜브(3)의 갯수가 4개 이하이면 하나의 튜브(3)가 파손되어도 다른 튜브(3)의 에어의 압력에는 변화가 없음은 물론이나, 4개의 러그(2)가 지지하다가 1개의 러그(2)가 함몰되면 나머지가 그 부분을 보완하지 못하여 권취설비를 멈추고 파손된 튜브(3)를 교환하거나 에어샤프트(1)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3)의 갯수가 5개 이상이면 하나의 튜브(3)가 파손되어도 다른 튜브(3)의 에어의 압력에도 변화가 없고, 나머지 러그(2)들이 파손된 러그(2)의 부분까지 보완해 줄 수 있으므로 튜브(3)의 갯수가 적어도 5개 이상인 에어샤프트(1)에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에어샤프트용 러그구조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다수개의 튜브 중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어도 다른 튜브는 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권취설비를 정지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튜브가 파손되어 그 튜브에 있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도 에어분배기의 결합홈에 결합된 에어니플에 의해 다른 튜브에 영향이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모든 튜브가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면 모든 튜브에 있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샤프트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 의해서는 각각의 튜브로 공급되는 에어가 개별적으로 제어됨으로서, 종래와 같이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어도 다른 튜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개별적인 에어의 제어에 의해 튜브가 파손되어도 지속적으로 에어샤프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과 생산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수리시간의 단축과 수리비용의 절감으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포장지, 직물지, 비닐지, 종이, 합성수지필름 등의 시트재 생산설비에 제조된 시트재를 감아두는 지관을 압지하여 슬리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도록 다수개의 러그(2)를 각각의 외주방향으로 밀어주는 다수개의 튜브(3)가 결합된 통상의 에어샤프트(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튜브(3) 중 하나의 튜브(3)가 파손되어도 다른 튜브(3)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에어주입밸브(20)를 통해 유입된 에어를 다수개의 튜브(3)로 나누어 공급하는 에어분배기(30)의 분지통로(32)의 입구부분에 형성되는 결합홈(33)과;
    상기 결합홈(33)에 설치되어 튜브(3)로 에어를 공급하고, 튜브(3)로 공급된 에어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니플(100)과;
    상기 에어니플(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에어주입밸브(20)와 연결된 유동축(21)의 끝단에 에어니플(100)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누름판(22)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니플(100)은, 그 중심부의 내측 끝부분에 배출홀(121)이 구비된 에어공급유로(122)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22)과 접촉되는 머리부(123)가 형성된작동축(120)과;
    상기 작동축(120)의 외주연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홀(121)로 에어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경사면(111)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서 누름판(22)의 누름동작에 의해 작동축(120)을 좌·우로 이동시키며 튜브(3)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에어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110)의 걸림턱(112)과 작동축(120)의 걸림턱(124)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121)은, 누름판(22)에 의해 작동축(120)의 머리부(123)가 밀리게 되었을때 몸체(110)의 경사면(111)과 연결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니플(100)이 에어분배기(30)의 결합홈(3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결합홈(33)에 형성되는 나사부(34)와;
    상기 나사부(34)와 나사체결되는 몸체(110)에 형성되는 나사부(113)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22)에 의해 작동축(120)이 밀릴 때 에어공급유로(122)로 에어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누름판(22)에 다수개의 에어니플(100)의 에어공급유로(122)와 대응하는 관통부(23)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KR20-2004-0014331U 2004-05-24 2004-05-24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KR200359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31U KR200359084Y1 (ko) 2004-05-24 2004-05-24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31U KR200359084Y1 (ko) 2004-05-24 2004-05-24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084Y1 true KR200359084Y1 (ko) 2004-08-16

Family

ID=4934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331U KR200359084Y1 (ko) 2004-05-24 2004-05-24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0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48A (ko) * 2021-08-24 2023-03-03 한성주 필름 권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48A (ko) * 2021-08-24 2023-03-03 한성주 필름 권취장치
KR102567851B1 (ko) * 2021-08-24 2023-08-17 한성주 필름 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041B1 (ko) 권취용 지관의 고정방법 및 장치
KR101373596B1 (ko) 에어 샤프트 롤러 코어
US2215069A (en) Roll spindle
KR960004186A (ko) 시트부재 공급장치
KR101893514B1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KR101949863B1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US4380449A (en) Variable size folder cylinder
KR200359084Y1 (ko) 에어샤프트의 에어분배 구조
US20190291996A1 (en) Friction Shaft for Slitter
JPH06226954A (ja) 輪転印刷機の版胴上へ撓み易い印刷プレートを張設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装置
JPH079670A (ja) 印刷版の固定装置
US4195792A (en) Expandable mandrels
RU2009107205A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ий валик, в частности, режущий валик, для этикетировочного агрегата
US3510082A (en) Pneumatic chuck
US9126395B2 (en) Bridge sleeves with diametrically expandable stabilizers
KR101287398B1 (ko) 정밀지관 이송용 에어샤프트
US3908926A (en) Roll supporting mechanism
CN109353898A (zh) 快拆式键条气胀轴
US6419183B1 (en) Air chuck
CN117023291A (zh) 一种铺纸机气涨轴
KR200379191Y1 (ko)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US7481391B2 (en) Air shaft
KR20130026884A (ko) 튜브 교체형 지관홀딩장치
US8307764B2 (en) Printing sleeve
KR100282682B1 (ko) 자동 조심(調芯) 공압 에어 샤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