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121A -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121A
KR20230172121A KR1020220072544A KR20220072544A KR20230172121A KR 20230172121 A KR20230172121 A KR 20230172121A KR 1020220072544 A KR1020220072544 A KR 1020220072544A KR 20220072544 A KR20220072544 A KR 20220072544A KR 20230172121 A KR20230172121 A KR 20230172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hoes
user
roller skates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수
김도완
노강민
이지윤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72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121A/ko
Publication of KR2023017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3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3/00Accessories for sk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 B65D85/18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for foot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06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conversion into another device
    • A63C2203/065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conversion into another device replacing in the binding the shoe by anothe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제1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부, 제1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휠부 및 제1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부의 상부면에 사용자의 신발이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롤러스케이트를 착용 시 사용자의 신발을 벗지 않고도 롤러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DETACHABLE ROLLER SKATES WITH SHOES}
본 발명은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제1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부, 제1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휠부 및 제1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부의 상부면에 사용자의 신발이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롤러스케이트를 착용 시 사용자의 신발을 벗지 않고도 롤러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스케이트는 사용자가 발과 몸을 움직여 지면을 활주하면서 신체를 단련할 수 있는 레저 기구로서, 이와 같은 롤러스케이트는 신발 밑창 부분에 휠을 포함하는 롤러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롤러스케이트는 탁월한 주행성능에 비해 보행 기능이 취약한 것이 흠이었고, 이러한 단점은 사용자가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거나 롤러가 구를 수 없는 바닥을 이동하고자 할 때, 일반 신발로 바꿔 신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있었다.
즉, 롤러스케이트를 신은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는 경우 계단에서 미끄러질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롤러스케이트와 신발을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의 롤러스케이트화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925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7158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신안공보 제33024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8873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83441호 및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90341호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롤러스케이트들은 필요에 따라 신발과 롤러스케이트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롤러스케이트가 견고하지 못하거나, 구조가 복잡하거나, 롤러스케이트와 신발과의 결합이 불편하거나, 롤러스케이트와 신발을 분리시켰을 때 신발이 운동화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는 등 사용상에 불편함 및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92544호의 경우 발 받침대가 분리되어 있어 롤러스케이트가 견고하지 못하며, 롤러스케이트와 신발의 결합부재가 미비하여 롤러스케이트와 신발이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71587호의 경우 전후방 고정밴드가 있어 롤러스케이트와 신발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은 해결되었지만, 받침대는 여전히 분리되어 있어 롤러스케이트가 견고하지 못하며, 특히 전후방 고정밴드가 발목 및 발등을 압박할 수 있어 착용감을 저해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롤러스케이트와 신발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탈부착형 롤러스케이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57936호
본 발명은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제1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부, 제1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휠부 및 제1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부의 상부면에 사용자의 신발이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롤러스케이트를 착용 시 사용자의 신발을 벗지 않고도 롤러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휠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부에 사용자의 신발이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폭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토퍼; 및 상기 받침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를 회전시켜 상기 스토퍼를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받침부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보관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충전 가능한 배터리부; 및 상기 보관부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보관부의 위치정보를 전달받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관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보관부의 내부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충전부; 상기 제1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홈부와 상기 한 쌍의 충전부를 결합시켜 상기 제1 본체부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타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본체부와 상기 사용자의 신발의 분리를 방지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발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제2 본체부의 상부면에 사용자의 신발이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롤러스케이트를 착용 시 사용자의 신발을 벗지 않고도 롤러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길이의 제2 본체부를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발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착용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한 켤레로 여러 사람이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본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와 제2 본체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와 프레임부가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술할 충전부와 제1 본체부가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대여하는 과정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고, '폭 방’'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본 발명에서'일측'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받침부(120)가 형성된 부분이며, '타측'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연장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는 제1 본체부(100), 제2 본체부(200), 보관부(300) 및 제어부(400)로 구성되며, 제1 본체부(100)의 상부에는 제2 본체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본체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2 본체부(200)는 제1 고정부(210), 제2 고정부(220), 연장부(230), 미끄럼방지부(240)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발이 제2 본체부(200)의 상부면에 맞닿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본체부(200)의 상부에 신발을 장착한 후, 사용자의 신발의 크기에 따라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발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본체부(200)의 타측에는 연장부(230)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연장부(230)는 사용자의 신발의 뒤꿈치를 감싸서 밀착시키므로 사용자의 신발을 제2 본체부(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본체부(200)의 일측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제2 본체부(200)의 상부면에는 미끄럼방지부(24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발이 일측을 향해 미끄러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의 신발의 고정장치를 발등 고정 및 뒤꿈치 이중고정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발을 한층 더 확고하게 지지하여 롤러스케이팅 도중에 신발의 앞꿈치와 뒤꿈치 부위가 불시에 이탈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본체부(200)의 상부면에 사용자의 신발이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롤러스케이트를 착용 시 사용자의 신발을 벗지 않고도 롤러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본체부(100)는 프레임부(110), 받침부(120), 브레이크부(130), 지지부(140), 휠부(150) 및 조절부(160)를 포함하고, 프레임부(110)의 상부에는 전술한 제2 본체부(200)가 결합되며 프레임부(110)와 제2 본체부(200)의 결합구조는 도 4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본체부(2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5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한 쌍의 슬라이딩부(25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부(110)의 상부에는 한 쌍의 레일부(11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레일부(112)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레일부 홈(113)이 형성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250)의 하부는 각각 폭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한 쌍의 슬라이딩부(250)와 한 쌍의 레일부(112)가 결합하면 레일부 홈(113)에 슬라이딩부(250)의 절곡된 부분이 삽입된다.
즉, 슬라이딩부(250)와 레일부(112)는 LM 가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본체부(100)와 제2 본체부(200)의 결합을 보다 단순하고 견고하게 하며, 사용자가 롤러스케이트를 즐길 시 제1 본체부(100)가 제2 본체부(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좌우 흔들림 없이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프레임부(110)의 일측의 하부에는 받침부(120)가 결합되고, 받침부(120)는 폭 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120)의 하부와 프레임부(110)의 타측의 하부에는 각각 지지부(14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지부(140)의 일단과 타단에는 한 쌍의 휠부(150)가 형성된다.
휠부(150)의 일측에는 브레이크부(130)가 하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롤러스케이팅 도중 스케이팅을 정지할 경우 제1 본체부(100)를 일측을 향해 기울여 브레이크부(130)를 지면과 맞닿아 마찰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롤러스케이트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롤러스케이트의 브레이크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레임부(110)의 일측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120)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받침부(120)의 하부에는 조절부(160)가 기울어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받침부(120)와 프레임부(110)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중공부(162)가 연통되어 형성된다.
조절부(160)의 상부에는 스토퍼(161)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스토퍼(161)는 중공부(162)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6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절부(160)를 회전시켜 스토퍼(161)를 풀고 조임으로써 스토퍼(161)의 위치를 수직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받침부(12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절부(160)를 회전하여 스토퍼(161)의 위치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스토퍼(161)의 상부가 받침부(1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부로 이동시킨 후 받침부(120)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제2 본체부(200)도 탈부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받침부(120)를 이동시켜 휠부(150)의 위치도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길이의 제2 본체부(200)를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발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착용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한 켤레로 여러 사람이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300)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술할 충전부(310)와 제1 본체부(100)가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보관부(300)의 내부의 일측에는 충전부(31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프레임부(110)의 일측에는 한 쌍의 홈부(111)가 형성되고, 본 발명을 보관부(300)의 내부에 보관할 경우 충전부(310)에 홈부(1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보관부(300)에 보관되는 동안 제1 본체부(100)의 전원이 충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의 일종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보관부(300)의 내부에 제1 본체부(100)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부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부(300)의 배터리부는 충전용 차량이 순회하면서 충전시키거나, 착탈식으로 충전용 차량이 순회하면서 교체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충전부(310)와 프레임부(110)가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전부(310)가 홈부(111)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충전부(310)의 하부면에 받침부(120)와 맞닿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전원을 충전할 경우, 받침부(120)가 충전부(310)의 하부면을 지지해주어 본 발명이 충전부(3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보관부(300)는 충전부(310)의 작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전원부(410), 본 발명의 충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LED 센서(420), 보관부(3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GPS부(320),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500)와 연결된 무선통신부(430) 및 전원부(410), LED 센서(420), GPS부(320)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40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부(110)가 충전부(310)를 통해 충전할 경우, 보관부(300)는 보관부(300)의 내부에 보관된 프레임부(110)의 고유 식별정보를 공급받아 프레임부(110)의 위치 및 보관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50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보관부(300)는 각각 설정된 장소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보관부(300)는 본 발명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충전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관리서버는 보관부(300) 및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500)와 무선통신부(430)를 통해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는 본 발명의 대여 및 반납을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500)에 형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무선통신부(4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의 대여 또는 반납을 수행할 경우 보관부(300)의 위치, 본 발명의 충전 여부, 보관부(300)의 내부에 보관된 본 발명의 개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5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대여하는 과정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관부(300)의 위치, 본 발명의 충전 여부, 보관부(300)의 내부에 보관된 본 발명의 개수 등을 검색하면, 보관부(300)에 형성된 GPS부(320)가 보관부(300)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부(500)로 수신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본 발명의 대여를 예약하고, 기본요금을 먼저 선불하면 사용자가 직접 보관부(300)가 위치되어 있는 장소에 가서 본 발명을 대여할 수 있게 된다.
충전 완료 여부는 보관부(300)의 외부에 형성된 전술한 LED 센서(4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충전 완료된 프레임부(110)를 충전부(310)와 분리하여 본 발명을 대여할 수 있게 된다.
사용 완료 후 본 발명을 반납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반납 시간 및 반납 장소를 결정하고 반납장소에 있는 보관부(300)의 내부에 본 발명을 보관하면 된다.
반납 시 본 발명을 충전부(31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대여했던 보관부(300) 이외의 장소에 본 발명을 반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보관부(300)에 본 발명을 반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요약하면, 디스플레이부(5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 권한에 따라 등록된 보관부(300)의 위치를 검색하고, 이의 대여를 예약 또는 신청할 수 있으며, 대여 시 본인 인증에 따라 보관부(300)의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수령할 수 있고, 이용기간이 도래하면, 이를 반납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대여된 본 발명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투자자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본 발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이용시간에 따른 이용료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는 보관부(300)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어 도난이나 무단 사용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스토퍼(161)는 지속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토퍼(161)의 일측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표면이 접하는 환경 중에 습기의 작용으로 인한 부식현상으로 상온의 공기 중에서 녹스는 대기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스토퍼(161)의 표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고자 부식방지 코팅을 통해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스토퍼(161)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스토퍼(161)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스토퍼(161)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스토퍼(16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이하, 유기혼합체라 한다),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코팅층에 의하는 경우 물리적 외력 또는 화학적 반응이 가해지더라도 코팅층이 잘 벗겨지지 않고, 우수한 방수 효과를 통하여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혼합체은 상기 화합물이 포함하고 있는 특정 작용기 및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스토퍼(161)의 표면에서 수분에 노출되는 주요 구성에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 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 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 내지 5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단열 부재(미도시)의 하부면에 도포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유기혼합체(상기 유기혼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유기혼합체 25 30 40 50 55
금속 화합물 15 20 30 40 45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판재를 단열부재 하부면으로 가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10×10cm의 알루미늄 판재 일면에 상술한 TX1 내지 T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 실험예 ]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스토퍼(161)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제1 본체부,
110 : 프레임부,
111 : 홈부,
112 : 레일부,
113 : 레일부 홈,
120 : 받침부,
130 : 브레이크부,
140 : 지지부,
150 : 휠부,
160 : 조절부,
161 : 스토퍼,
162 : 중공부,
200 : 제2 본체부,
210 : 제1 고정부,
220 : 제2 고정부,
230 : 연장부,
240 : 미끄럼방지부,
250 : 슬라이딩부,
300 : 보관부,
310 : 충전부,
320 : GPS 부,
400 : 제어부,
410 : 전원부,
420 : LED 센서,
430 : 무선통신부,
5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휠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부에 사용자의 신발이 탈부착 가능한 것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폭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토퍼; 및
    상기 받침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를 회전시켜 상기 스토퍼를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받침부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보관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충전 가능한 배터리부; 및
    상기 보관부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보관부의 위치정보를 전달받는 것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보관부의 내부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충전부;
    상기 제1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홈부와 상기 한 쌍의 충전부를 결합시켜 상기 제1 본체부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타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본체부와 상기 사용자의 신발의 분리를 방지해주는 것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발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1020220072544A 2022-06-15 2022-06-15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20230172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544A KR20230172121A (ko) 2022-06-15 2022-06-15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544A KR20230172121A (ko) 2022-06-15 2022-06-15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121A true KR20230172121A (ko) 2023-12-22

Family

ID=8930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544A KR20230172121A (ko) 2022-06-15 2022-06-15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1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36Y1 (ko) 2004-05-19 2004-07-31 송지영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36Y1 (ko) 2004-05-19 2004-07-31 송지영 롤러스케이트 겸용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0763A1 (en) Threelys
IL206648A (en) Equipment and method of heel use
JP2002501396A (ja) グラインディングプレートを備えた履物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993545B (zh) 用于鞋底的质轻防滑高耐磨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30172121A (ko) 신발과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SG148199A1 (en) A recreational and sporting device for movement over ground including a biased member
US20070252351A1 (en) Wheeled footwear
WO2010021517A2 (ko) 신발의 인솔
US20020178613A1 (en) Shoe having interchangeable soles
TWI770738B (zh) 輪式移動裝置
EP2056689A1 (en) Insole to eliminate electrostatics
CN209771295U (zh) 类轮滑短途代步工具
US20110057400A1 (en) Wheeled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wheeled footwear
CN210021056U (zh) 一种可调式登杆脚扣
EP3743479B1 (de) Gleitmittel für wintersportgeräte auf basis indigoider moleküle
CN215075848U (zh) 一种改进的带有保暖功能的登山鞋
CN217886918U (zh) 一种电力施工用攀爬装置
CN104983132B (zh) 一种改良型登山鞋
CN220429962U (zh) 一种硅胶组合式汽车脚垫
CN218105073U (zh) 一种用于鞋子上走路防带水的装置
US20100308548A1 (en) Skate shoes with selectively flexible sole
KR20230172287A (ko) 분리결합이 용이한 길이조절 킥보드
CN110279993B (zh) 一种三人板鞋运动的体育器材
CN215303381U (zh) 一种健身运动用摇摇鞋
CN217380380U (zh) 一种桥梁加固维修使用的攀登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