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834Y1 - 뚝배기 - Google Patents

뚝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834Y1
KR200357834Y1 KR20-2004-0013171U KR20040013171U KR200357834Y1 KR 200357834 Y1 KR200357834 Y1 KR 200357834Y1 KR 20040013171 U KR20040013171 U KR 20040013171U KR 200357834 Y1 KR200357834 Y1 KR 200357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asserole
inclined surface
bottom portion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04-0013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8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뚝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함께 음식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면에는 액상의 음식물을 적어도 한 곳으로 모으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 일부구간에는 지면에 대해 나란한 푸트를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뚝배기를 기울이거나 별도의 받침에 기대지 않더라도 바닥에 남은 여분의 국물을 보다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그 바닥 구조가 개선되되 제조하기도 쉽고 바닥으로부터의 열전달이 용이한 뚝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뚝배기{Earthen bowl}
본 고안은, 뚝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뚝배기를 기울이거나 별도의 받침에 기대지 않더라도 바닥에 남은 여분의 국물을 보다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그 바닥 구조가 개선되되 제조하기도 쉽고 바닥으로부터의 열전달이 용이한 뚝배기에 관한 것이다.
찌개나 지짐이를 끓이거나 담는데 사용하는 용기로써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있는 것이 뚝배기이다. 오지그릇을 가리키는 뚝배기는, 지역이나 지방에 따라 투가리, 툭박이, 툭배기 및 툭수리라고도 한다. 뚝배기는 질그릇에 흑갈색 또는 황갈색의 유약을 씌워 구워서 만든다. 투박하고 거친 느낌을 주나 불에 강해서 음식을 끓이는 데 좋다. 냄비처럼 빨리 끓지 않으나 일단 뜨거워진 음식은 쉽게 식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종류의 찌개나 설렁탕과 같은 음식을 담는 데 적당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일반 음식점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통상의 뚝배기 내에 찌개나 설렁탕과 같은 음식을 담아 취식할 경우에 있어, 바닥에 잔존하는 여분의 국물을 먹기 위해서는 보통 한손으로 뚝배기를 기울이거나 별도의 받침에 기대어 뚝배기를 기울여 놓은 다음에 바닥에 남은 여분의 국물을 떠먹게 된다.
이에, 뚝배기를 기울이거나 별도의 받침에 기대어 뚝배기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뚝배기의 바닥에 남은 여분의 국물을 보다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42117호를 보면 이러한 요구에 맞춘 뚝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개시된 기술을 살펴보면, 뚝배기의 바닥면에 경사면을 두기는 하였으나 그 내부에 중공부를 더 두어 바닥면과 측면으로의 직접적인 열전달을 저지하고 있다. 따라서 바닥에 남은 여분의 국물을 떠먹기는 쉬울지 모르나 뚝배기를 제조하기가 쉽지 않고 지속적인 열을 보유하기 위한 뚝배기 본연의 취지에는 부합되지 않는다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뚝배기를 기울이거나 별도의 받침에 기대지 않더라도 바닥에 남은 여분의 국물을 보다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그 바닥 구조가 개선되되 제조하기도 쉽고 바닥으로부터의 열전달이 용이한 뚝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뚝배기 10a : 측벽부
10b : 바닥부 11 : 손잡이부
12 : 경사면 14 : 지지점
20 : 표시수단
상기 목적은,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함께 음식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면에는 액상의 음식물을 적어도 한 곳으로 모으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 일부구간에는 지면에 대해 나란한 푸트를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뚝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바닥부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비해 대향한 타측 모서리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직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푸트의 수평방향 양극점을 잇는 가상축선에 대해 적어도 15° 내지 30°의 각도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방향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뚝배기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10)는 찌개나 지짐이, 혹은 국을 끓이거나 담는 상부가 개방된 그릇의 일종이다. 이러한 뚝배기(10)를 그 위치별로 살펴보면 측벽부(10a)와, 측벽부(10a)와 함께 음식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10b)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것처럼 측벽부(10a)는 항아리나 옹기와 같은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데, 그 외측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본 뚝배기(10)를 파지하는 파지용 손잡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바닥부(10b)의 상면에는 액상의 음식물이 적어도 한곳으로 모이도록 하는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 일영역에는 단부가 지면에 대해 나란한 푸트(14)가 형성되어 있다.
푸트(14)는 통상적으로 뚝배기(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발통을 가리키는데, 경사면(14)으로 인해 푸트(14)의 일측은 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 때, 푸트(14)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더 얇게 함으로써 바닥부(10b)에 대한 열전달 효과를 높이 수 있다.
다만, 푸트(14)가 존재하는 영역을 보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우측 영역이 좌측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다. 이는, 본 뚝배기(10)의 전체적인 외관을 종래의 것과 동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경사면(14)을 형성하는 이유로 인해 일측이 타측에 비해 기울어지거나 함몰되는 등 뚝배기(10)의 전체적인 외관이 변형된다면 소비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뚝배기(10)로 조리를 하거나 뚝배기(10)를 적층하여 쌓을 때 기울어져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단점 보완을 위해, 바닥부(10b)에 경사면(14)을 부여하기는 하되, 그 외관은 종래의 뚝배기와 같이 전후좌우 대칭인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경사면(14)은 바닥부(10b)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비해 대향한 타측 모서리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직선 형태를 이루는데, 그 각도는 바닥부(10b) 하면에 형성된 푸트(14)의 수평방향 양극점을 잇는 가상축선에 대해 적어도 15° 내지 30°의 각도범위(θ)를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뚝배기(10)를 기울일 경우, 밥공기 뚜껑이나 혹은 뚝배기(10) 받침에 기대는데, 지면에 대해 밥공기 뚜껑이나 뚝배기(10) 받침의 높이는 대략 1 내지 3센티미터 정도를 형성한다. 뚝배기(10)의 바닥부(10b) 하면에 형성된 푸트(14)의 수평방향 양극점을 잇는 가상축선이 대략 5 내지 8센티미터 정도라고 볼 때, 그 각도는 대략 15° 내지 30°를 이룰 수 있다.
본 뚝배기(10)에서 바닥부(10b)의 두께는 측벽부(10a)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근소하게 두껍게 형성된다. 이에 열을 지속적으로 보유하는 뚝배기(10) 본연의 취지에도 부합된다. 또한 질그릇에 흑갈색 또는 황갈색의 유약을 씌워 구워서 본 뚝배기(10)를 제조할 경우, 바닥부(10b)에 경사면(12)을 형성함에 있어 측벽부(10a)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뚝배기(10)를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본 뚝배기(10) 내에 찌개나 설렁탕과 같은 액상의 음식을 담아 취식하여 거의 다 먹었을 경우, 바닥에 잔존하는 여분의 국물은 바닥부(10b)에 형성된 경사면(12)으로 인해 경사가 낮은 "A"영역(도 2 참조)으로 모인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존처럼 뚝배기(10)를 기울이거나 별도의 받침에 기댈 필요 없이 "A"영역으로 모인 잔여 여분의 국물을 숟가락으로 한번에 떠먹으면 되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도 3과 같이, 뚝배기(10)를 평면으로 바라다볼 경우, 측벽부(10a)에 경사면(12)의 경사방향을 표시하는 수단으로써 뚝배기(10)의 전면을 가리키기 위한 별도의 표시수단(20)을 마련할 경우, 사용상 좀 더 편리할 수 있다. 표시수단(20)은 "전면"이라는 문구나 혹은 화살표를 직접 음양각으로 새겨 넣거나 혹은 스티커 등을 붙이는 것 등, 여러 가지로 다변화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뚝배기(10)를 기울이거나 별도의 받침에 기대지 않더라도 바닥에 남은 여분의 국물을 보다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하기도 쉽고 바닥으로부터의 열전달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질그릇에 흑갈색 또는 황갈색의 유약을 씌워 구워서 만들 수 있는 뚝배기의 바닥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나, 찌개나 국과 같이 국물을 담을 수 있는 모든 그릇이나 용기에 본 고안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두 말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측벽부의 외측에 연장된 플랜지가 손잡이부를 이루고있으나, 손잡이 형상의 돌기가 돌출되거나 혹은 함몰된 형태의 뚝배기에도 본 고안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바닥부에 화살표로써 표시수단을 형성하고 있는데 표시수단은 측벽부에도 형성할 수 있고, 그 형태 역시 화살표가 아닌 다른 도형이나 문구로써 설명될 수 있다. 즉, 측벽부에 전면을 가리키는 표시정도로도 표시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측벽부의 상단에 표시수단을 형성하고 있으나, 그 위치는 측벽부의 측면이던지 손잡이부 영역이던지 혹은 바닥부 등 어떠한 곳에 있어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뚝배기를 기울이거나 별도의 받침에 기대지 않더라도 바닥에 남은 여분의 국물을 보다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그 바닥 구조를 개선하되 제조하기도 쉽고 바닥으로부터의 열전달이 용이한 뚝배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함께 음식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면에는 액상의 음식물을 적어도 한 곳으로 모으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 일부구간에는 지면에 대해 나란한 푸트를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뚝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바닥부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비해 대향한 타측 모서리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직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푸트의 수평방향 양극점을 잇는 가상축선에 대해 적어도 15° 내지 30°의 각도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방향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KR20-2004-0013171U 2004-05-12 2004-05-12 뚝배기 KR200357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171U KR200357834Y1 (ko) 2004-05-12 2004-05-12 뚝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171U KR200357834Y1 (ko) 2004-05-12 2004-05-12 뚝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834Y1 true KR200357834Y1 (ko) 2004-07-31

Family

ID=4943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171U KR200357834Y1 (ko) 2004-05-12 2004-05-12 뚝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8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553B1 (ko) 2008-11-10 2011-09-08 유상미 경사각을 줄 수 있는 온도표시 뚝배기 받침대
KR200457306Y1 (ko) 2009-07-29 2011-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 용기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553B1 (ko) 2008-11-10 2011-09-08 유상미 경사각을 줄 수 있는 온도표시 뚝배기 받침대
KR200457306Y1 (ko) 2009-07-29 2011-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 용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6799B2 (ja) セラミック金属の液体保持容器
US6076699A (en) Drinking cup and lid
TWI253339B (en) Disposable plate and bowl having improved ergonomics
KR101404429B1 (ko)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US11529012B2 (en) Electric pressure cooker
US20040094532A1 (en) Food serving set for roasting oven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KR200357834Y1 (ko) 뚝배기
USD477969S1 (en) Container for preparation of sauce-covered chicken wings
CA3106933A1 (en) Stackable cookware set with paired stackable cookware lids
JPH07275128A (ja) 鍋及び杓子付き鍋
EP0988816A2 (en) Nested insulated egg server
KR200200297Y1 (ko) 남비뚜껑의 손잡이구조
CN212878780U (zh) 餐具组
EP0129860A2 (en) A kitchen pot and a set of a kitchen pots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CN212698417U (zh) 餐具组
US20050224502A1 (en) Stacker
CN213189149U (zh) 防溢排气锅
CN216602441U (zh) 烹饪器具
USD1003100S1 (en) Cooking pots and stoves for camping
CN215686648U (zh) 烹饪器具
USD513688S1 (en) Square vacuum container
KR101908860B1 (ko)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CA2329592A1 (en) Cookware system and multipurpose cookware cover for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