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588B1 -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 Google Patents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588B1
KR100370588B1 KR10-2000-0049930A KR20000049930A KR100370588B1 KR 100370588 B1 KR100370588 B1 KR 100370588B1 KR 20000049930 A KR20000049930 A KR 20000049930A KR 100370588 B1 KR100370588 B1 KR 10037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anel
crux
concrete
index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287A (ko
Inventor
조현수
이복만
양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운 피 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운 피 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운 피 엠
Priority to KR10-2000-004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588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36Three-dimensional reinforcing mats composed of reinforcing elements laying in two or more parallel planes and connected by separate reinforcing parts
    • E04C5/064Three-dimensional reinforcing mats composed of reinforcing elements laying in two or more parallel planes and connected by separate reinforcing parts the reinforcing elements in each plane being formed by, or forming a, mat of longitunal and transvers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크럭스 구조용 와이어 패널은 크럭스 와이어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크럭스 와이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와이어 네트와, 상기 와이어 네트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콘크리트 피복으로 구성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양측 와이어 네트의 하단부 사이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지수판 결합 와이어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하고,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되는 바닥면에 지수판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상기 돌출된 지수판에 상기 지수판 결합 와이어의 함입부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바닥과 벽체를 간단하게 분리하여 방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부 즉 와이어 패널과 와이어 패널 사이에 익스펜션 조인트를 직접 끼워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간단히 익스펜션 조인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CRUX CONSTRUCTION COMPOSITIVE WIRE PANEL}
본 발명은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지수판을 설치하고 복합 와이어 패널을 수직으로 세워 상기 지수판에 결합시키므로 간편하게 바닥과 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패널과 패널 사이에 익스펜션 조인트를 삽입하여 간단히 벽체와 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노동 집약적 산업의 하나인 건축은 근래 들어 숙련공의 부족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그 환경이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1970년대 초부터 국내의 시공능력과 현장조건에 적합하고 재래식 현장 타설공법 및 기존의 PC 공법에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복합화 공법이 개발, 운용되고 있으며 특히 근래 들어 조립식 패널 공법 및 거푸집 공법이 많이 개발되어 다양한 요구에 상당한 효과를 얻고 있다.
본 출원의 발명인인 조현수에 의해 선출원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특허 공고번호 93-12072)은 상기 새로운 복합화 공법중 하나로 도 1 에 도시한바와 같이, 고강도 와이어를 X형으로 맞물리게 한 후, 상기 와이어의 측면에 와이어 네트(10)를 고정한 다음, 상기 와이어 네트(10)로부터 돌출된 크럭스 와이어(8)를 콘크리트 피복(2) 내에 고정하여 이를 해당 위치에 설치하고, 그 내부의 중공부에 철근 배근(12)(14)과 각종 설비시설을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써 거푸집 패널부분과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내력벽식 구조물이 완성되며, 이 원형을 이용하여 모든 건축물의 벽체구조, 난간구조, 계단, 기둥, 슬래브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단열재를 나타낸다.
건축물의 벽체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철근(12) 둘레로 상기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을 수직으로 배치한 다음, 상기 패널의 콘크리트 피복(2) 내부 중공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피복(2)부분과, 콘크리트 피복(2) 내부의 크럭스 와이어(8), 와이어 네트(10) 및 수직 철근(12), 수평 철근(14)들과 함께 콘크리트가 일체로 양생되어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콘크리트 벽체의 경우 방수기능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한쪽 공간에 있는 물이 콘크리트 벽체의 하단을 타고 스며들어 다른쪽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어 충분한 방수역할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벽체와 벽체 사이의 팽창 또는 축소를 막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분리하고, 그 분리된 공간 내에 벽체의 팽창량 또는 축소량을 보상하기 위해 익스펜션 조인트를 삽입하게 되는데, 와이어 패널과 패널 사이에 별도의 거푸집을 만들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상기 거푸집을 떼어내고 그 거푸집을 떼어낸 자리에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익스펜션 조인트를 삽입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바닥에 지수판을 설치하고 복합 와이어 패널을 수직으로 세워 상기 지수판에결합시키므로 간편하게 바닥과 벽체를 분리하여 방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와 벽체를 분리하기 위해 배치한 복합 와이어 패널의 연결부에 익스펜션 조인트를 끼워넣고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간단히 익스펜션 조인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럭스 와이어와, 상기 크럭스 와이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와이어 네트와, 상기 와이어 네트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된 콘크리트 피복으로 구성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네트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지수판 결합 와이어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하고,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되는 바닥면에 지수판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상기 지수판 결합 와이어에 상기 지수판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럭스 와이어와, 상기 크럭스 와이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와이어 네트와, 상기 와이어 네트의 외측면에 결합된 콘크리트 피복으로 구성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네트의 양측 단부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하고,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되는 위치의 와이어 패널과 와이어 패널 사이에 익스펜션 조인트를 배치하여, 상기 일측 와이어 패널의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와 타측 와이어 패널의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 사이에 상기 익스펜션조인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에 의한 복합 와이어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복합 와이어 패널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럭스 와이어 및 와이어 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수판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익스펜션 조인트의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크럭스 와이어 20 ; 와이어 네트
22 ; 지수판 결합 와이어 22a,24a ; 함입부
22b,24b ; 직선부 23 ; 지수판
24 ;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
25 ; 익스펜션 조인트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럭스 와이어 및 와이어 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를 X자 모양으로 교차시킨 후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한 크럭스 와이어(8)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크럭스 와이어(8)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와이어 네트(20)와, 상기 와이어 네트(20)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콘크리트 피복(2)(도 4 참조)으로 구성된 크럭스 구조용 와이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네트(20)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지수판 결합 와이어(22)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상기 지수판 결합 와이어(22)는 와이어 네트(20)에 용접되어 고정된 직선부(22b)와, 상기 직선부(22b)의 가운데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되어 형성된 함입부(22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이 설치되는 바닥면(B)에 지수판(23)을 삽입하여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익스펜션 조인트의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를보인 것으로, 크럭스 와이어와, 상기 크럭스 와이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와이어 네트와, 상기 와이어 네트의 외측면에 결합된 콘크리트 피복으로 구성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네트(20)의 양측 단부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24)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하고,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되는 위치의 와이어 패널과 와이어 패널 사이에 익스펜션 조인트(25)를 배치하여, 상기 일측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의 함입부(24a)와 타측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 함입부 사이에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25)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24)는 와이어 네트(20)에 용접되어 고정된 직선부(24b)와, 상기 직선부(24b)의 가운데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함입부(24a)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수판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가 설치되는 위치의 바닥면(B)에 지수판(23)을 설치한 뒤, 상기 지수판(23)의 돌출 부위에 와이어 패널의 하단부에 설치한 지수판 결합 와이어(22)의 함입부(22a)를 맞추고, 상기 지수판(23)이 설치된 바닥면(B)으로부터 연장된 철근(12) 둘레에 상기 와이어 패널의 콘트리트 피복(2)을 위치시킨 뒤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 패널을 벽체 시공위치에 배치시키고 난 후, 상기 와이어 패널의 콘크리트 피복(2) 사이로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피복(2) 부분과, 콘크리트 피복(2) 내부의 크럭스 와이어(8), 와이어 네트(20), 수직 철근(12), 지수판 결합 와이어(22) 및 지수판(23)과 함께 콘크리트가 일체로 양생되며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콘크리트 벽체는 콘크리트 벽체 하단부 중심에 지수판(23)이 삽입되므로 상기 지수판(23)을 통해 벽체의 방수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를 나타내는 상세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와 벽체 사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패널을 수직으로 배치시킬 때, 상기 일측 와이어 패널과 타측 와이어 패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24)가 서로 대응하도록 하고,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24)가 대응하는 공간에 익스펜션 조인트(25)를 삽입하여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피복(2) 부분과 콘크리트 피복(2) 내부의 크럭스 와이어(8), 와이어 네트(20),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24) 및 익스펜션 조인트(25)와 함께 콘트리트가 일체로 양생되어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콘크리트 벽체는 콘크리트 벽체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작업을 하던 종래 기술과는 달리 와이어 패널과 와이어 패널 사이에 익스펜션 조인트를 삽입한 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서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를 통해 슬래브의 팽창량 및 수축량을 손쉽게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은 바닥에 지수판을 설치하고 복합 와이어 패널을 수직으로 세워 상기 지수판에 결합시키므로 간편하게 바닥과 벽체를 분리하여 방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치한 복합 와이어 패널의 연결부에 익스펜션 조인트를 끼워넣고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간단히 익스펜션 조인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크럭스 와이어와, 상기 크럭스 와이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와이어 네트와, 상기 와이어 네트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된 콘크리트 피복으로 구성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네트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지수판 결합 와이어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하고,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되는 바닥면에 지수판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상기 지수판 결합 와이어에 상기 지수판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 결합 와이어는 와이어 네트에 용접되어 고정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가운데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함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3. 크럭스 와이어와, 상기 크럭스 와이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와이어 네트와, 상기 와이어 네트의 외측면에 결합된 콘크리트 피복으로 구성된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네트의 양측 단부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하고,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되는 위치의 와이어 패널과 와이어 패널 사이에 익스펜션 조인트를 배치하여,
    상기 일측 와이어 패널의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와 타측 와이어 패널의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 사이에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펜션 조인트 결합 와이어는 와이어 네트에 용접되어 고정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가운데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함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KR10-2000-0049930A 2000-08-26 2000-08-26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KR100370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930A KR100370588B1 (ko) 2000-08-26 2000-08-26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930A KR100370588B1 (ko) 2000-08-26 2000-08-26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287A KR20000072287A (ko) 2000-12-05
KR100370588B1 true KR100370588B1 (ko) 2003-02-05

Family

ID=1968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930A KR100370588B1 (ko) 2000-08-26 2000-08-26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617B1 (ko) * 2004-04-14 2006-06-19 한국과학기술원 와이어를 이용한 가변형 샌드위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7897A (zh) * 2018-03-30 2018-07-13 山东隆济时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钢丝网架复合外墙保温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617B1 (ko) * 2004-04-14 2006-06-19 한국과학기술원 와이어를 이용한 가변형 샌드위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287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RU2040652C1 (ru) Фундаментный блок
KR100694587B1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RU2293162C1 (ru)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0539333B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101460559B1 (ko) 텐던체어 기능의 연결 전단보강 철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과 현장타설 슬래브의 접합부 구조 및 접합부 시공방법
KR100646363B1 (ko) 장스팬용 보강데크식 바닥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KR101928041B1 (ko) 외단열재가 일체화된 벽체모듈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370588B1 (ko)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KR10041930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전력맨홀의 체결 구조
KR100694586B1 (ko)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지하외벽 구조
KR200178874Y1 (ko)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KR200380424Y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CN21171418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结构
JP3707378B2 (ja) Pc部材を用いた建築構造
KR100203012B1 (ko) Pc 슬라브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50797B1 (ko) 강연선 위치 고정수단을 가진 pc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1방향 장선 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
KR20060028828A (ko) 슬래브 일체형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423643Y1 (ko) 플레이트를 이용한 i-슬래브 접합구조
KR200398769Y1 (ko) T형단면 조립식 아치터널
KR100664965B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0311724B1 (ko) 건축물 외벽의 치장벽돌 조적시공방법 및 그 조적구조
CN110284618B (zh) 一种保温墙施工方法
CN220644651U (zh) 一种防水结构件及水平构件的防水节点
KR200200417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