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455Y1 - 대나무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대나무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455Y1
KR200357455Y1 KR20-2004-0013344U KR20040013344U KR200357455Y1 KR 200357455 Y1 KR200357455 Y1 KR 200357455Y1 KR 20040013344 U KR20040013344 U KR 20040013344U KR 200357455 Y1 KR200357455 Y1 KR 200357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mboo
stopper
liqui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선
Original Assignee
김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선 filed Critical 김점선
Priority to KR20-2004-0013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4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4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02Containers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나무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굵기가 서로 다른 대나무라도 용기부의 내부 체적을 쉽게 맞춰서 규격화된 액체 용기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한 친환경적인 대나무 액체용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소금물을 이용하여 대나무 진을 빼냄으로 해서 갈라짐을 방지한 대나무의 마디부(2)를 중심으로 상하측에는 각각 마개고정부(3)와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용기부(4)를 형성하고, 마개고정부(3)와 용기부(4)의 경계인 마디부(2)의 내측에는 구멍(5)을 형성하되, 마개고정부(3)에는 너트(6)를 접착제(7)로 접착 고정하고, 너트(6)에는 나사관(8a)이 일체 형성된 마개(8)를 결합하며, 용기부(4)의 하측인 개구측 내부에는 PET와 같은 절곡 가능한 재질로 가장자리측에 원주상으로 절곡편(9a)이 형성된 속받침(9)을 결합하여 절곡편(9a)이 절곡된 상태로 용기부(4) 내면과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제(7)로 수밀 가능하게 접착 고정하고, 용기부(4)의 개구측에는 겉받침(10)의 결합홈(10a)을 끼움하고 용기부(4)와 접착제(7)로 접착 고정한 것으로서, 대나무의 굵기에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대나무 수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속받침(9)의 고정 위치에 의해 용기부(4)의 내부 공간 체적을 조절할 수 있어 규격화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발효음료나, 각종 천연 액체 세제 등을 담을 경우 친환경적인 내용물과 용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 액체용기{A container made of bamboo for fluid}
본 고안은 대나무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굵기가 서로 다른 대나무라도 용기부의 내부 체적을 쉽게 맞춰서 규격화된 액체 용기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한 친환경적인 대나무 액체용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속이 비어 있는 대나무의 경우 마르면서 갈라짐 현상이 일어나고 마디부에 많은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액체를 담을 경우 액체가 이 미세구멍들을 통해 배출되는 등과 같은 대나무 고유의 특성에 의해 액체를 장기간 내입 보관하는 용도로의 사용이 어려웠다.
근자에는 갈라짐 현상 및 마디부로 액체가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많은 노력의 결실로 갈라짐 현상의 경우 소금물에 침지한 상태로 삶거나 쪄서 대나무 진을 빼낸 후 건조함으로 해서 해결하였고, 마디부에 파라핀을 코팅 처리함으로 해서 액체가 배출되는 문제점도 해결하였다.
상기한 방법으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대나무 용기의 경우 대나무의 양측 마디부 바깥 측을 절단하고 일측 마디부측에 구멍을 천공하여 자연 형성된 대나무 속에 액체를 담을 수 있게 하고 구멍에는 마개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나무의 또 다른 문제점인 크기 즉, 대나무 용기에 담겨지는 액체의 량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 보급치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대나무가 갖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면서도 다양한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코자 본 고안에서 소금물을 이용하여 대나무 진을 빼냄으로 해서 갈라짐을 방지한 대나무의 마디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하측에 마개고정부와 용기부가 형성되게 절단하고, 마개고정부에는 푸시 작동으로 내용물을 취출하는 마개를 결합하고, 용기부의 하단에는 내외측으로 받침을 수밀되게 결합하여 액체용기를 용기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굵기가 조금 다른 대나무라도 용기부의 내부 체적을 쉽게 맞춰서 규격화된 액체 용기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대나무 액체용기 2:마디부
3:마개고정부 4:용기부
5:구멍 6:너트
7:접착제 8:마개
8a:나사관 8b:인출관
9:속받침 9a:절곡편
10:겉받침 10a:결합홈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대나무 액체용기(1)는 소금물을 이용하여 대나무 진을 빼냄으로 해서 갈라짐을 방지한 대나무의 마디부(2)를 중심으로 상측은 조금 짧게 절단하여 마개고정부(3)를 형성하고, 하측은 액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길게 절단하여 용기부(4)를 형성하며, 마개고정부(3)와 용기부(4)의 경계인 마디부(2)의 내측에는 구멍(5)을 형성한다.
상기 마개고정부(3)에는 너트(6)를 접착제(7)로 접착 고정하고, 이 너트(6)에는 나사관(8a)이 일체 형성된 마개(8)를 결합하여 용기부(4) 내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마개(8)는 마디부(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5)을 통해 용기부(4) 내측으로 내입되는 인출관(8b)이 결합된 푸시형 구성의 마개(8)를 사용할 경우 마개(8)를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기부(4) 내에 담겨 있는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부(4)의 하측인 개구측 내부에는 PET와 같은 절곡 가능한 재질로 가장자리측에 원주상으로 절곡편(9a)이 형성된 속받침(9)을 결합하여 절곡편(9a)이 절곡된 상태로 용기부(4) 내면과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제(7)로 수밀 가능하게 접착 고정하고, 용기부(4)의 개구측에는 겉받침(10)의 결합홈(10a)을 끼움하고 용기부(4)에 접착제(7)로 접착 고정함으로 해서 용기부(4) 내에 액체를 담을 수 있게 2중으로 밀폐한다. 이때 겉받침(10)에 형성되는 결합홈(10a)의 경우 다양한 굵기의 대나무를 수용할 수 있게 여유 있는 폭으로 형성한다. 상기 속받침(9)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형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제(7)는 밀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인체에 무해한 여러 종류의 접착제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겉받침(10)의 경우 용기부(4)의 외경이 끼움될 수 있는 대나무의 마디부(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마개고정부(3)에 접착 고정된 너트(6)에 결합되는 마개(8)의 경우 다양한 구성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대나무 액체용기(1)는 각종 액체를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발효음료나, 각종 천연 액체 세제 등을 담을 경우 친환경적인 내용물과 용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대나무 액체용기(1)는 종래와 같이 대나무의 상하측 마디부(2) 사이에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직접 액체를 담지 않고 마디부(2)의 상하측으로 마개고정부(3)와, 용기부(4)를 형성한 후 마개고정부(3)에는 너트(6)를 고정하여 마개(8)를 나사 결합하고, 용기부(4)의 개구측에는 속받침(9)과 겉받침(10)을 이용하여 2중으로 용기부(4)를 수밀되게 한 것인바, 대나무의 굵기가 조금 다르더라도 큰 어려움 없이 쉽게 용기를 제작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마개고정부(3)의 내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마개(8)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6)를 마개고정부(3)에 내입하여 접착제(7)로 접착 고정하면 되므로 이 너트(6)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성, 예를 들면 푸시형 구성의 마개(8) 등을 용이하게 나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부(4)가 속받침(9) 및 겉받침(10)에 의해 수밀 가능한 상태로 밀폐되므로 담겨진 용액의 유출 염려를 일소할 수 있다. 즉, 속받침(9)의 경우 가장자리측으로 원주상에 수 개의 절곡편(9a)을 형성한 상태이므로 속받침(9)을 용기부(4) 내에 결합할 때 절곡편(9a)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측으로 절곡되면서 용기부(4) 내면과 밀접된 상태에서 접착제(7)에 의해 접착 고정되므로 안정된 결합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겉받침(10)의 결합홈(10a)에 용기부(4)의 개구측을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접착제(7)로 접착 고정한 구성이므로 완벽한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속받침(9)의 고정 위치를 조절함으로 해서 용기부(4) 내에 담겨지는 용액 량에 알맞게 용기부(4) 내부 체적을 조절할 수 있어 규격화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것이며, 다양한 굵기의 대나무 사용이 가능하여 대나무 수급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고안의 대나무 액체용기(1)는 마디부(2)의 상측에 마개고정부(3)를 형성하여 너트(6)를 고정하여 마개(8)를 나사 결합토록 하고, 마디부(2)의 하측에는 아래측이 개방된 용기부(4)를 형성하고, 속받침(9)과 겉받침(10)에 의해 2중으로 수밀되게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나무의 굵기에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대나무 수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속받침(9)의 고정 위치에 의해 용기부(4)의 내부 공간 체적을 조절할 수 있어 규격화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발효음료나, 각종 천연 액체 세제 등을 담을 경우 친환경적인 내용물과 용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가 대나무로 구성되어 있는 바, 담겨져 있는 액체를 사용 후 열을 가하여 용기부(4)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속받침(9) 및 겉받침(10)을 분리하고 마개고정부(3)측의 마개(8)를 분리한 후 연필꽂이 등으로의 재활용도 가능한 등 기대 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대나무 액체용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소금물을 이용하여 대나무 진을 빼냄으로 해서 갈라짐을 방지한 대나무의 마디부(2)를 중심으로 상하측에는 각각 마개고정부(3)와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용기부(4)를 형성하고, 마개고정부(3)와 용기부(4)의 경계인 마디부(2)의 내측에는 구멍(5)을 형성하되,
    상기 마개고정부(3)에는 너트(6)를 접착제(7)로 접착 고정하고, 너트(6)에는 나사관(8a)이 일체 형성된 마개(8)를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4)의 하측인 개구측 내부에는 PET와 같은 절곡 가능한 재질로 가장자리측에 원주상으로 절곡편(9a)이 형성된 속받침(9)을 결합하여 절곡편(9a)이 절곡된 상태로 용기부(4) 내면과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제(7)로 수밀 가능하게 접착 고정하고, 용기부(4)의 개구측에는 겉받침(10)의 결합홈(10a)을 끼움하고 용기부(4)와 접착제(7)로 접착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액체용기.
KR20-2004-0013344U 2004-05-13 2004-05-13 대나무 액체용기 KR200357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344U KR200357455Y1 (ko) 2004-05-13 2004-05-13 대나무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344U KR200357455Y1 (ko) 2004-05-13 2004-05-13 대나무 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455Y1 true KR200357455Y1 (ko) 2004-07-30

Family

ID=4934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344U KR200357455Y1 (ko) 2004-05-13 2004-05-13 대나무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4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80Y1 (ko) * 2015-08-26 2017-01-18 박규완 대나무통 용기
KR20180001164U (ko) 2016-10-18 2018-04-26 박규완 대나무 통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80Y1 (ko) * 2015-08-26 2017-01-18 박규완 대나무통 용기
KR20180001164U (ko) 2016-10-18 2018-04-26 박규완 대나무 통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825B2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a fluid
ATE541549T1 (de) Behälter für infusionsflüssigkeiten
JP7013025B2 (ja) 液体容器のディヒューザ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使用方法
US20090184042A1 (en) Filter device
KR200357455Y1 (ko) 대나무 액체용기
CA2854401C (en) Bottle including a hollow removable closure
KR200482380Y1 (ko) 대나무통 용기
EP0695696B1 (fr) Récipient distributeur double à parois déformables
KR20130060836A (ko) 음료수 용기에 꽂아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빨대기구
ATE406318T1 (de) Behälter
KR102050048B1 (ko) 이중 튜브 뚜껑
KR20000011337U (ko) 도포용 볼이 내장된 액체화장품 용기
KR200250733Y1 (ko) 액체저장 용기용 공기유입구
KR200317105Y1 (ko) 장식공간이 형성된 용기
CN208755579U (zh) 一种杯子
KR100541339B1 (ko) 유출방향 변경부재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용 마개 체결부재 및 그러한 마개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덮개 조립체
KR20090011605U (ko) 이중 구조의 용기 뚜껑
KR20110002875U (ko)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KR200244222Y1 (ko) 액체용기
CN202532014U (zh) 带洗手液盒的阀门
JP2007137513A (ja) 霧吹き魔法瓶
BE347433A (ko)
KR200264766Y1 (ko) 액체보관용기의 출입부 밀폐막 제거구조
KR200157138Y1 (ko) 액체정량 추출기
TWM627086U (zh) 兩截可拆裝式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