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793Y1 -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793Y1
KR200358793Y1 KR20-2004-0014973U KR20040014973U KR200358793Y1 KR 200358793 Y1 KR200358793 Y1 KR 200358793Y1 KR 20040014973 U KR20040014973 U KR 20040014973U KR 200358793 Y1 KR200358793 Y1 KR 200358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concrete structure
retaining wall
generato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제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4-0014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옹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외기 온도에 의한 수축변형시 균열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해진 곳에만 균열이 발생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는, 내부에 철근이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진 옹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서로 연결되며 타측 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져 상기 옹벽의 열변형을 유도하는 수축유도부(11,12) 및 상기 수축유도부의 일측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옹벽의 균열을 유도하는 균열유도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옹벽의 전후 양측에 상기 균열유도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된다. 상기 균열유도부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이 걸려 고정되는 철근걸이홈(13a)이 더 형성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A concrete structure crack guider}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외기 온도 등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변형을 유도하고, 균열이 정해진 곳으로만 발생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옹벽, 포장도로 등)은 콘크리트 양생시 수화열이나, 외기의 온도 등에 의해 건조수축 또는 외력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시 수축변형을 감안하며, 미리 정해진 장소에 균열을 유발시켜 구조물의 미관을 유지하고 구조적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기로 예컨대,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삼각줄눈(1)이 사용되고 있다. 삼각줄눈(1)은 삼각형 단면이면서 그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개가 옹벽(2)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삼각줄눈(1)은 옹벽(2)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해진 위치에 균열(2a)에 발생되도록 하여 옹벽(2)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구간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삼각줄눈(1)은 그 구조가 삼각단면을 갖기 때문에 옹벽(2)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에 대하여 신축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옹벽(2)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줄눈 역할을 못한다. 즉, 옹벽(2)이 외부 온도 등에 의해 수축될 때 삼각줄눈(1)이 수축되면서 옹벽(2)의 수축을 유도하여야 하는데, 실제로는 삼각줄눈(1)의 수축이 미약하기 때문에 옹벽(2)의 예상치 않은 임의의 곳에 균열(2b)이 발생된다.
그리고, 삼각줄눈(1)에 의해 약간의 균열이 유발되기는 하지만 이는 콘크리트에 일정간격으로 약간의 단면을 줄이는데 그쳐 실제 균열 유발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옹벽(2)의 타부분에 많은 균열이 발생된다. 특히, 삼각줄눈(1)이 옹벽(2)의 전면부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삼각줄눈(1)이 설치되지 않은 옹벽(2)의 후방부에서는 옹벽(2)의 모든 부분에서 균열이 발생되어 이 균열이 옹벽(2)의 전면부쪽으로 진행됨에 따라 옹벽(2)의 하자 발생은 물론 구조상 옹벽(2)의 미관을 해치는 실정이다.
또한, 삼각줄눈(1)은 옹벽(2)에 대한 결속력이 미약하여 옹벽(2)에서 쉽게 이탈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균열을 유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기 온도 등에 의한 옹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을 유도함으로써 수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해진 곳에만 균열이 발생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결속력을 증대하여 옹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 옹벽, 10 : 균열 발생기
11,12 : 수축유도부, 13 : 균열유도부
13a : 철근걸이홈, 13c : 연결공
20 : 연결브래킷,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는, 내부에 철근이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을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균열이 정해진 곳에만 발생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이 걸려 고정되는 철근걸이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10)는, 대략 Y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옹벽(2)(도 3에 도시됨)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종방향(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형상은 서로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단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로 벌어져 옹벽(2)의 수축을 유도하는 제1/2수축유도부(11,12) 및 제1/2수축유도부(11,12)의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균열유도부(13)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균열 발생기(10)는 균열유도부(13)가 서로 마주보도록 옹벽(2)의 전후 양측에 서로 대응 설치되어 균열유도부(13)들 사이를 통해서만 균열이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옹벽(2)의 수축 변형시 제1/2수축유도부(11,12)가 수축되면서 옹벽(2)의 수축을 유도하여 옹벽(2)에 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균열 발생기(10)는 옹벽(2)의 시공시 콘크리트에 부착됨과 아울러 그 결속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옹벽(2)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3)에 고정된다. 예컨대, 균열유도부(13)에는 종방향을 따라 철근걸이홈(13a)이 다수개 형성되어 철근(3)이 철근걸이홈(13a)에 삽입됨으로써 균열 발생기(2)가 옹벽(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철근걸이홈(13a)은 철근(3)의 위치에 상관없이 철근(3)이 고정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철근(3)이 삽입되도록 철근걸이홈(13a)의 일측에는 철근걸이홈(13a)보다 폭이 좁은 철근삽입홈(13b)이 형성된다.
한편, 옹벽(2)의 높이는 설치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한가지 사이즈의 균열 발생기(10)로는 모든 옹벽(2)에 맞출 수 없으므로 옹벽(2)의 높이에 상관없이 모든 옹벽(2)에 균열 발생기(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균열 발생기(10)는 종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되면 옹벽(2)의 높이에 맞도록 균열 발생기(10)를 무리하게 길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절단하는 불편함이 없다. 균열 발생기(10)의 상하 연결구조는 예를 들어, 균열유도부(13)의 상하 단부에는 연결공(13c)이 형성되며, 서로 근접하는 균열 발생기(10)의 연결공(13c)은 하나의 연결브래킷(20)을 통해 연결된다.
아울러, 옹벽(2)의 방수를 위하여 후방측 균열 발생기(10)에는 지수시트(3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옹벽(2)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철근(3)을 종횡방향으로 설치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옹벽(2)의 수축에 의한 변형을 막고 균열을 유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균열 발생기(10)를 설치하며, 그 방법으로는 균열 발생기(10)의 균열유도부(13)의 철근걸이홈(13a)에 철근(3)을 삽입하여 철근(3)이 균열 발생기(1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균열 발생기(10)를 옹벽(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옹벽(2)이 완성되면 본 고안에 따른 균열 발생기(10)가 옹벽(2)의 전후 양측에 설치되어 균열유도부(13)가 서로 마주보게 됨으로써 옹벽(2)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유도부(13)의 사이를 통해서 균열이 발생되어 타구간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외기 온도에 의해 옹벽(2)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열변형(수축)할 경우 서로 벌어져 있던 수축유도부(11,12)가 옹벽(2)의 수축에 의해 수축되면서 옹벽(2)의 수축을 구속하지 않고 유도하여 옹벽(2)이 열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축된다.
지금까지 옹벽(2)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10)는 옹벽(2)을 포함하는 모든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에 의하면, 열에 의한 옹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시 수축유도부의 수축율이 크기 때문에 옹벽의 수축을 구속하지 않으므로 옹벽이 온도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되어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옹벽의 전후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균열발생기를 통해서만 균열이 발생되어 옹벽의 타구간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취할 수 있고,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균열 발생기가 옹벽 내부의 철근에 고정되어 옹벽에서 이탈되는 오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철근이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기에 있어서,
    일측이 서로 연결되며 타측 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변형을 유도하는 수축유도부(11,12) 및 상기 수축유도부의 일측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유도하는 균열유도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후 양측에 상기 균열유도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유도부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이 걸려 고정되는 철근걸이홈(13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유도부의 상하부에는 연결공(13c)이 각각 형성되며, 근접하는 상기 연결공을 연결하는 연결브래킷(20)을 매개로 하여 다수개가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 발생기에는 지수시트(30)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KR20-2004-0014973U 2004-05-29 2004-05-29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KR200358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73U KR200358793Y1 (ko) 2004-05-29 2004-05-29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73U KR200358793Y1 (ko) 2004-05-29 2004-05-29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427A Division KR100624190B1 (ko) 2005-02-24 2005-02-24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793Y1 true KR200358793Y1 (ko) 2004-08-11

Family

ID=4943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973U KR200358793Y1 (ko) 2004-05-29 2004-05-29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7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260B1 (en) Concrete forming system with brace ties
US4949515A (en) Fastening element for the cladding concrete method of construction
US20100236179A1 (en) Building block, build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bricking wall using the same
KR101371098B1 (ko) 조적벽체 보강 구조
KR1006241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US9487943B2 (en) Component building system
KR20110031583A (ko) 단열재를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이중 단열 영구 거푸집
BR112019017708B1 (pt) Elemento de construção híbrida de concreto aerado
KR200358793Y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KR101007012B1 (ko) 터널 천단부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천단부보강공법
KR101758596B1 (ko) 단열 하프피씨 슬래브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KR102045958B1 (ko) 철근의 교호적 배치를 갖는 슬래브의 열교 차단장치
KR100370588B1 (ko)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KR200311685Y1 (ko) 구조물의 수팽창 지수재 설치용 지수판
JP4297397B2 (ja) 耐震スリット材とその施工方法
KR101825375B1 (ko) 현장 타설 콘크리트 부재와의 접합면 분산 배치가 가능한 연결측면구조를 가지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부재와 섬유보강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연결시공방법
KR200232635Y1 (ko) 조립식 기초 거푸집
KR102375506B1 (ko) 전단키를 구비한 pc블록 내진벽 및 그 시공방법
JP6232190B2 (ja)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200410092Y1 (ko) 몰탈 사춤형 벽돌
KR20110102769A (ko) 거푸집 패널
KR200243952Y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익스팬션 조인트
JPS6039379Y2 (ja) 梁フレ−ム
JP4836565B2 (ja) 壁式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5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