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936Y1 -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 Google Patents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936Y1
KR200357936Y1 KR20-2004-0013891U KR20040013891U KR200357936Y1 KR 200357936 Y1 KR200357936 Y1 KR 200357936Y1 KR 20040013891 U KR20040013891 U KR 20040013891U KR 200357936 Y1 KR200357936 Y1 KR 200357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roller
pin
fram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영
Original Assignee
송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영 filed Critical 송지영
Priority to KR20-2004-0013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9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41Skating boots characterised by the sole ;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ska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신발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간단한 동작으로 롤러(바퀴)를 신발 외부로 인출시켜 롤러스케이트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후 바퀴를 신발 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시켜서 신발로 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for both shoes and roller skates}
본 고안은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신발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간단한 동작으로 롤러(바퀴)를 신발 외부로 인출시켜 롤러스케이트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후 바퀴를 신발 내부의 수납공간에 넣어서 신발로 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 0226057호와 같은 운동화 및 롤러스케이트가 결합된 겸용신발 등이 있었으나, 이와 같은 신발은 바퀴가 신발 외부로 돌출되는 양이 많아 롤러스케이트의 사용시 그 높이가 높아질 수밖에 없어서 위험하며 또한 신발 내부로 바퀴를 넣는 동작이 매우 까다로우며, 그 구성 또한 복잡하여 제작비용이나 사용상의 어려움 등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롤러스케이트 사용시 바퀴가 신발 외부로 약 1/2 정도만 인출되게 하여 신발의 높이를 낮추어 그 안전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바퀴를 빼내고 넣는 과정을 보다 간편하게 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을 제공하며 그 제작비용을 줄이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신발 사용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롤러스케이트 사용시의 사시도
도 2a는 도 2의 일부분 절취도
도 3은 본 고안의 신발사용시의 롤러조립체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롤러스케이트 사용시의 롤러조립체의 상태도
도 5a, 도 5b, 도 5c는 본 고안의 롤러조립체의 일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롤러조립체의 신발 사용시의 측면도
도 6a는 도 6의 일부분 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롤러조립체의 롤러스케이트 사용시의 측면도
도 7a는 도 7의 일부분 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회전누름스위치부의 확대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신발 2. 수납공간
3. 전방롤러 4. 후방롤러
5. 밑창 10. 롤러조립체
11. 프레임 12. 핀
13. 작동스틱 13a. 경사면
14. 장공홀 15. 압축스프링
16. 볼트 17. 비틀림스프링
18. 압축스프링 19. 조절핀
20. 몸체 21. 피스홀
22. 안내장공 23. 안전장치
24. 걸림돌기 30. 회전누름스위치
31. 화살표 32. 걸림바
본 고안은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신발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간단한 동작으로서 바퀴를 신발 외부로 인출시켜 롤러스케이트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후 바퀴를 신발 내부의 수납공간에 넣어서 신발로 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신발 사용시의 사시도로서, 롤러(3,4)가 신발(1) 내부의 수납공간(2)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발로 사용할 시 롤러(3,4)로 인한 간섭을 받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롤러스케이트 사용시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롤러스케이트 사용시에는 롤러(3,4)가 신발(1)의 저면에서 약 1/2 정도만 인출되어 있다. 따라서, 신발 높이가 높지 않아 다른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보다 안전하다.
도 2a는 도 2의 일부분 절취도로서, 롤러조립체(10)가 신발(1)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신발 사용시 롤러조립체의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롤러스케이트 사용시의 롤러조립체의 상태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롤러조립체(10)는 신발 밑창(5)과 결합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장공홀(14)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을 하방으로 밀어주는 비틀림스프링(17)과, 상기 프레임(11)의 양단에 결합되며 회전이 가능한 전후방 롤러(3,4)와, 상기 프레임(11)의 상하운동을 제한해 주는 핀(12)과, 상기 핀(12)과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조절핀(19)과, 상기 조절핀(19)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스프링(15)과, 상기 조절핀(19)을 작동시켜주는 작동스틱(13)과, 상기 작동스틱(13)을 전후 이동시켜주는 회전누름스위치(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은 몸체(20) 내부에 형성된 장공홀(14)을 따라 상하 이동되며 몸체(20) 내부에 내장된 핀(12)에 의해 움직임에 제한을 받는다. 즉, 상기 핀(12)은 몸체(20) 내부에 삽입 또는 돌출될 수 있으며, 몸체(20) 내로 삽입되었을 시는 프레임(11)이 간섭받지 않으며 몸체(20) 외부로 돌출될 시에는 프레임(11)의 운동을 간섭한다.
이하, 핀(12)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도 5b,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한 롤러조립체(10)의 일부분 확대도로서, 도 5a는 신발 사용시, 도 5b는 작동중, 도 5c는 롤러사용시의 상태도이다. 여기서, 프레임(11)의 운동은 핀(12)이 제한해 주며, 상기 핀(12)과 조절핀(19)은 고정결합되어 있어서 양구성은 같이 움직인다. 상기 조절핀(19) 사이에는압축스프링(15)이 형성되어 있어 조절핀(19)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는 작용을 한다. 먼저 작동스틱(13)이 신발의 전방 즉, 전방롤러(3) 방향으로 밀려지면 상기 작동스틱(13)의 경사면(13a)을 따라 조절핀(19)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조절핀(19)과 같이 움직이는 핀(12)이 몸체(20) 내부로 삽입되면서 프레임(11)에 대한 간섭이 없어지고, 이후 비틀림스프링(17)에 의해 프레임(11) 전체가 몸체(20)의 하방으로 밀려 내려오게 된다. 이 상태가 바로 신발(1) 외부로 전후방롤러(3,4)가 나온 상태로서 사용자의 롤러스케이트 사용시가 된다. 상기 작동스틱(13)은 후술할 회전누름스위치(3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롤러조립체(10)의 신발사용시의 측면도이고, 도 6a는 도 6의 일부분 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롤러조립체(10)의 롤러스케이트 사용시의 측면도이고, 도 7a는 도 7의 일부분 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회전누름스위치부의 확대도이다.
먼저, 회전누름스위치(30)는 양쪽에 걸림바(32)가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20)와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24)에 의해 회전에 제약을 받는다. 상기 회전누름스위치(30)의 화살표(31)가 12시 방향에 위치했을 때에만 회전누름스위치(30)의 걸림바(32)가 몸체(20)에 형성된 안내장공(2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나머지 상태에서는 몸체(20)에 의해 전진 이동의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회전누름스위치의 화살표(31)가 12시 방향인 상태 즉, 걸림바(32)가 안내장공(22)을 따라 전진이동이 가능할 때에 사용자가 회전누름스위치(30)를 누르게 되면 상기 회전누름스위치(30)가 몸체(20) 내로 일정거리 들어가면서 상기 회전누름스위치(30)와 결합되어 있는 작동스틱(13)이 같이 전진하게 되어 조절핀(19)의 간격을 좁혀주게 되며, 상기 조절핀(19)과 같이 움직이는 핀(12)이 몸체(20) 내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 핀(12)이 몸체(20) 내로 삽입되게 되면 핀(12)에 의해 간섭을 받고 있던 프레임(11)이 비틀림스프링(17)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고, 결국 전후방롤러(3,4)가 신발(1) 외부로 나오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누름스위치(30)의 일단에는 압축스프링(18)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회전누름스위치(30)가 항상 몸체 (20) 외부로 밀려나게 하는 힘을 받고 있다.
여기서, 몸체(20)에는 안전장치(23)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회전누름스위치(30)를 임의로 회동시키지 않으면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고안을 사용시 롤러(3,4)가 임의로 신발(1) 내부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용을 롤러(3,4)가 신발(1) 내에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본 고안을 신발 상태에서 롤러스케이트 상태로 바꾸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누름스위치의 화살표(31)를 12시 상태로 돌린 다음 회전누름스위치(30)를 누르게 되면, 상기 회전누름스위치(30)와 결합되어 있는 작동스틱(13)이 신발(1)의 전방 즉, 전방롤러(3)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작동스틱(13)의 경사면(13a)을 따라 조절핀(19)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상기 조절핀(19)과 일체로 움직이는 핀(12)이 몸체(20) 내부로 삽입되면서 프레임(11)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게 되고, 결국 프레임(11)은 상기한 비틀림스프링(17)의 힘에 의해 장공홀(14)을 따라신발의 저면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후 회전누름스위치(30)는 압축스프링(15,18)의 힘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조절핀(19)이 원위치 되면서 프레임(11)의 상면이 핀(12)에 의해 걸려지게 되어 롤러(3,4)가 신발에서 나온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사용자가 회전누름스위치(30)를 3시 방향으로 돌려놓게 되면 안전장치(23)의 간섭 때문에 12시 방향으로 원위치 되지 못하며 사용자는 롤러스케이트로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누름스위치를 12시 방향으로 돌리고 누르는(터치하는) 간단한 동작으로서 신발인 상태에서 롤러스케이트인 상태로 쉽게 변환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본 고안을 롤러스케이트 상태에서 신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회전누름스위치(30)를 역시 12시 방향으로 돌려주고 누르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핀(12)에 의한 프레임(11)의 간섭이 없어지게 되고 사용자는 비틀림스프링(17)의 힘보다 높은 힘으로서 롤러(3,4)를 신발(1) 내부로 넣고 상기 회전누름스위치(30)를 놓게 되면 작동스틱(13)이 원위치 되면서 조절핀(19)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결국 핀(12)이 몸체(20)에서 돌출되어 프레임(11)의 저면은 핀(1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발인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은 롤러스케이트 사용시 바퀴가 신발 외부로 약 1/2 정도만 나오게 하여 신발의 높이를 낮추어 그 안전성을 높였다. 또한, 바퀴를 빼내고 넣는 과정을 보다 간편하게 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을 제공하여 그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신발과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있어서,
    신발 밑창(5)과 결합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장공홀(14)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을 하방으로 밀어주는 비틀림스프링(17)과, 상기 프레임(11)의 양단에 결합되며 회전이 가능한 전후방 롤러(3,4)와, 상기 프레임(11)의 상하운동을 제한해 주는 핀(12)과, 상기 핀(12)과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조절핀(19)과, 상기 조절핀(19)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스프링(15)과, 상기 조절핀(19)을 작동시켜주는 작동스틱(13)과, 상기 작동스틱(13)을 전후 이동시켜주는 회전누름스위치(30)로 구성된 롤러조립체(10)와;
    상기 롤러조립체(10)가 내부에 결합되는 신발(1);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누름스위치(30)는 상하 걸림돌기(24)에 의해 회전에 제한을 받으며, 화살표(31)가 12시 위치에 있을 때만 전진 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2004-0013891U 2004-05-19 2004-05-19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57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91U KR200357936Y1 (ko) 2004-05-19 2004-05-19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91U KR200357936Y1 (ko) 2004-05-19 2004-05-19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974A Division KR100520499B1 (ko) 2004-05-17 2004-05-17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936Y1 true KR200357936Y1 (ko) 2004-07-31

Family

ID=4943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891U KR200357936Y1 (ko) 2004-05-19 2004-05-19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9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121A (ko) 2022-06-15 2023-12-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121A (ko) 2022-06-15 2023-12-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499B1 (ko)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US20020121750A1 (en) Shoe for skating and walking
CN201207948Y (zh) 可伸缩的溜冰鞋
KR200357936Y1 (ko)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CN205050739U (zh) 新型键盘开关
US10173124B2 (en) Retractable inline skate shoe
CN201139921Y (zh) 溜冰鞋
KR200276793Y1 (ko) 롤러 블레이드가 장착된 신발
US6402162B1 (en) Dual-purpose roller skate
WO2012100680A1 (zh) 步行轮滑两用鞋
KR101046872B1 (ko) 도어용 개방 지지장치
KR200283188Y1 (ko) 미끄럼방지용 신발
KR100369235B1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KR100358602B1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KR100543832B1 (ko)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KR200211686Y1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CN220090443U (zh) 一种用于暴走鞋底的滑轮装置
KR200472294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JPH0336549B2 (ko)
KR200211804Y1 (ko) 롤러스케이트
JP3103086U (ja) ローラ付シューズ
CN115251526B (zh) 一种鞋码快速调节装置及具有该装置的竞速鞋
JP3074973U (ja) 両用タイプのローラースケート靴
KR200400581Y1 (ko) 도어 스톱퍼
KR200182921Y1 (ko) 롤러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